추천사 1
차 준 희 박사(한세대학교 구약학 교수, 현 한국구약학연구소 소장, 전 한국구약학회장)
최 인 식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및 대학원장, 전 한국조직신학회장)
감사의 글 8
서론 성서 언어 해석학을 들어가며 12
제1장 언어와 해석(언어 의미의 다양성) 16
1. 언어철학: 언어적 전회 21
2. 언어 행위 이론의 본질 23
3. 화용론의 기본적인 이해와 정의 26
4. 의사 소통과 언어 27
5. 해석학의 어원과 기원 32
6. 슐라이어마허(1768-1834): 문법적, 심리적 해석학 35
7. 딜타이(1833-1911): 정신과학의 해석학 40
8. 하이데거: 존재론적 해석학(1889-1976) 44
9. 불트만(1884-1976): 실존론적 해석학 49
10. 푹스와 에벨링: 신해석학 53
제2장 언어 행위 이론(언어 행위 이론의 배경과 화용론) 59
1. 맥락: 발화 맥락과 상황 맥락 64
2. 명제적 접근(진위문) VS 수행적 접근(수행문) 69
3. 수행 언어: 단순 발화 행위, 의미 수반 발화 행위, 효과 수반 발화 행위 76
4. 물리학에서 의미로 79
5. 의미: 의미 수반 발화 행위F(p ) 82
6. 적정 조건 86
7. 제도적 사실과 구성 규칙 97
8. 부합의 방향과 언어의 자발적 참여 행위 103
9. 협동 원리 113
제3장 언어 행위 이론을 통한 성서 해석의 실재 121
1.성서 해석 때 겪는 일반적인 오류 121
2. 성서 해석의 실재 127
제4장 언어 행위 이론과 조직신학
(성서 해석과 조직신학의 연결) 166
1. 언어 담론으로서의 계시 168
2. 관계적 의사 소통 행위의 계시 173
3. 이성과 신앙의 경험으로서의 계시: 하나님의 언어 담론(언어 사건)의 실재 178
4. 언어 담론으로서의 계시와 신-인 협력 담론(double agency discourse) 185
글을 맺으며┃하나님 나라와 언어 사건, 통치 195
나가는 말┃일상 언어와 성서 언어 199
참고 문헌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