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총론
제1장 언어재활사의 정의, 역할, 자격 및 향후 전망
1. 언어치료학과 언어재활사
2. 언어재활사 자격제도
3. 언어재활사의 근무 현장 및 취업 현황
4. 언어재활사의 향후 전망
제2장 언어재활 관련 법령
1. 법률 상식
2. 언어재활사 관련 법
3. 결론
제3장 바우처
1. 발달재활서비스 사업
2. 언어발달지원 사업
3. 지역사회서비스 투자 사업
4. 기타 사업
제2부 실무
제4장 현장별 언어재활 실무: 학교 환경
1. 언어재활 환경 및 대상자 특성
2. 서비스 제공 모델과 언어재활사의 역할
제5장 현장별 언어재활 실무: 다문화 지원 환경
1. 언어재활 환경 및 대상자 특성
2. 서비스 제공 모델과 언어재활사의 역할
제6장 현장별 언어재활 실무: 복지관 환경
1. 언어재활 환경 및 대상자 특성
2. 서비스 제공 모델과 언어재활사의 역할
제7장 현장별 언어재활 실무: 개원 언어재활센터 환경
1. 언어재활 환경 및 대상자 특성
2. 서비스 제공 모델과 언어재활사의 역할
제8장 현장별 언어재활 실무: 병원 환경
1. 언어재활 환경 및 대상자 특성
2. 서비스 제공 모델과 언어재활사의 역할
제3부 각론
제9장 언어발달장애
Ⅰ. 영유아 무발화 자폐스펙트럼장애(병원)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Ⅱ. 학령전 단순언어장애(복지관)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Ⅲ.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복지관)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Ⅳ. 학령기 지적장애아동(개원 언어재활센터)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제10장 조음음운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제11장 유창성장애
Ⅰ. 사례 1: 학령기 전 말더듬 아동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Ⅱ. 사례 2: 학령기 말더듬 아동(초등학생)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Ⅲ. 사례 3: 말더듬 청소년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Ⅳ. 사례 4: 말더듬 성인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제12장 음성장애
Ⅰ. 사례 1: 유년기 음성장애(소아 성대결절)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Ⅱ. 사례 2: 사춘기 음성장애(변성발성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Ⅲ. 사례 3: 성인기 음성장애(성대폴립)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Ⅳ. 사례4: 성인기 음성장애(라인케 부종)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Ⅴ. 사례 5: 노인기 음성장애(노인성 음성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제13장 신경언어장애
Ⅰ. 사례 1: 이완형 마비말장애(재활의학과)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Ⅱ. 사례 2: 명칭실어증(재활의학과)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Ⅲ. 사례 3: 전반실어증(신경과)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Ⅳ. 사례 4: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인한 의사소통장애(요양병원)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Ⅴ. 사례 5: 베르니케실어증(복지관)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Ⅵ. 사례 6: 파킨슨병 치매가 의심되는 운동저하형 마비말장애(복지관)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제14장 삼킴장애
I. 뇌성마비의 삼킴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II. 외상성 뇌손상의 삼킴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III. 뇌졸중의 삼킴장애(가성연수마비)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IV. 뇌졸중의 삼킴장애(연수마비)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V. 파킨슨병의 삼킴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VI. 치매의 삼킴장애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제15장 청각장애
Ⅰ. 영유아기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Ⅱ. 아동기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Ⅲ. 성인기 및 노인기
1. 핵심 이론(core knowledge)
2. 평가(assessment)
3. 중재 계획(intervention plan)
4. 상담(counseling)
5. 질의응답(Q&A)
6. 향후 계획(future plan)
제4부 연구 실제
제16장 연구 방법 및 설계
1. 가설 설정
2. 연구설계
3. 자료 수집
4. 자료의 분석 및 해석
5. 결과의 보고
6. 언어치료 연구설계 및 통계검정에서의 유의점
<부록> 관련법률
부록 1. 장애인복지법
부록 2.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부록 3.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