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가 출간된 지도 2년이 지났다. 2015교육과정 사회과도 이제 3학년에서 6학년까지 전면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초등학교 2015교육과정도 2015년 12월에 개정 고시된 이후 2017년 1월과 9월, 2018년 4월과 7월 등 모두 4차례에 걸쳐 개정고시가 더 이루어졌다. 더구나 초등학교 사회과도 이제 국정교과서의 틀을 벗어나 검정교과서 체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바깥세상은 더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AI를 중심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은 그로 인한 변화의 방향조차 예측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본서로 강의를 2년간 수행하면서 본서의 부족한 점을 계속 염두에 두고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변화된 상황들이 더 이상 개정을 늦출 수 없다는 판단을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서가 사회과를 다루는 교사로서 사회과를 기본적으로 바르게 이해하고, 사회과의 목표에 부합하는 수업 역량을 길러 주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본래의 초점은 유지하면서 체계 보완과 새로운 수업이론의 소개와 임용에 다소나마 도움을 주는 데 개정의 무게를 두었다.
표현과 체제를 좀 더 이해하기 쉽도록 바꾸었고, 효과적인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수업과 원격협력학습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고, 각종 자료들을 최신의 자료와 적절한 자료로 개정하였으며, 평가에서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보완하였다. 그리고 최근 7년간의 교원임용고시 문항을 수록하고 그 문항에 대한 해설과 정답 탐구를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