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 학생들을 위한 현대 국어의 의미 현상과 의미 이론
1980년대 이후로 의미에 대한 연구의 범위가 어휘라는 좁은 틀을 벗어나서 문장과 담화 차원으로 확대됨으로써, 국어의 의미 연구에 새로운 장이 펼쳐졌다. 지은이는 의미 연구의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의 제목으로 ‘어휘 의미론, 문장 의미론, 화용론’의 내용을 다루었다
이 책은 국어 의미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학부 학생들도 현대 국어의 의미 현상과 의미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에서는 우선 ≪고등학교 문법≫(2010)과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2018)에 수록된 ‘의미’ 단원의 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했다.
지은이는 이 책의 내용 체제를 크게 네 부분으로 짰다. 제1부는 국어 의미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다룬 것으로서, 의미론이 언어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의미론에서 탐구하는 과제, 그리고 지금까지 이루어진 각종 의미론에서 제시하는 ‘의미의 개념’을 소개한다. 제2부는 어휘 의미론으로서 ‘어휘장, 의미 성분 분석, 의미 관계, 합성어와 관용어의 의미 관계’와 관련된 이론을 소개한다. 제3부에서는 문장 의미론으로서 문장을 기본 단위로 하여서 일어나는 ‘동의성, 중의성, 잉여성, 전제, 함의’ 등의 의미 이론을 다룬다. 제4부는 ‘화용론’으로서 ‘담화의 구조’와 ‘발화 행위 이론’, 그리고 ‘함축 이론’ 등을 소개한다. 끝으로 [부록]을 첨부하여 통시적인 관점에서 의미의 변화 이론과 개별적인 어휘에서 일어나는 의미의 변화 양상을 다루었다.
이 책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에 수록된 학교 문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의미론의 기본적인 이론을 기술했다. 특히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교사를 비롯하여, 국가나 지방에서 실시하는 ‘공무원 시험’이나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언론 기관의 입사 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나아가서 대학교의 국어국문학과나 국어교육과의 학부 1~2학년 학생들이나 ‘국어과 중등 교사 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이들은 이 책을 국어 의미론의 기본을 다지는 입문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의 바람대로 이 책이 학교 문법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의미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