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일과 사회복지

통일과 사회복지

  • 양옥경
  • |
  • 나남
  • |
  • 2019-06-30 출간
  • |
  • 480페이지
  • |
  • 151 X 225 X 28 mm /684g
  • |
  • ISBN 9788930040099
판매가

26,000원

즉시할인가

25,74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74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통일 한반도 사회복지의 모든 것

‘사람의 통합’ 관점으로 바라본 통일사회복지

 

 통일 이후의 사회에서 ‘사람의 통합’을 기본 전제로, 통일사회복지 분야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제도 및 실천의 구체적 방법을 분야별로 살핀 책. 2018년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 개최로 통일 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증가하고 있다. 통일은 통일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며, 이에 사람의 기본적인 생활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복지는 통일사회를 준비하는 데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분야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의식 아래, ‘사람의 통합’ 관점으로 통일사회에서 이루어질 구체적인 사회복지 실천에 초점을 두고 집필한 책이다. 사회복지 각 전공 분야의 전문가 및 북한 전문가가 참여한 이 책은 통일복지 분야 최초의 종합연구서로서 통일사회복지 이론과 실천 부분에서의 전반적 문제에 해답을 준다. 무엇보다도 통일사회에서 이루어질 구체적인 실천에 초점을 두어, 통일 이후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사람의 통합’ 관점으로 바라본 통일사회복지

2018년,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판문점 선언’을 발표한 4월 회담, 장기간 물밑 접촉 없이도 남북정상이 마주할 수 있음을 보여준 5월 회담, 4월의 약속대로 실현된 9월 회담 등 세 번의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한은 새로운 남북관계가 시작되고 있음을 대내외에 알렸다. 남북관계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 속에서 풀어야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로 아직 낙관도 비관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통일 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통일은 남북한의 현재 조건과 상황이 통합되어 ‘하나의 사회’를 만드는 일이다. 무엇보다도 사회 속 각 개인의 일상이 조화롭게 통합되었을 때 진정한 통일을 이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통일은 통일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며, 이에 사람의 기본적인 생활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복지는 통일사회를 준비하는 데 매우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분야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의식 아래, ‘사람의 통합’ 관점으로 통일사회에서 이루어질 구체적인 사회복지 실천에 초점을 두고 집필한 책이다.

 

통일사회복지 분야 최초의 종합연구서

 통일사회복지 실천에 초점을 둔 책이 부재한 상황에서 《통일과 사회복지》는 통일복지 분야 최초의 종합연구서로서 통일복지의 중요성을 새롭게 상기해 주는 책이다. 통일 시대의 사회복지와 관련해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제도나 법, 정책뿐 아니라 ‘실천’의 분야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통일 시대 사회복지사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인 통일사회복지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는 통일사회복지연구회의 결실인 이 책은 사회복지 각 전공 분야의 전문가 및 북한 전문가가 집필하여 세부 분야를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살폈다.

남북한의 복지 상황에 관한 이해부터, 아동ㆍ노인ㆍ여성ㆍ장애인 등 복지제도 통합과 관련해 제기될 문제와 그 해법, 그리고 복지 전달 방법 및 체계까지 많은 이론ㆍ실천적 문제에 대한 고민과 모색, 해법을 서술함으로써 통일복지의 전반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준다. 통일에 관해 고민했던 독자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 복지 정책을 수립하는 데도 실질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의의가 있다.

 

통일 시대의 사회복지실천

 책은 3개의 부와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사회통합으로서의 통일 과정에서 사회복지 분야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정리했다. 1장(양옥경)에서는 통일의 개념, 사회통합 및 사회복지를 주요 열쇳말로 하여 통일사회복지의 필요성을 짚었다. 이어 독일통일의 시사점(2장, 김진수), 남북한 사회보장제도의 비교(3장, 이철수), 남북한 사회문화의 특성(4장, 김석향)을 폭넓게 다뤘다.

2부는 사회복지의 각 분야에 대해 제도 및 법과 정책을 기본으로 하여 실천적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사람의 통합’이라는 관점하에 아동ㆍ청소년(5장, 이민영), 노인(6장, 민기채), 여성ㆍ가족(7장, 장인숙), 장애인(8장, 정지웅), 보건의료(9장, 김신곤) 분야를 심도 있게 살폈다.

3부는 북한 지역의 특수성ㆍ현장성을 고려한 지역사회 중심의 미시적 실천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사례관리(10장, 김선화), 다문화적 접근(11장, 최혜지), 그리고 전문 인력인 사회복지사의 역할(12장, 양옥경)로 나누어 정리했다.

목차


추천사ㆍ현인애 5
머리말 7

제1부 통일 시대의 사회복지를 준비하며
제1장 통일, 사회 통합, 그리고 사회복지 양옥경
1. 들어가며 19
2. 통일 시대 사회복지의 이해 20
3. 통일 시대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북한사회의 이해 24
4. 통일 시대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41
5. 나가며 52

제2장 독일의 사회복지 통합과 시사점 김진수
1. 통일과 사회복지 관계 57
2. 통일과 사회복지의 과제 61
3. 독일통일과 단계별 상황 대책 63
4. 독일 사회복지 통합의 시사점 81

제3장 남북한 사회복지제도의 비교와 통합: 구성 쟁점을 중심으로 이철수
1. 들어가며 93
2. 남북한 사회복지제도 비교와 통합 쟁점 97
3. 남북한 사회보장제도 구성 쟁점 비교와 통합 109
4. 나가며 130

제4장 남북한 사회문화의 특성 비교 김석향
1. 들어가며 135
2. 분단 상황을 분석하는 주요 관점과 남북한 사회문화의 시대별 변화상 139
3. 남북한 사회문화의 현황: 동질성의 공존과 이질성의 충돌 161
4. 통일과 사회복지학 분야의 과제 179

제2부 남북한 사회복지실천 이슈
제5장 아동ㆍ청소년 분야의 제도와 실천 이민영
1. 들어가며 185
2. 남북한 아동ㆍ청소년의 이해 186
3. 남북한 아동의 권리 196
4. 남북한 아동ㆍ청소년복지제도 203
5. 통일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이슈 208

제6장 노인 분야의 제도와 실천 민기채
1. 들어가며 219
2. 남북한 노인복지제도 현황 223
3. 남북한 노인복지 통합 쟁점과 실천 방향 242
4. 나가며 255

제7장 여성ㆍ가족 분야의 제도와 실천 장인숙
1. 들어가며 259
2. 북한의 여성 정책과 삶의 변화 261
3. 탈북여성의 정착 실태 268
4. 독일통일을 통해 본 통일과 여성 282
5. 나가며 286

제8장 장애인 분야의 제도와 실천 정지웅
1. 정책ㆍ제도적 맥락 293
2. 실천적 측면 316
3. ‘사람의 통합’ 관점하 장애인복지의 쟁점과 과제 330

제9장 보건의료 분야의 제도와 실천 김신곤
1. 왜 통일보건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347
2. 남북한 보건의료의 현황 349
3. 통일 시대, 남북한 보건의료의 교류협력 355
4. 한반도 건강공동체의 미래상 358
5. 한반도 건강공동체를 위한 사람의 준비 366

제3부 통일 시대의 사회복지실천
제10장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 전달체계와 사례관리 접근 김선화
1. 통일 시대의 사회복지실천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접근이 갖는 의의 373
2.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375
3. 통일 시대,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례관리적 접근 400

제11장 통일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다문화 관점의 접근 최혜지
1. 통일사회복지실천의 이해: 개념, 목적 및 범위 413
2. 통일사회복지실천의 관점: 다문화적 관점과 문화적 역량 420
3. 통일사회복지실천 방법 427

제12장 통일사회 사회복지 전문가의 역할 및 실천 역량 양옥경
1. 통일사회복지의 사회 통합적 실천 437
2. 통일사회복지사의 실천 과정 준비 442
3. 통일사회복지사의 실천 역량 446
4. 통일사회복지실천 방법 461

찾아보기 467
저자 소개 47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