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어를 관찰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사회적으로 약속된 기호체계를 발견할 수 있다. 이 기호체계를 관찰해 보면 언어라는 기호체계의 질서, 대칭성,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특수성과 보편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이 기호체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인문정보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 인문정보둘은 또한 하나의 새로운 체계를 구성한다.
숙어는 언어기호 체계 중에서 일종의 비교적 특수한 기호이며, 정형화된 언어 표현 형식이다. 역사적 산물로서 사회의 습관적 사용으로 말미암아 숙어라는 언어 기호는 형식상, 의미상, 기능상, 그리고 환경상 기타 언어 기호와 다른 특징을 갖게 되었다. 숙어는 형식적으로는 고정적이다. 반면 사회 언어학적 각도에서 보면 가장 풍부한 문화내용을 내포하고 있고, 숙어가 굴절 투사하는 인문세계는 가장 절묘하며 숙어가 표현하는 처신의 도리는 가장 깊이가 있으며 숙어가 반영하고 있는 세태와 민심은 가장 직접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