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3국의 전통 정원을 통해
현재와 미래 트랜드를 읽다
국가간, 지역간 문화교류가 갈수록 왕성해 지고 있다. 이러한 세계화 속에서 우리 국가와 민족의 정원문화 정체성을 찾는 작업의 하나로 본 연구를 진행했다.
세계화 속에서 우리 정원의 차별성을 찾기가 힘들어졌다. 단순한 옛 구조물 형태를 재현해서 한국정원이라고 말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오랜 전통을 가지고 현재까지 계승되어온 연못, 석가산 등 한국전통조경구조물을 현대 환경에 알맞게 재해석해서 한국정원의 한국다움을 나타내 보여야만 한다고 생각해 왔다.
우리와 인접국가인 중국, 일본은 역사, 문화적으로 공통점이 상당히 많다. 이 한중일 3국의 전통과 근대, 현대화 과정에서 모던양식을 함께 찾아봤다. 특히 근대화에 앞선 일본연구에서는 영향을 주고받던 유럽도 함께 연구했다.
또 중국의 경우에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선진 중화문화권인 홍콩, 싱가포르, 대만 일대도 함께 탐사 연구를 진행해 왔다.
현대적 재해석 연구과정에서는 현대예술사조에서 현대조경 디자인 경향을 추출했다. 현대조경 디자인 경향으로는 심플, 기능, 디테일을 들 수 있다.
또 한중일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 디자인 경향에 따라서 재해석을 사례연구 중심으로 시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