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벨리댄스 기능해부학 서적이 발간되다!★
이 책은 벨리댄스의 움직임을 기능해부학적으로 풀어냈다. 최근 신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분야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분야에서 해부학을 기반으로 한 전문 서적이 활발히 발간되고 있으나 벨리댄스에 관련한 해부학 서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벨리댄스 전문가인 저자는 벨리댄스 동작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의학전문의의 세심한 감수와 무용학 박사의 자문을 얻어 이 책을 집필하였다. 교본이 존재하지 않는 벨리댄스 기본 동작의 구성은 벨리댄스 동작을 연구한 국내 학위 논문들을 통해 동작의 중복적 접점을 찾아 선별적으로 구성하고 기관별로 상이하게 존재하는 벨리댄스 동작의 명칭들은 영문 명칭으로 통일하였다.
벨리댄스는 개개별 근육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무용 요소가 가미된 춤이다. 따라서 해부학적 각 근육의 위치 및 기능을 필수적으로 정리하여 기초참여자 뿐만 아니라 기존의 벨리댄스 지도자에게 해부학적 지식을 전문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는 책이다. 전무후무하게 벨리댄스를 기능해부학적으로 풀어낸 이 책을 통해 근육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움직이고 근육의 명칭과 기능을 숙지함으로써 벨리댄스 동작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재미있는 삽화를 통해 동작을 설명하여 기초참여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무엇보다 벨리댄스 전문가인 저자의 티칭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겨 벨리댄스 지도자의 현장 실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책이다.
출판사 리뷰
벨리댄스는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배워보고 싶은 취미 생활로 꼽힌다. 최근 SNS에 벨리댄스 키워드만으로 배울 수 있는 곳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벨리댄스로 공연을 하는 다양한 수준의 공연 콘텐츠도 바로 접할 수 있다.
벨리댄스 대표 동작인 부드러운 허리의 움직임과 복부의 떨림 및 화려한 의상은 지루할 틈이 없게 보는 이를 매료시킨다. 이러한 벨리댄스의 움직임은 벨리댄스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나 이미 배우기 시작한 기초참여자에게 신기함으로 때로는 신비로움으로 다가간다.
벨리댄스는 복부와 골반을 중심으로 근육을 개개별로 움직이는 춤이다. 어떻게 신체의 근육을 개개별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인가? 저자는 벨리댄스 기본 동작을 상체와 하체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하체가 움직일 때 상체가 움직이지 않고 상체가 움직일 때 하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동작한다는 뜻인데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독자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벨리댄스 기능해부학-기초 해부학적 움직임편』으로 풀어낸 저자는 우선 ‘벨리댄스는 근육을 개개별로 움직이는 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벨리댄스 동작은 참여자가 근육의 정확한 위치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어야만 올바르게 구사할 수 있으므로 이것은 곧 해부학적 전문지식을 요한다. 그러나 해부학 관련 서적을 접해본 독자가 알 수 있듯이 해부학 서적은 두께와 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내용이 광범위하며 어려운 의학용어들로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벨리댄스 참여자가 이러한 해부학 서적을 찾아가며 정확한 근육의 위치를 파악함에 있어 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현재 지도자로서 벨리댄스를 가르치고 있는 강사들 역시 보다 전문적 지식을 쌓고 싶어 서적을 찾아봐도 이와 같은 벨리댄스 서적은 찾아볼 수 가 없었다. 이에 저자는 벨리댄스 기본 동작을 구사함에 있어 필수적인 해부학적 개관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설명하고 보다 친근하고 재미있는 일러스트 삽화를 통해 보다 안정화 된 벨리댄스 동작의 전문지식을 위한 『벨리댄스 기능해부학-기초 해부학적 움직임편』을 발간했다.
벨리댄스에 대한 기본적 개관을 통해 벨리댄스의 정의하고 간략히 해부학의 역사와 기능해부학의 발생을 다루고 있는데 이것은 최근 신체에 관한 해부학적 관심의 흐름을 벨리댄스에도 접목한 저자의 기획력이 돋보이는 장이다. 기능해부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도로 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벨리댄스를 기능해부학적으로 정리한 이 책으로 벨리댄스를 보다 전문적인 춤의 한 종류로 인식되게 한다. 또한 임상 교육 사례에 국한되어 다소 설득력이 떨어질 수 있는 벨리댄스가 지닌 다양한 신체적 기대 효과를 뼈대, 관절, 근육 등의 해부학적 관점에서 의학적으로 전문성을 갖춰 설명함으로써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벨리댄스 기본자세와 헤드 슬라이드, 스네이크 암즈, 체스트 서클과 같은 상체 기초 동작 및 하체 동작들을 알기 쉽게 재미있는 일러스트로 동작을 설명한다. 근육의 개별적 움직임이 주가 되는 벨리댄스 기초 동작을 동작별로 주요 움직임 근육을 정리하여 삽화로 근육의 위치를 표기하고 근육의 주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현재 벨리댄스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강사들을 위해 10년 이상 벨리댄스를 지도하고 있는 저자의 ‘사랑쌤의 코멘트’는 여러 임상을 통한 티칭 노하우를 고스란히 전하고 있는데 이것은 벨리댄스 지도자의 현장 실무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부록으로 뼈대와 근육의 명칭, 주요 움직임 근육을 블랭크하여 개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스스로 해부학적 위치를 파악하여 복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번 『벨리댄스 기능해부학-기초 해부학적 움직임편』을 발간하면서 벨리댄스를 전문성을 갖춘 춤으로 탈바꿈시킨 저자의 열정과 노력에 감동하며 새로운 장르를 함께 개척할 수 있음에 더없는 설렘을 느낀다. 또한 『벨리댄스 기능해부학-기초 해부학적 움직임편』을 통해 현재 현장에서 벨리댄스를 지도하고 있는 강사들에게 해부학적 전문지식을 전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서적을 발간하게 된 점을 특히 기쁘게 생각한다. 부디 이 서적을 통해 많은 독자들이 벨리댄스를 전문적으로 구사하고 동작을 보다 안정화시켜 『벨리댄스 기능해부학- 기초 해부학적 움직임편』이 지니는 가치를 극대화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