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치러진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행정학 기출문제들을 각 단원별로 정리하고 문제들을 분석하면서 발견했던 공통점은 대부분의 출제문항들이 이전 시험에서 주로 출제되었던 단답형 문항들이 사라지고 각 단원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물어보는 문제와 일부 지엽적인 내용을 물어보는 문제들이 출제되면서 행정학 시험의 깊이와 폭이 더욱 심화되고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더욱 강화될 것이며, 수험생들이 시험에서 체감하는 난이도는 더욱 높아질거라 생각된다.
이 부분에서 공무원시험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분들이 행정학의 학습방향을 아래와 같이 제시된 몇 가지 전략에 따라 공부한다면, 행정학 시험에서 고득점 하는데 보다 효과적이지 않을까 생각된다.
첫째, 전체를 보고 체계적인 학습을 하자
기본서의 정리된 제목에 맞춰 전체적인 흐름과 논리를 이해하고 파악하여야 한다. 행정학은 종합적인 학문이지만 그 나름의 체계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원별로 기본적인 논리와 체계를 파악하고 흐름을 이해한 이후 세부적인 내용들은 기본개념과 의의를 명확히 하여 정리한다.
둘째, 이해 중심의 학습과 기출문제를 통해 확인하자
여러분들이 공부한 내용들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기출문제를 풀어봄으로서 확인한다. 최근의 기출문제들은 앞서 공부한 내용들이 어떤 패턴으로 출제되고, 내가 무엇을 정확히 모르고 간과했는지 되돌아보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또한 기출문제는 내용이 조금씩 다르지만 비슷하게 반복되어 출제되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고 정리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행정학 내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 갈 수 있다.
셋째, 기본서중심의 반복 학습이 필요하다.
행정학은 비정형적인 사회과학에 해당하는 학문이다. 과학공식이나 수학공식처럼 요점정리노트를 만들어 암기하는 방식은 지양하고(물론 각 개념의 이해를 돕는 사례를 정리해두어야 한다), 기본서를 반복하여 공부하고 내용을 꾸준히 읽어가면서 새로이 추가된 사항이나 법 개정 부분들은 기본서에 첨삭하여 정리한다면 시험준비에 부족함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넷째, 나는 합격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가장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나는 합격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1년 이상의 긴 수험기간동안 슬럼프 없이 꾸준히 공부할 수 있도록 자기 자신의 체력관리와 자기 확신이 있다면 여러분의 목표는 꼭 이루어 질것이다.
최근에 공무원시험에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우선 서울시, 지방직 시험이 같은 날 치러짐으로써 경쟁률도 낮아지고 커트라인도 낮아지면서 시험을 준비하는 부담이 과거에 비해 훨씬 줄어 들었고, 정년퇴직 공무원의 수가 증가하면서 신규공무원의 채용규모도 사상 최대로 확대되고 있다.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들은 과거에 비해 훨씬 유리한 상황이고 이런 여건에서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공부한다면 충분히 목표를 달성하리라 생각한다.
우리에게는 항상 많은 기회가 주어진다.
그러나 항상 그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돌아갈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