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송원영 전공국어 문학교육론 실전 문제집

송원영 전공국어 문학교육론 실전 문제집

  • 송원영
  • |
  • 위드북
  • |
  • 2019-07-12 출간
  • |
  • 637페이지
  • |
  • 190 X 260 X 34 mm /1301g
  • |
  • ISBN 9791161320885
판매가

31,000원

즉시할인가

27,9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9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부
문학 교육과정

제1장 문학의 본질

제1절 문학의 개념 ㆍ 14

테마① 가치 있는 경험과 심미적 인식의 형상화 ㆍ14
① [가치 있는 경험을 언어적으로 형상화한 예술] ㆍ14
1번 황지우,「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ㆍ14
2번 윤동주,「아우의 인상화」/윤동주,「소년」 ㆍ16
3번 오장환,「고향 앞에서」/황석영,「삼포 가는 길」에서 ㆍ17
② [심미적 인식을 형상화한 예술] ㆍ191~2번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는」 ㆍ193번 최두석,「성에꽃」 ㆍ21
테마② 소통으로서의 문학 ㆍ24
1번「운영전」에서 ㆍ24
2번 윤흥길,「종탑 아래서」에서 ㆍ25

제2절 문학의 기능(가치) ㆍ 28

1번 한용운,「님의 침묵」 ㆍ28
2번 서정주,「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 ㆍ29
3번 황순원,「카인의 후예」에서 ㆍ30
4번 허준,「잔등」(殘燈)에서 ㆍ32
5번 백석, 수라(修羅) ㆍ34
6번 이태준,「돌다리」에서 ㆍ35

제3절 문학적 가치의 내면화 ㆍ 38

1번 이범선,「오발탄」에서 ㆍ38
2번 황순원,「너와 나만의 시간」중에서 ㆍ41
3번 김동리,「역마」중에서 ㆍ43

제2장 문학의 수용과 생산
ㆍ 문학 수용 교육 내용

제1절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연관 ㆍ 45

테마① 서정 갈래의 유기적 구조 ㆍ45
1번 김수영,「풀」 ㆍ45
2번 정지용,「고향」 ㆍ47
3번 정지용,「춘설」 ㆍ49
4번 박목월,「이별가」 ㆍ51
5번 황지우,「겨울 - 나무로부터 봄 - 나무에로」 ㆍ52
테마② 서사, 극 갈래의 유기적 구조 ㆍ54
1번 손창섭,「비 오는 날」에서/황순원,「학」에서 ㆍ54
2번 이효석,「메밀꽃 필 무렵」에서 ㆍ55
3번 이문구,「유자소전(兪子小傳)」에서 ㆍ57
4번 윤흥길,「장마」에서 ㆍ59
5번 이강백,「파수꾼」에서 ㆍ62
테마③ 고전 문학의 유기적 구조 ㆍ64
1번 윤선도,「어부사시사」에서 ㆍ64

제2절 다양한 맥락 ㆍ 66

테마① 작가 맥락 ㆍ66
1번 안조환,「만언사(萬言詞)」에서 ㆍ66
테마② 사회 ㆍ 문화적 맥락 ㆍ68
1번 백석,「국수」 ㆍ68
2번 백석,「수라(修羅)」 ㆍ70
3번 김승옥,「서울 1964년 겨울」 ㆍ71
4번 최인훈,「광장」에서 ㆍ73
5번 박봉우,「휴전선」/윤흥길,「장마」에서/이강백,「들판에서」 ㆍ75
테마③ 상호텍스트적 맥락 ㆍ 문학사적 맥락 ㆍ79
1번 김영랑,「오월」 ㆍ79
2번 서정주,「견우의 노래」/ 문병란,「직녀에게」 ㆍ80
3번 김춘수,「꽃을 위한 서시」/신동집,「오렌지」 ㆍ81
4번「황조가」/「동동」에서/김영랑,「오월」 ㆍ83
5번 최인호,「타인의 방」에서/이상,「날개」에서/신경숙,「외딴 방」에서 ㆍ84
테마④ 종합 ㆍ86
1번 신석정,「꽃덤불」/채만식,「탁류」 ㆍ86

제3절 주체적 평가 ㆍ 다양한 해석 ㆍ 89

테마① 다양한 해석 ㆍ89
1번 황지우,「너를 기다리는 동안」 ㆍ89
2번 윤동주,「자화상」 ㆍ91
3번 하근찬,「흰 종이 수염」에서 ㆍ92
테마② 문학 감상의 관점 ㆍ93
1번 박목월,「나그네」와 비평문 ㆍ93
2번 김유정, 『동백꽃』과 비평문 ㆍ95
3번 이기영, 『고향』과 기타 자료 ㆍ97
4번 황순원, 『카인의 후예』와 기타 자료 ㆍ99
5번 이육사,「청포도」와 기타 자료 ㆍ102

제4절 공감과 비판 ㆍ 104

1번 백석,「팔원(八院), 서행 시초(西行詩抄) 3」/현진건,「고향」에서 ㆍ104
2번「홍계월전」 ㆍ108
3번 채만식,「태평천하」/최두석,「성에ㆍ」 ㆍ110
ㆍ 문학 생산 교육 내용 ㆍ112
1번 윤동주,「아우의 인상화」 ㆍ113
2번 곽재구,「사평역에서」/ 임철우,「사평역」 ㆍ114
3번 김춘수,「꽃」/장정일,「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수 있다면-김춘수의 "꽃’을 변주하여」 ㆍ118
4번 장정일,「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수 있다면-김춘수의 "꽃’을 변주하여」/오규원「‘꽃’의 패로디」 ㆍ120
5번 황순원,「독 짓는 늙은이」 ㆍ122

제3장 문학과 태도(문학과 삶)

제1절 자아 성찰 및 타자 이해 ㆍ 125

테마① 자아 성찰 ㆍ125
① [자아 성찰] ㆍ125
1번 김수영,「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 ㆍ125
2번 정호승,「슬픔이 기쁨에게」 ㆍ127
3번 백석,「흰 바람벽이 있어」 ㆍ129
4번 윤동주,「별 헤는 밤」 ㆍ131
5번 윤동주,「자화상」/신경숙, 『외딴 방』에서 ㆍ132
6번 윤동주,「또 다른 고향」 /오세영,「자화상ㆍ2」 ㆍ134
7번 이상,「거울」/윤동주,「또 다른 고향」 ㆍ136
8번 김수영,「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윤동주,「별 헤는 밤」 ㆍ138
9번 정약용,「수오재기」 ㆍ141
② [성장과 성찰] ㆍ142
1번 현덕,「하늘은 맑건만」 ㆍ142
2번 윤동주,「서시」/현덕,「하늘은 맑건만」에서 ㆍ145
3번 이동하,「장난감 도시」에서/하근찬,「흰 종이 수염」에서 ㆍ148
4번 박완서,「나목」에서/오정희,「유년의 뜰」에서 ㆍ151
5번 오정희,「옛 우물」에서 ㆍ154
테마② 타자 이해 ㆍ156
1번 문태준,「평상이 있는 국숫집」 ㆍ156
2번 박완서,「부끄러움을 가르쳐 드립니다.」에서/오정희,「소음 공해」에서/윤동주,「쉽게 씌어진 시」 ㆍ157
3번 현진건,「고향」에서 ㆍ160
4번 이청준,「줄」에서 ㆍ163
5번 양귀자,「비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에서 ㆍ166

제2절 공동체의 문제 의식 ㆍ 공동체 문화 참여 ㆍ 168

테마① 공동체 문화 발전 ㆍ 상생과 공존 ㆍ168
1번「심청가」 중에서 ㆍ168
2번「바리데기」/「심청가」 중에서 ㆍ171
3번 심청가」중에서/전상국,「우상의 눈물」에서 ㆍ173
테마② 공동체에서 문학의 기능 ㆍ 역할 ㆍ178
1번「설씨녀(薛氏女)」에서 ㆍ178
2번「설씨녀(薛氏女)」에서/심훈,「상록수」에서 ㆍ179
테마③ 공동체의 다양한 사회 ㆍ 문화적 가치 ㆍ181
① [사회적 소수자] ㆍ181
1번 고정희,「우리 동네 구자명씨」/「성에ㆍ」/서정주,「신선 재곤이」 ㆍ181
② [환경 문제] ㆍ183
1번 김광규,「성북동 비둘기」/정현종,「들판이 적막하다」/한승원,「누이와 늑대」에서 ㆍ183
2번 김원일,「도요새에 관한 명상」에서 ㆍ186
3번 김광규,「서울 꿩」/김광섭,「성북동 비둘기」/김원일,「도요새에 관한 명상」에서 ㆍ189
④ [종합] ㆍ193
1번 김광섭,「성북동 비둘기」/하종오,「원어(原語)」/서정주,「신선 재곤이」 ㆍ193
2번 복효근,「잔디에게 덜 미안한 날」/김려령,「완득이」에서/서정주,「신선 재곤이」 ㆍ195

제4장 문학 교수 ㆍ 학습 및 평가

제1절 문학 교육관 ㆍ 198

테마① 문학을 바라보는 3가지 관점 ㆍ198
1번 ㈎ 황진이, ‘동짓달 기나긴 밤을~’/㈏ 정지용, ‘향수’ ㆍ198
테마② 문학 교육관 및 고전 문학 지도 ㆍ200
1번「청산별곡」 ㆍ200
2번「서경별곡」 ㆍ202
3번「심청전」에서 ㆍ205
4번「토끼전」 ㆍ206
5번 권근,「주옹설」 ㆍ209
6번 김만중,「사씨남정기」에서 ㆍ211

제2절 문학 교수ㆍ학습 모형 ㆍ 213

테마① 반응 중심 교수 ㆍ 학습 모형 ㆍ213
1번 장석남,「배를 밀며」 ㆍ213
2번 황지우,「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ㆍ215
테마② 대화 중심 교수 ㆍ 학습 모형 ㆍ217
1번 이용악,「낡은 집」 ㆍ217
2번「정읍사」 ㆍ220

제3절 문학 평가 ㆍ 223

1번 장만영,「달·포도·잎사귀 」/나도향,「그믐달」 ㆍ223
2번 기형도,「엄마 걱정」 ㆍ226

제2부
문학의 갈래 이론과 문학 교육

제1장 서정 교육 지도

제1절 시적 화자 ㆍ 232

1번 나희덕,「귀뚜라미」 ㆍ232
2번 한용운,「나룻배와 행인」 ㆍ234
3번 백석,「산비」/정지용,「비」 ㆍ236
4번 박목월,「나무」 ㆍ237
5번 김소월,「접동새」 ㆍ238
6번 기형도,「엄마 걱정」 ㆍ239
7번 이육사,「절정」 ㆍ241
8번 장석남,「배를 매며」/장석남,「배를 밀며」 ㆍ242

제2절 비유ㆍ운율ㆍ상징ㆍ심상 ㆍ 244

테마① 운율(음악성) ㆍ244
1번 김억,「연분홍」 ㆍ244
2번 김소월,「가는 길」 ㆍ245
3번 김소월「가는 길」/박목월,「산도화(山桃花)」 ㆍ247
4번 김영랑「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ㆍ249
5번 김수영,「폭포」 ㆍ250
테마② 비유와 상징(함축성) ㆍ252
① [비유] ㆍ252
1번 이장희,「봄은 고양이로다」 ㆍ252
2번 함민복,「달」/최영철,「밤에」 ㆍ253
② [상징] ㆍ254
1번 김수영,「눈」/이육사,「절정」 ㆍ254
2번 강은교,「우리가 물이 되어」 ㆍ255
3번 강은교,「우리가 물이 되어」/주요한,「불노리」 ㆍ257
4번 이육사,「절정」/김수영「눈」/황현,「절명시 3」 ㆍ259
5번 윤동주,「서시」/안도현,「우리가 눈발이라면」 ㆍ261
6번 윤동주,「새로운 길」/김기림,「길」 ㆍ263
7번 서정주,「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최일남,「흐르는 북」 ㆍ264
테마③ 심상(회화성, 형상성) ㆍ266
1번 박남수,「아침 이미지 1」 ㆍ266
2번 박재삼,「추억에서」/기형도,「엄마 걱정」 ㆍ267
3번 황지우,「겨울 - 나무로부터 봄 ㆍ 나무에로」 ㆍ268
4번 윤선도,「어부사시사」/興亡(흥망)이 有數(유수)ㆍ니(원천석) ㆍ269
5번 황동규,「조그만 사랑 노래」 /황동규,「더 조그만 사랑 노래」 ㆍ271
6번 이육사,「청포도(靑葡萄)」/고정희,「상한 영혼을 위하여」 ㆍ272
7번 문태준,「평상이 있는 국숫집」/나태주,「바다에서 오는 버스」 ㆍ274
테마④ 다양한 표현 방법 ㆍ276
1번 김소월,「먼 후일」/유치환,「깃발」 ㆍ276
2번 정호승,「슬픔이 기쁨에게」/김수영,「파밭가에서」 ㆍ278
3번 함민복,「사과를 먹는다」 ㆍ279
4번 황지우,「한국 생명 보험 회사 송일환 씨의 어느 날」 ㆍ281
테마⑤ 종합적 요소 ㆍ282
1번 박두진,「향현(香峴)」/강은교,「우리가 물이 되어」 ㆍ282
2번 이장희,「봄은 고양이로다」/정지용,「춘설」 ㆍ284
3번 송수권,「산문에 기대어」/박목월,「하관」 ㆍ286
4번 김수영,「파밭가에서」/신동엽,「껍데기는 가라」 ㆍ288
5번 박목월,「임에게」/김영랑「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김현승,「가을의 기도」 ㆍ290
6번 동지(冬至)ㅅㆍ 기나긴 밤(황진이)/梨花雨 흣ㆍ릴 제(계랑) ㆍ292
7번 정지용,「향수」/정지용,「고향」/윤동주,「또 다른 고향」 ㆍ293
8번 이장희,「봄은 고양이로다」/안도현,「우리가 눈발이라면」 ㆍ296

제2장 서사 교육 지도

제1절 갈등의 진행과 해결 과정 ㆍ 297

테마① 갈등의 양상 ㆍ 갈등의 진행 과정 ㆍ297
1번 박완서,「자전거 도둑」 ㆍ297
2번 현덕,「하늘은 맑건만」 ㆍ300
3번 김유정,「동백꽃」 ㆍ303
4번 최일남,「흐르는 북」 ㆍ305
테마② 갈등의 구성 요소 ㆍ 인물과 사건 ㆍ308
1번 윤흥길,「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에서 ㆍ308
2번 채만식,「탁류」에서 ㆍ310
3번 이광수, 『무정』에서 ㆍ312
테마③ 구성(플롯) ㆍ315
1번 김승옥,「무진기행」에서 ㆍ315
2번 염상섭,「만세전」에서/김승옥,「무진기행」 ㆍ317
3번 이청준,「병신과 머저리」 ㆍ319

제2절 시점과 서술 ㆍ 321

테마① 시점과 서술의 성격 ㆍ321
1번 신경숙,「엄마를 부탁해」에서 ㆍ321
2번 이태준,「달밤」에서/김동리,「화랑의 후예」중에서 ㆍ322
3번 윤흥길,「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에서/이태준,「달밤」 중에서 ㆍ324
테마② 시점과 서술의 실현 양상 ㆍ326
1번 박태원,「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박태원,「딱한 사람들」에서/이상,「지주회시」에서 ㆍ326

제3절 주제와 배경 ㆍ 327

1번 손창섭,「비 오는 날」에서 ㆍ327
2번 이청준,「소문의 벽」에서 ㆍ329

제4절 표현의 형성원리와 효과 ㆍ 332

1번 현진건,「운수 좋은 날」에서/전영택,「화수분」에서 ㆍ332

제3장 극 교육 지도

제1절 희곡의 특성 ㆍ 333

1번 천승세,「만선」에서 ㆍ333

제2절 희곡의 다양한 양상 ㆍ 334

테마① 근대극 ㆍ334
1번 유치진,「토막」에서 ㆍ334
2번 함세덕,「동승」에서/ 유치진,「소」에서 ㆍ337
테마② 현대극 ㆍ339
1번 이근삼,「원고지」에서 ㆍ339
2번 이강백 ,「결혼」에서 ㆍ341
3번 이강백,「파수꾼」에서/이강백,「들판에서」 ㆍ342
테마③ 전통극과 현대극의 관련성 ㆍ345
1번「봉산탈춤」에서/이근삼,「원고지」에서 ㆍ345
2번「봉산탈춤」에서/이강백,「결혼」에서 ㆍ348

제4장 교술 교육 지도
1번 이상,「권태」 ㆍ350

제3부
문학사와 문학교육

제1장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제1절 여성 화자의 전통 ㆍ 352

1번 정철,「속미인곡」에서/정서,「정과정(鄭瓜亭)」에서/한용운,「해당화」 ㆍ352
2번 정철,「속미인곡」/정서, ‘정과정(鄭瓜亭)/김소월,「진달래꽃」 ㆍ353
3번「서경별곡(西京別曲)」/황진이,「내 언제 무신(無信)ㆍ야」/「황조가」/「경기 아리랑」 ㆍ355
4번 정철,「속미인곡」 ㆍ357

제2절 자연 친화 ㆍ 359

1번 김천택,「강산(江山) 죠흔 경(景)을」/정철,「관동별곡」에서/신석정,「대숲에 서서」 ㆍ359

제3절 해학과 풍자 ㆍ 361

1번 채만식,「태평천하」에서/작자 미상,「심청가(沈淸歌)」에서 ㆍ361
2번「춘향가」에서/채만식,「태평천하」중에서 ㆍ362
3번 채만식,「태평천하」에서/신재효,「흥보가」에서/「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 ㆍ364

제4절 종합적 요소 ㆍ 366

1번「청산별곡」/김소월,「진달래꽃」/ 서정주,「추천사」 ㆍ366
2번「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윤선도,「만흥」/이색,「부벽루」 ㆍ368
3번「정읍사」 ㆍ369

제2장 고전시가문학사 교육

제1절 상고시가 ㆍ 371

테마① 문학사적 의의 ㆍ371
1번.「구지가」와 배경설화 ㆍ371
2번.「구지가」/「해가」 ㆍ373
3번.「풍요」/「구지가」 ㆍ375
테마② 작품 감상 ㆍ376
1번「公無渡河歌」 ㆍ376
2번「구지가」/「석척가」/「동명왕 신화」에서 ㆍ377

제2절 향가 ㆍ 379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379
1번「제망매가」/길재,「五百年(오백 년) 都邑地(도읍지)를」 ㆍ379
2번「찬기파랑가」 ㆍ380
테마② 작품 감상 ㆍ381
①「찬기파랑가」 ㆍ3811~3번
②「제망매가」 ㆍ3851~2번
③ 기타 ㆍ3871~2번

제3절 고려속요 ㆍ 391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391
1번「청산별곡」 ㆍ391
2번「정석가」/「가시리」 ㆍ392
테마② 작품 감상 ㆍ394
①「서경별곡」 ㆍ3941번
②「만전춘별사」 ㆍ3971번
③ [동동] ㆍ3981~2번
④「정석가」 ㆍ4021번

제4절 경기체가 ㆍ 404

1~2번

제5절 시조 ㆍ 406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406
① [시조의 양식적 특성] ㆍ4061번
② [시조 양식의 변모] ㆍ407
1번 五百年 都邑地를(길재)/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 ㆍ407
2번 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댁(宅)들에 동난지이 사오. ㆍ409
3번 이신의,「단가」/나모도 바히 돌도 업슨 뫼헤 ㆍ410
4번 어이 못 오던다 무ㆍ 일로 못 오던다/靑天(청천)에 ㆍㆍ 기러기 ㆍ 쌍(雙)/「정선 아리랑」 ㆍ411
테마② 작품 감상 ㆍ413
1번 맹사성,「강호사시가」 ㆍ413
2번 梨花雨 흣ㆍ릴 제 울며(계랑)/머귀* 닙 디거야 알와다(정철)/내 언제 무신(無信)ㆍ야(황진이) ㆍ414
3번 춘산(春山)에 눈 노기ㆍ(우탁)/내 언제 무신(無信)ㆍ야(황진이)/이황,「도산십이곡」 ㆍ415
4번 이현보,「어부가」/윤선도,「어부사시사」 ㆍ416
5번 首陽山(수양산) 바라보며(성삼문)/집方席(방석) 내지 마라(한호)/어이 못 오던다 ㆍ416
6번梨花(이화)에 月白(월백)ㆍ고(이조년)/靑天(청천)에 ㆍㆍ 기러기/ 空山(공산)에 우난 접동(박효관)/귀ㆍ리 져 귀ㆍ리 어엿부다 져 귀ㆍ리 ㆍ417
7번 눈 마자 휘어진 대를(원천석)/십 년(十年)을 경영(經營)ㆍ여(송순)/동지(冬至)ㅅㆍ 기나긴 밤을(황진이) ㆍ418
8번 興亡(흥망)이 有數(유수)ㆍ니(원천석)/동지(冬至)ㅅㆍ 기나긴 밤을(황진이)/이황,「도산십이곡」/창(窓) 내고쟈 창을 내고쟈 ㆍ419
9번 신의식,「단가」 ㆍ422

제6절 가사 ㆍ 424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424
1번 十年(십 년)을 經營(경영)ㆍ여(송순)/정극인,「상춘곡」 ㆍ424
2번 윤선도,「오우가」에서/정극인,「상춘곡」 ㆍ426
테마② 조선 전기 가사 작품 감상 ㆍ427
1번「사미인곡(思美人曲)」 ㆍ427
2번「속미인곡」 ㆍ428
테마③ 조선 후기 가사 작품 감상 ㆍ430
① [변모 양상] ㆍ430
1번 정훈,「탄궁가(嘆窮歌)」 ㆍ430
2번 秋江에 밤이 드니(月山大君)/맹사성,「강호사시가」에서-/박인로,「누항사(陋巷詞)」에서 ㆍ432
3번「갑민가」중에서 ㆍ434
② [강호한정] ㆍ435
1번 박인로,「누항사(陋巷詞)」에서/안조환,「만언사(萬言詞)」에서/권구,「병산육곡(屛山六曲)」에서 ㆍ435
③ [유배가사] ㆍ438
1번 정철,「속미인곡(續美人曲)」/안조환,「만언사(萬言詞)」 ㆍ438
2번 정철,「속미인곡(續美人曲)」/안조환,「만언사(萬言詞)」/김진형,「북천가」 ㆍ440
④ [기행가사] ㆍ443
1번. 정철,「관동별곡(關東別曲)」 중에서/홍순학「연행가燕ㆍ歌)」중에서 ㆍ443
⑤ [세태 풍자] ㆍ446
1번 허전,「고공가(雇工歌)」에서/이원익,「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ㆍ446
2번「용부가」(庸婦歌)」에서 ㆍ448
3번「용부가(庸婦歌)」에서/「우부가」에서 ㆍ450
⑥ [여성 향유 가사] ㆍ451
1번 허난설헌「규원가」에서/임제,「무어별(無語別)」 ㆍ451
2번 허난설헌「규원가」에서/「덴동어미 화전가」에서 ㆍ452
3번「덴동어미 화전가」에서 /이황,「도산십이곡」 ㆍ454
4번 허난설헌,「규원가」에서/「온달전」에서/「덴동어미 화전가」에서 ㆍ456

제7절 잡가 및 민요 ㆍ 460

테마① 잡가 ㆍ460
1번「유산가(遊山歌)」에서/「선유가」에서 ㆍ460
2번「제비가」 중에서 ㆍ461
3번「유산가」 ㆍ462
테마② 민요 ㆍ463
1번 작자 미상,「논매기 노래」/작자 미상,「베틀 노래」 ㆍ463
2번 작자 미상,「상저가(相杵歌)」/작자 미상,「베틀 노래」/정약용,「보리타작(打麥行)」 ㆍ465
3번 댁(宅)들에 동난지이 사오/「시집살이 노래」 ㆍ466

제8절 기타 ㆍ 468

1번 정인지 외,「용비어천가」에서/정도전,「신도가(新都歌)」/정철,「훈민가」에서 ㆍ468

제3장 고전산문문학사 교육

제1절 신화ㆍ전설ㆍ민담 ㆍ 470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470
1번 『주몽 신화』/『바리데기』 ㆍ470
2번「김현감호」(金現感虎)에서/바리공주」 ㆍ473
테마② 작품 감상 ㆍ475
1번「주몽신화」 ㆍ475
2번「바리공주(바리데기)」 ㆍ478
3번「바리공주(바리데기)」/「아기장수 이야기」 ㆍ481

제2절 가전체 ㆍ 483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483
1번「국선생전」 ㆍ483
테마② 작품 감상 ㆍ485
1번「국선생전」 ㆍ485

제3절 전기소설 ㆍ 489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489
1번 김시습,「만복사저포기」중에서 ㆍ489
2번「수삽석남(首揷石枏)」/「이생규장전」 ㆍ491
테마② 작품 감상 ㆍ493
①「이생규장전」 ㆍ4931~2번
②「만포사저포기」 ㆍ4981번
③「최척전」 ㆍ5001~2번
④ [종합] ㆍ5031번「이생규장전」에서/「최척전」에서/「주생전」에서 ㆍ503

제4절 영웅(군담)소설 ㆍ 507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507
1번「소대성전」에서 ㆍ507
2번「홍계월전」에서 ㆍ510
3번「임진록」중에서/박씨전(朴氏傳)」에서 ㆍ511
테마② 작품 감상 ㆍ513
① [민중 영웅 소설] ㆍ513
1번「박씨전」 ㆍ513
2번「임진록」 ㆍ514
3번「임경업전」/「김영철전」 ㆍ518
② [귀족 영웅 소설] ㆍ521
1번「조웅전」 ㆍ521
③ [기타 종합] ㆍ525
1~2번「홍계월전」에서 ㆍ525
3번 작자 미상,「김원전」에서 ㆍ530
4번「숙향전」에서 ㆍ533
5번「전우치전」에서 ㆍ535
테마③ 고전 소설의 유통 방식 ㆍ538
1번 조수삼, 『기이』/「소대성전」에서 ㆍ538
2번 심노숭, 『남천일록』 /조수삼, 『기이』/「소대성전」에서/「임경업전」에서 ㆍ539

제5절 몽유록계ㆍ몽자류 소설 ㆍ 541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541
1번「조신의 꿈」에서/「구운몽」에서/「원생몽유록」에서 ㆍ541
2번「운영전」에서 ㆍ543
테마② 작품 감상 ㆍ544
1번「조신의 꿈」 ㆍ544
2번 남영로,「옥루몽」에서 ㆍ545

제6절 가정ㆍ 가문 소설 ㆍ 548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548
1번「완월회맹연」에서 ㆍ548
2번 김만중,「사씨남정기」에서/조성기,「창선감의록」에서 ㆍ549
테마② 작품 감상 ㆍ551
①「사씨남정기」 ㆍ5511~2번
②「장화 홍련전」 ㆍ5561~2번
③ [종합] ㆍ559
1번 작자 미상,「창선감의록」 ㆍ559
2번「홍계월전」에서/김만중,「사씨남정기 ㆍ562

제7절 애정 소설 ㆍ 565

테마① 작품 감상 ㆍ565
1번「운영전」 ㆍ565
2번「주생전」 ㆍ570
3번「최척전」에서/「주생전」 ㆍ573
4번「채봉감별곡」 ㆍ577

제8절 판소리 및 판소리계 소설 ㆍ 579

테마① 양식적 특성 ㆍ579
1번 채만식,「태평천하」에서/작자 미상,「심청가(沈淸歌)」에서 ㆍ579
2번「흥부전」에서/-「심청전」에서 ㆍ580
테마② 작품 감상 ㆍ582
1~2번「흥부전(흥부가)」 ㆍ582
3번「춘향전(춘향가)」 ㆍ587

제9절 박지원의 한문소설 ㆍ 588

1번 임춘,「공방전(孔方傳)」에서/박지원,「호질」 ㆍ588
2번「광문자전」에서/「민옹전」에서 ㆍ590
3번「허생전」에서 ㆍ592

제10절 조선 후기 다양한 유형의 고전 소설-우화소설, 세태소설 ㆍ 595

1번「까치전」에서 ㆍ595
2번「황새결송」 ㆍ597
3번「서동지전(鼠同知傳)」 ㆍ599
4번「이춘풍전」에서 ㆍ601
5번 홍세태,「김영철전」에서 ㆍ603
6번 작자 미상,「금방울전」 ㆍ605

제11절 기타 고전 산문 ㆍ 607

테마① 설 장르 ㆍ607
1번 성현,「한 삼태기의 흙」 ㆍ607
테마② 야담, 한문 단편 ㆍ609
1번「구복막동(舊僕莫同)」/「변사행」 ㆍ609
테마③ 고전 수필 - 내간 ㆍ611
1번「弔針文」 중에서/「東溟日記」중에서 ㆍ611

제4장 현대시문학사 교육
테마① 개화기 ㆍ613
1번 최남선,「경부 철도가」 ㆍ613
2번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이해조,「구마검」에서 ㆍ615
테마② 1920년대 ㆍ618
1번 김소월,「접동새」 ㆍ618
테마③ 1930년대 ㆍ619
1번 김광균,「외인촌」 ㆍ619
2번 정지용,「향수」/정지용,「고향」 ㆍ620
3번 김영랑,「거문고」/김영랑,「독을 차고」 ㆍ622
테마④ 1960년대 ㆍ623
1번 김수영「눈」 ㆍ623

제5장 현대산문문학사 교육
테마① 개화기~1910년대 ㆍ625
1번 안국선,「금수회의록」 중에서/이해조,「자유종」에서/이광수, 『무정』에서 ㆍ625
테마② 1920~30년대 ㆍ627
1번 박태원,「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ㆍ627
테마③ 1940년대~해방문단 ㆍ628
1번 황순원,「목넘이 마을의 개」에서/황순원,「이리도」에서 ㆍ628
2번 채만식,「민족의 죄인」/이태준,「해방 전후」 ㆍ630
테마④ 해방 이후 ㆍ631
1번 오영수,「화산댁이」에서 ㆍ631
2번 최인훈, 『광장』에서 ㆍ634
3번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서 ㆍ63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