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

  • 이경철
  • |
  • 일송북
  • |
  • 2019-04-22 출간
  • |
  • 364페이지
  • |
  • 151 X 226 X 22 mm /531g
  • |
  • ISBN 9788957322710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불교적 관점서 살핀 한국현대시사 1백10년 명시(名詩) 세계

문학평론가이자 시인인 이경철 씨가 우리 현대시를 불교적 관점에서 살핀 평론집 『현대시에 나타난 불교』를 펴냈습니다(일송북 刊, 2만원). 총 8부로 나뉜 이번 평론집에서는 20세기 초 최남선과 이광수 2인문단시대로부터 시인 2만 명에 이르는 현재까지 우리 현대시사 1백10년 주요시인 55명의 시 속에 드러난 불교적 양상을 시대 순으로 깊이 있게 살피고 있습니다.
지난 30여 년 동안 문학기자와 문예지편집자로 시단 한가운데서 현장평론해오며 필자는 우리 시와 불교는 떼려야 뗄 수 없음을 실감했습니다. 특히 지난 2008년 한국현대시 100주년 기념 명시·명화 100선 시화선집 『꽃필 차례가 그대 앞에 있다』를 펴내기 위해 좋은 시 100편을 고르며 시대와 경향을 망라해 좋은 시에는 불교가 유전자처럼 각인돼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오래전 토착화된 불교는 우리 민족 심성을 흘러내리는 문화적 원형(原型)이라는 이런 실감을 바탕으로 이번 책에서는 시선일여(詩禪一如)니 시심불심(詩心佛心)이란 말을 우리 현대시사에서 구체적,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각 시대 정치, 사회적 흐름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시와 불교는 만나고 있음은 물론 신체시, 자유시, 서사시, 산문시 등 우리 현대시 최초의 시 양식 출현도 불교와 무관치 않음을 밝혀놓았습니다. 초현실주의, 해체주의, 아방가르드 등 새로운 시적 경향도 불교의 자장권 안에 있음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불교는 우리 현대시사 1백10년의 도반(道伴)임을 최초로 실증적으로 밝힌 책이 이번 평론집입니다.
21세기 들어 우리는 사이버 신유목시대로 정처 없이 접어들었습니다. 또 가상현실이나 인공지능이 세를 키우며 인간과 사회의 정체성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이런 혼란과 혼돈의 시대일수록 사회와 인간의 정처와 정체성을 찾기 위해 불교가 더 긴요해질 것입니다.
실제로 21세기 들어 더 많은 시인들이 불교에서 더 나은 시의 길을 찾고 있고 또 신춘문예나 문예지 등단작으로 불교적 에너지가 충만한 시들을 더 많이 뽑히고 있습니다. 이런 우리 시단의 실상을 이번 평론집은 그대로 보여주면서 앞으로 시가 나아갈 방향까지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현대시사와 괘를 같이하며 현대시 명편들을 불교적 관점에서 감상하며 살핀 이 책이 독자 여러분께 마음의 위로와 삶의 가없는 깊이로 가닿게, 우리 시 진작과 올바른 방향을 위해 많은 관심과 보도 부탁드립니다.


목차


머리말 I 8

1부
현대시 초창기를 연 ‘님’으로서의 불교

최남선 I 우리 문물은 다 불교적 감화(感化)에서 비롯된 것 I 12
이광수 I 시, 소설로 불교를 널리 포교한 헤아릴 수 없는 공덕 I 18
1920년대 동인지문단시대 시 형태와 내용에 배어든 불교 I 23
한용운 I 현대시에 전통과 형이상학적 깊이를 더해준 불교 I 30

2부
현대시 원심력으로 일파만파 번져나간 불교

김달진 I 겁외(劫外)의 도(道)가 천연히 빛나는 서정세계 I 46
백석 I 민족 전래 공동체 삶을 원융한 화엄적 세계로 시화 I 54
서정주 I 체득된 불교관과 문법으로 연 현대시 최고 경지 I 62
신석초 I 몸과 마음, 관념과 구체 사이에서 우러나는 서정 I 75
조지훈 I 선적 관조의 서정과 하화중생(下化衆生) 실천의 시 I 80
김구용 I 언어도단 지경을 시화(詩化)한 불교적 초현실주의 I 87
이원섭 I 쉽고 개결한 시편으로 깨우치는 선적 화두 I 91

3부
해방 후 한국현대시 지형도에 전 방위로 배어든 불교

정통서정과 참여, 실험파의 대부 서정주와 김수영, 김춘수 I 96
김춘수 I 해탈을 향한 전위적인 시적 실험 I 100
김수영 I 온몸으로 직격해 들어간 부정과 직관의 시학 I 110
이형기 I 백척간두에서 일군 공(空)과 적멸(寂滅)의 시학 I 124
박희진 I 부처님 뜻과 아름다움을 평생 시로 모신 시(詩)보살 I 128
신경림 I 민중적 서정시로 연 원융무애한 화엄세상 I 132
고은 I 쉼 없이 다른 무엇이 돼가는 무주열반(無住涅槃)의 시 I 141
황동규 I 길 떠돌며 도에 이른 운수납자(雲水衲子) 시인 I 147

4부
1960년대 시의 전 층위와 경향에 유전자마냥 각인된 불심

시의 본질과 역할 고심하며 오늘의 시 지형도 일궈간 1960년대 시 I 154
정진규 I 이미지와 운율의 실감으로 드러낸 율려(律呂)의 화엄세계 I 158
정현종 I 고해를 가볍게 건네주는 시의 위안과 감동 I 162
오세영 I 은산철벽(銀山鐵壁)을 깨뜨리는 지성과 감성의 중도(中道) I 166
홍신선 I 부정을 넘어 실감으로 드러나는 불교의 핵심 I 171
박제천 I 몸 바꿔가며 만물과 즉물적으로 어우러지는 극락 I 177
문효치 I 천수관음 대자대비에서 우러난 연민과 그리움의 서정 I 181
이승훈 I 서구적 아방가르드 백척간두에서 만난 선 I 185
오규원 I 선적 직관의 날이미지로 드러낸 두두물물의 실상 I 189
허영자 I 민족 심성에 밴 불심의 자연스런 서정화 I 193
김초혜 I 인간적인 애증의 사랑굿, 그리움으로 이른 열반 I 198
천양희 I 생체험의 절정에서 터져 나온 불이(不二)의 절대 지경 I 202
김지하 I 이 땅에 극락정토를 이루려는 생명과 살림의 시 I 206

5부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을 구현한 1970년대 시

순수와 참여, 불교적 깨달음과 시는 불이 I 212
윤후명 I 차안(此岸)에서 꿈꾸며 실현하는 피안(彼岸)의 유토피아 I 215
조정권 I 동서양 사상과 종교, 문학 궁극의 정신으로 맞닿은 불교 I 219
나태주 I 어린애 같은 맨몸 맨 마음으로 드러내는 해맑은 시편 I 223
이성선 I 설악산 도량 삼아 일군 우주와 겹치는 찰나의 황홀한 시학 I 228
김영석 I 서정과 불도(佛道)를 융합하는 언어도단의 길 I 233
최동호 I 불립문자(不立文字)와 불이문자(不離文字) 틈서 우러나는 극서정 I 239
정호승 I 일상에 밴 불교를 차용한 대중적 공감력과 시적 깊이 I 245
최승호 I 도시문명에 맞선 날선 자의식 끝에 만난 불교 I 250
이청화 I 구도과정에서의 깨달음과 실천의 서정화 I 254

6부
1980년대 시의 백척간두에 찾아든 불성(佛性)과 선(禪)

폭압적 상황에서 중생을 위한 지옥의 길을 걸은 시의 연대 I 260
황지우 I 시적(詩的)인 것이 선적(禪的)인 전위적 시편 I 263
이성복 I 해체를 통해 이른 이언절려(離言絶慮)의 선적 시세계 I 269
박노해 I 우주적 인드라망으로 나가는 순정한 혁명정신 I 273
백무산 I 혁명의 막다른 길에서 만난 공(空)과 화엄의 대동세계 I 277
공광규 I 일상 속에서 사실적으로 만나는 불교적 세계 I 281
윤제림 I 인지상정의 일상과 풍경이 드러내는 불심 I 284
송찬호 I 반야에 이르려 용맹정진 하는 언어와 이미지와 상상력 I 287
장석남 I 시성이 곧 불성임을 활물론(活物論)적으로 보여주는 시 I 290

7부
밀레니엄 격변기 인간과 시의 항심(恒心)을 잡아주는 불교

사이버 신유목시대 정처와 정체성을 위한 시심 불심 I 296
이홍섭 I 성(聖)과 속(俗) 사이에서 우러나는 간절한 서정 I 300
박형준 I 일상의 산보, 만행(萬行)으로 가닿은 불교의 요체 I 306
문태준 I 말과 침묵 사이 숨골 같은 시어에 맺힌 화엄세상 I 312
김선우 I 우주만물과 어우러지는 에코페미니즘 I 318
이덕규 I 현실체험과 불교적 세계관에서 우러나는 뚝심의 시 I 324
임효림 I 구도의 궁극과 합치돼가는 그리움의 서정 I 330

8부
총론 : 불교가 전 방위로 밴 현대시의 양상

불교, 우리 현대시사 1백10년의 도반(道伴) I 336
불교세계를 심미적, 감동적으로 울리는 불교적 서정시 I 339
어두운 시대 중생을 여의지 않는 불교적 참여시 I 344
아방가르드 최전선에서 선과 만나는 불교적 실험시 I 349
‘불교적’ 서정, 참여, 실험시 장르가 가능할 불교의 시적 영향 I 352
일초직입여래지(一超直入如來地)하는 선과 선시 I 353
시는 언어의 예술, 선은 언어도단의 종교 I 356
불심과 시심의 오묘한 조화를 위한 감동의 시적 형상화 I 35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