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빠르게 꼼꼼하게
자료해석뿐 아니라 PSAT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과 ‘정답률’ 입니다. 시간만 충분하다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료해석에서 90점 이상의 점수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시간 부족’을 크게 느끼기 때문에 ‘속도’에 집중하게 되지만, 정확한 방법을 모른 체 빨리 풀려고만 하면 정답률이 급격히 떨어지게 됩니다.이 상태에서 문제만 많이 푼다고 해서 점수가 올라가지 않기 때문에 문제 푸는 방법을 처음부터 새롭게 시작해야 하는 시행착오를 겪게 됩니다.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올릴 수 있는 학습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빠르지만 꼼꼼하게 접근할 수 있게 기초를 튼튼히 한다면 충분히 합격권의 점수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2. 자료해석의 3요소
자료해석의 3요소는 문제, 표(그림), 선택지입니다(개인적 견해). 3요소는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개별 학습이 아닌 유기적 학습이 필요합니다.
1) 문제 - 문제유형
문제유형은 일반형과 특수형으로 구분이 되며, 문제 유형에 따라 푸는 방법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문제 유형은 형태로도 구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형 구분은 어렵지 않습니다. 문제 유형별(주로 특수형) 접근 방법과 피해야 할 문제를 구분하는 것에 집중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표(그림) - 목적(종류)과 특징
표(그림)는 ‘목적’과 그에 맞는 ‘종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 편한 글 대신에 표(그림)를 만든다는 것은 자신의 ‘목적’을 표현하기 위함이며, 이를 가장 잘 구현할 ‘종류’를 고르게 됩니다. 따라서 표(그림)의 ‘종류’를 보면 ‘목적’을 유추할 수 있게 됩니다. 출제자가 40문제의 선택지와 답을 비슷한 내용으로 반복되지 않게 하려고 한다면, 표(그림)의 ‘목적(종류)’은 선택지에 접근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표(그림)만의 ‘형태적 특징’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표(그림)의 내용은 매번 바뀌기 때문에 내용을 위주로 학습하게 되면 실제 시험에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특징’은 종류도 한정적이어서 유형화할 수 있으며 유형별로 자주 나오는 선택지도 익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그림)의 ‘내용’보다는 ‘형태적 특징’에 따른 학습을 하여야 합니다.
3) 선택지 - 선택과 집중
자료해석에서 대부분의 시간은 선택지를 해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크게 선택지를 이해하는 시간과 계산하는 시간으로 볼 수 있는데, 대다수의 학생들은 선택지를 계산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집중을 합니다. 하지만 선택지를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면 계산이 아무리 빠르더라도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선택지의 이해와 계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합니다.
① SKIP하기
선택지 내에서 읽어야 할 부분과 읽지 말아야 할 부분을 잘 구분해야 합니다. 반복되는 ‘표의 제목’, ‘범위를 한정하는 내용’ 등은 읽을 필요가 없는 부분입니다. 세부 항목 또한 내용을 다 읽을 것인지 아니면 대명사처럼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면 실제로 읽어야 할 내용은 전체 선택지의 절반 이하로 줄어들게 됩니다.
② 주요 표현 익숙해지기
skip한 이후 남은(읽어야 할) 부분의 표현들은 매년 기출에서 반복(주요 표현)해서 나오게 됩니다. 많아야 수십 개의 표현들에 그치므로 이 표현들이 익숙해져야 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주요표현을 보면 선택지를 이해하는 속도와 정확도가 같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③ 선택지 난이도 분석
주요표현에 따라 각각의 난이도 분석을 해야 합니다. 정확한 난이도는 직접적으로 해결을 해봐야 알 수 있지만, 표현에 따라 대략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순서 등을 정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부록 1 - PSAT 자료해석 핵심+문제 한눈에 정리 STEP 1:기초 입문 강의용 (p.40)
* 부록 2 - PSAT 자료해석 핵심+문제 한눈에 정리 STEP 2, 3:기본 강의용 (p.60)
* 동영상 강의 www.lawschoo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