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내가 나에게

내가 나에게

  • 이태수
  • |
  • 문학세계사
  • |
  • 2019-04-29 출간
  • |
  • 152페이지
  • |
  • 124 X 208 mm
  • |
  • ISBN 9788970759098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물을 마신다
아래로 내려가는 물,
나는 물과 더불어 흘러간다
물은 언제나 멈추기를 싫어한다
개울물이 아래로 흘러가고
강물은 몸을 비틀면서 내려간다
폭포는 수직으로 일어서듯
줄기차게 내리꽂힌다
물을 들이켠다
안으로 스며드는 물,
새들이 낮게 날아 내리고
공중부양을 하던 뜬구름 몇 점이
제 무게 탓으로 떨어진다
가늘던 빗줄기가 점점 굵어지며
빗금으로 뛰어내린다
빗줄기를 바라보는
내가 내린다

―「물, 또는 내려가기」 전문

별들을 바라봅니다
날이 저물어 어두워지면
나는 어둠 속에서 꿈꿉니다
밤하늘의 먼 별들을 끌어당기며
거기까지 올라가 보려 꿈을 꿉니다

(중략)

눈을 감고서야 거기에 다다릅니다
하지만 눈뜨면 떨어질 것 같아
밤 이슥토록 눈을 감은 채
올라가려는 꿈을 꿉니다
별을 끌어안습니다

―「별, 또는 올라가기」 부분

물과 별에 대한 대칭적 인식에서, ‘내려가기’는 이루어지지만 ‘올라가기’는 거의 좌절로 끝난다. 그의 이데아를 찾아나서는 꿈꾸기는 숙명이 되어버렸다. “몇 겹 벽으로 둘러싸여서 그런지 / 건너지 못할 강 저편에 있어서인지”(「목마름」) 뻔히 알면서도 늘 목마름을 느낀다. “꿈속에서도 그 바깥에서도 / 만나자말자 헤어져야 하는 / 그런 사이”인 “그와 나 사이”(「그와 나 사이」)에서도 ‘그’는 신과 나 사이에 존재하는 이데아다. 시인에게 이것은 역설적이지만 시마(詩魔)에 빠져 사는 행복한 경지이기도 하다. 그의 꿈꾸기와 초월에의 의지는 좀 더 선명해졌으며, 그 열정이 빚어낸 실존적 방황과 초월적 명상의 프리즘도 다양해지고 현란해졌다.

까치들이 무리지어 운다
누구를 반기는지, 무엇을 경계하는지,

때마침 저녁놀보다도 느릿느릿
저만큼서 누군가가 다가온다
하지만 가까이 오지는 않고
다가올 때처럼 손을 흔들며 멀어진다
나는 어렴풋이 그를 느낀다

알 듯하고 모를 듯도 하지만
내가 기다리던 나였던 것 같다

경계하거나 반길 필요가 없다는 듯
까치들이 무리지어 난다

―「다시 부재(不在)」 부분

‘부재’라는 관념어는 이태수 시의 키워드 중 하나다. “내가 기다리던 나”는 ‘부재’의 상태이기 때문에 비극적이며 철학적이다. ‘나를 들려다보기’란 곧 ‘내 마음 들여다보기’이니, 아타락시아 또는 정념(正念)의 상태를 꿈꾸며, 그곳에 물이 고이고 별이 떠오르도록 기다려야 한다. “내가 나를 부르는 소리”에 집중하다 보면, 그 끝에 이런 무심의 경지가 있다.

[헛도는 세상을 버티는 방법]

이태수 시인은 슬럼프를 모르는 근면성과 아직도 술과 담배가 별로 줄지 않은 타고난 통뼈체력을 지녔고, 늘 단정한 정장차림의 기품 있는 신사다. 그런 그의 내면에 인간적인 자기연민의 고통과 불안과 우울이 웅크린 속내를 감추고 있다. “당신 노래와 실존철학 언저리를 맴돌았”(「배호와 나」)다고 젊은 날의 방황과 우울을 고백하는 시인은 놀랍게도 “단 한 곡도 빠뜨리지 않고 따라 하다 보니 / 내 목소리도 병색이 짙어지는 것 같더군요.”(같은 시)라고 한다.

그가 ‘배호 덕후’가 된 것은 일종의 자기연민의 심리기제다. 기억과 추억들은 망각의 지층에서 싹이 돋아 현재에 꽃핀 것들이다. 「어느 저녁, 불현듯」에서처럼 시인은 “저녁 숲길을 걷다가 불현듯” 덧나는 상처 같은 “오래된 아픔”을 불쑥 만난다. 중요한 것은 ‘불빛’이다. 어둠 속에 따뜻하게 빛나는 “마을의 불빛”이다.

내 구두는 균형이 깨지곤 합니다
오른쪽의 뒤축은 오른쪽이 더 닳고
왼쪽의 뒤축은 왼쪽이 더 닳습니다

그러나 구두 탓은 아닙니다
순전히 내 탓입니다
살짝 팔자걸음이라서
오른발은 우편향이고
왼발은 좌편향이어서
그렇게 되고 맙니다
그러려고 그런 건 아닙니다

―「구두」 부분

살아가면서 “온몸으로 균형을 유지”하고, “마음으로 중심을 잡고 있”다고 믿었는데, “구두를 벗어 들여다보며” 한쪽으로 더 닳은 모습을 발견하고는 민망해한다. 이내 “구두는 염치를 가르쳐주는 / 자성의 거울”이었다는 이 훈훈한 내용 속에서도 팔자걸음인 “순전히 내 탓입니다”라고 자책하는 걸 잊지 않는다.

시인의 근황은 「칩거 며칠」에 그려져 있듯 “아무래도 세상이 거꾸로 가는 것 같아” 혼자라도 “다시 마음 다잡기” 위해 “누웠다가 앉았다가 섰다가”, “자다가 깨다가 꿈꾸다 말다가” 하며 칩거한다. 그 이유가 “아무래도 세상이 거꾸로 가는 것 같아 / 그렇게는 가고 싶지 않기 때문”에, “눈을 떠도 감아도 헛도는” 세상을 버티는 방법이 겨우 “내키지 않는 길은 가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가 꾸는 꿈은 시를 낳고, 다시 시는 초월을 꿈꾼다 ]

그 사람 떠나고 나서
뒷모습이 자꾸 떠오릅니다
앞모습보다 더 자주 떠오릅니다
앞을 내다보며 앞질러 살았는데도
뒷모습이 더 아름다워 보입니다
남몰래 자신을 오롯이 바친
그 사람 걸어간 길은
남들에게 보이려 하기보다
드러내지 않으려 해서 그럴까요
안 보이듯 점점 뚜렷이 드러나서
날이 갈수록 그런 게 아닐까요
그 사람의 뒷모습이 오늘도
아름답게 떠오릅니다

―「그 사람의 뒷모습」 전문

이 시는 봉긋한 젖무덤이 첫눈에도 느껴지는, 그것도 짝젖이 아닌, 옆에서 보면 조금도 처진 느낌이 없는, 예쁘고 건강한 유방이다. 이처럼 시의 형태미를 살려놓은 시는 이 시집에서 자주 눈에 띤다.

포구에 서 있는 팽나무
불콰한 황색 열매들 사이에
희미한 반쪽 낮달이 걸려 있다

고기잡이배들은 만선 꿈을 꾸는지
먼 바다 여기저기 가물거린다

팽나무 익은 열매 같은 얼굴빛의
악동들이 모여들어
깔깔대며 팽나무열매놀이를 한다

팽팽 나는 그 열매들과는 달리
갯바위 아래 붙박인 거룻배 한 척

어느새 낮달도 제 길 가버리고
포구의 팽나무를 바라보는
나만 우두커니 서 있다

―「팽나무 있는 풍경」 전문

이 시는 행 길이를 대칭으로 맞추면서도 ‘3-2-3-2-3’ 형식을 취해 또 다른 시각적 형태미를 돋보이게 한다.

시인으로서 휴식기 한번 가지지 않고 부단히 시를 쓰고 시집을 출간해왔다는 것은 그의 시가 시류에 흔들리지 않고, 언어적 실험의식이나 난해한 모더니즘으로부터도 일정한 거리를 두며, 눈치 채기 어려울 정도로 완만한 진화를 유지해왔다는 뜻이다. 이태수 시인은 초기의 실존적 방황 또는 낭만적 우울 속에서 비속한 현실을 벗어나려는 ‘날아오르기의 꿈’과 더 나은 세계로 나아가려는 ‘길 찾기’를 거쳐, 80년대 중반부터는 ‘내려가기의 꿈’으로 바꾸어 꾸며, 남루한 현실 어딘가에 순결하고 명징한 세계가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키워왔다. 그리고 근래에 와선 꿈꾸는 자신을 객관화시켜 들여다보며 ‘뒤집어 꾸는 꿈’으로 시세계의 폭과 깊이를 넓혀가고 있다.

뒤틀려 있는 현실과 틀에 박힌 일상 속에서 늘 흔들리고 닳아간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며, 이 비극적인 삶을 뛰어넘으려는 ‘초극의지’를 낮은 목소리로 꿈꾸듯 읊조리는 자아성찰이 이태수 시의 본질이자 특징이다. 그러므로 그가 꾸는 꿈은 시를 낳고, 다시 시는 초월을 꿈꾼다. 어떤 빛깔로든 꿈을 꾼다는 사실은 즐거운 일이다. 신화 속의 시시포스처럼 바위 굴러 올리기를 거듭하더라도 그는 내일도 꿈을 꾸고, 시를 쓰게 될 것이다


목차

Ⅰ 

옛 우물_____10

목마름―또는 이데아_____11 

물, 또는 내려가기_____12 

별, 또는 올라가기_____13 

그와 나 사이_____14 

그의 묵음默吟_____ 15

꿈속의 천사_____16 

성聖 풍경_____18 

파가니니와 함께_____19 

한밤의 소요逍遙_____20 

유리문_____22 

유월 어느 날_____24 

다시 부재不在_____26 

늦가을_____28 

하릴없이_____30 

눈이 내릴 때_____32 

저녁 눈_____34 

 

Ⅱ 

겨울저녁 벚나무_____38 

홍매화와 함께_____39 

경칩 무렵_____40

초봄의 화엄華嚴_____41 

봄 법석_____42 

산길에서_____43 

벼랑의 향나무_____44 

모량리 지나다가_____45 

강나루에 앉아_____46 

왕릉 앞에서_____48 

나비와 조약돌_____49 

비비추꽃_____50 

팽나무 있는 풍경_____52 

겨울 초입_____53 

장이규의 소나무_____54 

김일환의 나무_____56 

노태웅의 기차역_____58 

 

Ⅲ 

그이는 오늘도_____62 

불에 불 지르듯_____63 

튤립 한 송이_____64 

별 하나_____65 

달맞이꽃_____66 

매미에게_____67 

외톨이 그는_____68 

그 사람의 별_____70 

빈집_____72 

그 사람의 뒷모습_____74 

그 사람과 시_____75 

페리칸사스_____76 

가는 가을_____78

결별訣別_____79 

이쪽 문_____80 

지상의 길_____81 

나도 간다_____82 

 

Ⅳ 

칩거蟄居 며칠_____86 

흔들림에 대하여_____87 

구두_____88 

다시 세상 타령 1_____90

다시 세상 타령 2_____91 

다시 세상 타령 3_____92

줄서기_____94 

어떤 항해_____96 

콩과 팥_____98 

배호와 나_____100 

배호 생각_____104 

대프리카 별곡_____107 

어느 저녁, 불현듯_____108 

막막한 길_____110 

옛집에서_____111

내 발소리_____112

 

 ┃해설┃이구락 (시인)_____11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