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인간의 삶에 관해 이야기를 이미지화하여 시로 변환하는
시인 김유진의 세 번째 시집!
2012년 시화집 『서정』과 2018년 시집 『그리고』에 이어 2019년 『그리고 우리는』으로 돌아왔다. 세 번째 시집인 『그리고 우리는』에는 1년간 모아둔 퇴임 후 일상에서 느끼는 소소한 것에 대한 기쁨과 감사를 담았다. 특히, 이번 시집에서는 저자가 느끼는 관조적인 메타포를 그려낸 시들을 만나볼 수 있다.
공학도이며, 사진작가로도 활동하는 저자는 일반 시인들과 조금 다른 행보를 걷고 있다. 다른 사람들과 다른 활동을 하면서 얻게 된 시각은 같은 모습도 다르게 노래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이미지화하여 시를 쓰는 김유진 시인의 시는 이미지와 운율을 고려하여 시를 접하는 분에게 큰 영감을 줄 것이다.
맑고 깨끗한 공기처럼, 누군가의 가슴에 향기로운 꽃 같은 글 한 줄을 고이 드릴 수 있으면 그것으로 감사하며 족하겠습니다.
-저자 인터뷰 中
2006년 『문예춘추』 계간지에서 신인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등단한 저자는 문학이 아닌 공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평생을 전력산업, 공기업에 종사하였다. 그의 시는 문학도가 아닌 공학도의 시각으로 자연과 삶을 조망하며, 흥미로운 시각들을 보여준다.
젊은 시절에 다 이루지 못한 문학적 갈증이 느지막이 밑바닥에서 싹 트임하여 세상 밖으로 나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시인의 시에는 자연과 삶의 이미지화가 탁월하고, 운율이 살려내는 힘이 있다. 주제에 대하여 따뜻한 분석과 관조적 시각, 좀 더 온화한 시선으로 다가가고자 늘 노력하는 시인은 누구나 어렵지 않게 자신의 시에서 한 줄의 짧은 행복을 느낄 바라는 마음으로 시를 써내려간다.
『그리고 우리는』은 바쁜 일상에서 가끔 하늘을 볼 수 있는, 길가의 핀 하잘것없는 들꽃을 어여쁘게 바라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와 행복을 선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