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자 시인의 등단 심사위원이었던 신 협 시인은 "나는 최민자 시인의 시처럼 쉽게 표현하면서도 감동을 주는 시가 좋은 시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시사에서 보면 상징주의 시도 있고 초현실주의 시도 있고 무의미 시도 있지만, 감동을 척도로 하면 <쉽고도 어려운 시>가 좋은 시라고 하고 싶다"라고 시평을 통해 밝히고 있다.
최민자 시인은 인생의 황혼기에 맞닥뜨린 "암"이라는 고난을 마주하고서도, 결코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맑고 순수한 심성으로 기도하듯 시를 써 내려가고 있다. <노랗게 피어나는 개나리/ 혹한을 이기고/ 찾아온 너/ 온 힘을 다해/ 피어난 너/ 차례를 기다려/ 달려온 너/ 새봄의 메시지 울리며/ 달려온 너> 그의 시 "개나리꽃"에서 보듯, "암"이라는 불청객을 외면하고 손사래 치는 것이 아니라 담담하게 관조하며 삶에 대한 기쁨과 희망을 쉽고 간결한 단어와 문장으로 진솔하게 노래하고 있다.
최민자 시인의 시를 읽고 있노라면 마치 잠든 아기의 평화로운 옹알이를 듣는 것처럼 혹은 어린아이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마주하는 것처럼 순수하고 편안하게 마음이 치유되고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