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및 연구개발 동향과 에너지신산업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및 연구개발 동향과 에너지신산업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

  • TF정보분석실
  • |
  • 트렌드포커스
  • |
  • 2017-04-28 출간
  • |
  • 1104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5558155
판매가

360,000원

즉시할인가

324,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계 각국은 저성장기조가 고착화된 글로벌 뉴노멀 시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을 제외하고는 글로벌 공급기지 역할을 하고 있던 중국의 성장률 저하,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경제침체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유럽 등을 비롯하여 장기적으로 저성장 상태를 탈출할 수 있는 돌파구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의 국제 석유공급 과잉 상황은 태양광 및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악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과 원가 절감 등을 통한 공급 경쟁력 향상과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태양광 및 풍력발전설비의 신규 설치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기존 에너지의 비용 인상과 화석 연료의 연소로 인한 환경 문제 역시 대체에너지 및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정부는 제 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서 2035년까지 1차 에너지의 11%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여건에 적합한 신규 에너지원 신재생에너지을 적극 발굴하고 활성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원 별 잠재량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입니다.

이에 본 트렌드포커스 TF정보분석실 에서는「신재생에너지 산업동향 및 연구개발 동향과 에너지신산업 현황 및 기술개발 동향」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서 제I편에서는 에너지공급 분야 산업 현황 및 신재생에너지 분야별 산업 현황 그리고 연구개발 동향을, 제II편에서는 에너지신산업 현황 및 분야별 현황과 기술개발 동향 을 최신 산업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소상히 분석·수록 정리하였으며, 최신 연구개발 사례와 함께 소개함으로써 관련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제I편 신ㆍ재생에너지
제1장 에너지공급 분야 산업 현황
1. 에너지공급 분야 개요
1) 정의
2)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분류
2. 에너지공급 국내외 정책동향
1)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강국 도약의 비전 수립
2) 신재생에너지 의무사용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제도 도입
3) 전력설비 기준 원자력사업 비중을 2035년까지 29%로 낮추는 목표 추진
4)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촉진법
(1) 개요
가. 법의 목적
나. 법 제정 경위
(2) 주요내용
가. 그간 주요 개정사항
나. 법 주요내용
(3) 신ㆍ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정책 및 제도
가. 수요자 맞춤형 보급ㆍ확산정책 추진
나. 시장친화적 제도운영
다. 신ㆍ재생에너지 해외시장 진출확대
라. 새로운 신ㆍ재생에너지 시장창출
마. 신ㆍ재생에너지 R&D; 역량 강화
바. 제도적 지원기반 확충
(4) 국내 신ㆍ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목표
5) 해외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1) 미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 중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3) 독일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4) 일본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5) 영국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6) 프랑스
가. 에너지 소비 현황
나. 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3. 산업이슈 및 동향
1) 산업이슈
(1) 신기후변화체제 출범에 따른 신재생에너지사업 투자 확대 전망
(2) 원자력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
(3) 신재생에너지산업 클러스터 동향
2) 핵심 플레이어 동향
(1) 풍력산업은 매년 100조원대 규모의 신규수요가 발생하는 성장 유망산업
(2)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 제도의 영향으로 연료전지 보급 확대
4.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시장
(1) 세계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
(2) 원자력에너지 발전용량은 증가 추세
(3) 브릭스국가등 주요국가의 시장성장 주목
(4)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규모 증가
2) 세계 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세계 에너지 수급 현황
(2) 세계 에너지 전망
(3) 에너지 기술의 전망
3) 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1) 재생에너지 현황
(2) 재생에너지 전망
4) 재생에너지 시장 및 산업 동향
(1) 재생에너지 투자 개요
(2) 태양광발전(Solar PV)
(3) 풍력발전
(4) 바이오에너지
(5) 수력
5) 국내시장
(1)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연도별 비중은 증가될 전망
(2) 국내 신재생에너지 잠재량은 에너지 생산량(2015년 기준) 22배
(3) 국내 에너지 현황
가. 에너지수급 여건
(a) 에너지 국제위상
(b) 에너지 안보
나. 에너지소비 동향
(a) 1차에너지 공급
(b) 최종에너지 소비
(c)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
다. 에너지 수요 전망
5. 기술동향 및 이슈
1)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시작
2) 기술개발 및 보급동향
3) 신재생에너지사업 개발 및 보급 시작
4) 신ㆍ재생에너지 자원 잠재량
(1) 태양 에너지
가. 개요
나. 잠재량 산정결과
(a) 이론적 잠재량
(b) 지리적 잠재량
(c) 기술적 잠재량
(2) 풍력 에너지
가. 개요
나. 잠재량 산정결과
다. 풍력바람지도 및 단지개발현황
(3) 바이오 에너지
가. 개요
나. 잠재량 산정결과
(a) 이론적 잠재량
(b) 지리적 잠재량
(c) 기술적 잠재량
다. 자원 잠재량 총괄
(4) 폐기물 에너지
가. 개요
나. 잠재량 산정 결과
(a)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b) 잠재량 산출 시나리오
(c) 잠재량 산출
(d) 자원량 총괄
(5) 지열 에너지
가. 개요
나. 자원 잠재량 현황
(a) 심부지열 잠재량 산정개요
(b) 천부지열 잠재량 산정개요
다. 결론
(6) 수력 에너지
가. 개요
나. 잠재량 산정결과
다. 연평균 강수량, 수력에너지 밀도 분포 및 소규모 수력발전소 현황
(7) 해양 에너지
가. 개요
(a) 조류에너지
(b) 조력에너지
(c) 파력에너지
(d) 해수온도차에너지
나. 해양에너지원별 잠재량 산정방법
(a) 조류에너지
(b) 조력에너지
(c) 파력에너지
(d) 해수온도차에너지
다. 잠재량 산정결과
(a) 해양에너지원별 잠재량 산정결과
(b) 행정구역별 잠재량 산정결과
(8) 수소 에너지
가. 개요
(a) 수소충전소
(b) 부생수소
(c) 바이오 수소
나. 시도별 자원 잠재량 현황
(a) 이론적 잠재량
ⅰ) 수소충전소
ⅱ) 부생수소
ⅲ) 바이오 수소
(b) 지리적 잠재량
ⅰ) 수소충전소
ⅱ) 부생수소
ⅲ) 바이오수소
6. 중소기업 시장대응전략
7. 중소기업 전략제품
1) 중소기업 관심제품
2) 중소기업 전략제품
8.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사업
1) 주택지원사업
(1) 개요
(2) 추진근거 및 절차
(3) 추진내용
가. 사업내용
나. 추진실적 및 성과
(a) 연도별 지원예산 및 실적
(b) 연도별 보급실적
(c) 지역별 보급실적
2) 건물지원사업
(1) 개요
(2) 추진근거 및 절차
(3) 추진내용
가. 사업내용
나. 추진실적 및 성과
(a) 연도별 지원실적
(b) 시범보급 지원실적
(c) 성과분석
(d) 시범보급 지원실적
(e) 성과분석
3) 지역지원사업
(1) 개요
(2) 추진근거 및 절차
가. 법적근거
나. 추진절차
(3) 추진내용
가. 사업내용
나. 추진실적 및 성과
(a) 주요추진실적
(4) 향후 추진계획
4) 융ㆍ복합지원사업
(1) 개요
(2) 추진근거 및 절차
(3) 추진내용
가. 사업내용
(a) 신청자격
(b) 지원규모
(c) 지원대상
(d) 사업기간
(e) 사업선정 및 관리 절차
나. 추진실적 및 성과
(a) 지역별/연도별 지원실적
(b) 에너지원별/연도별 지원실적
(4) 향후 추진계획
가. 2016년 추가신청 사업
나. 2017년 신청 사업
5) 태양광대여사업
(1) 개요
(2) 추진근거 및 절차
(3) 추진내용
가. 사업내용
나. 추진실적 및 성과
(4) 향후 추진계획
6) 공공기관 신ㆍ재생에너지설비 설치의무화
(1) 추진근거 및 추진절차
(2) 설치의무 대상
가. 설치의무 대상기관
나. 해당 건축물용도(학교시설 : "08.9.10일 포함)
(3) 추진내용
7)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1) 개요
(2) 추진근거
(3) 추진체계
8) 발전차액지원제도(FIT)
(1) 추진배경
(2) 추진근거
(3) 지원분야 및 기준가격
(4)지원현황
9) 신ㆍ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1) 개요
(2) 추진근거 및 절차
(3) 추진내용
가. 사업내용
나. 추진실적 및 성과
(a) 연도별 지원예산
(b) 최근 5년간 에너지지원별 지원실적
(c) 기업 규모별 지원실적
(4) 세제지원 개요 및 추진현황
가. 세액공제
9. 신ㆍ재생에너지 국제협력
1) 다자간 국제협력사업
(1)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협력사업
가. 개요
나. 예산
다. 핵심사업
라. 활동현황
(2) 국제에너지기구(IEA) 연구개발 협력사업
가. 개 요
나. 활동현황
(a) PVPS(태양광발전시스템) 기술협력프로그램
(b) Wind Energy Systems(풍력발전시스템) 기술협력프로그램
(c) Hydrogen(수소에너지) 기술협력프로그램
(d) Geothermal(지열에너지) 기술협력프로그램
(e) SolarPACES(태양열발전 및 화학에너지 시스템) 기술협력프로그램
(f) Bioenergy(바이오에너지) 기술협력프로그램
(3) 수소연료전지경제 국제파트너쉽(IPHE) 협력사업
가. 개 요
나. 활동현황
(4) APEC 신ㆍ재생에너지 협력사업
2) 양자간 협력사업
(1) 한-독 협력사업
(2) 한-UAE 협력사업
(3) 기타 협력사업
10. 해외진출지원
1) 추진근거 및 절차
(1) 사업 추진 근거
2) 추진내용
(1) 사업내용
(2) 연도별 지원 실적
3) 향후 추진계획

제2장 신ㆍ재생에너지 분야별 산업 현황
1. 태양광 발전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독립계통형 태양광 모듈 어레이 최적화 설계 기술
나. 고효율화 태양전지 전력변환 제어시스템
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기기의 국산화
라. 지역 및 환경 맞춤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발굴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2. 태양광 공정장비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저가격화(cost down) 태양전지 제조 장비
나. 태양광 공정장비 국산화
다. 관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우수한 기술 활용 가능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3. 소형풍력발전기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상업발전용 소형 풍력터빈 기술 및 저가화
나. 소형 풍력터빈의 독립형기술 및 융복합기술
다. 소형 풍력 최적화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4. 풍력 로터허브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제품의 고신뢰성의 요구
나. 정밀가공장비의 대형화
다. 경량화 및 구조설계기술
라. 가격경쟁력확보 및 중형풍력터빈 기술요구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5. 태양열
1) 개요
(1) 일사광선
(2) 태양열 시스템 종류
(3) 시스템 구성요소
가. 태양열 집열기
나. 축조열
다. 태양열 시스템 구성
(a) 태양열 온수기
(b) 태양열 난방 및 급탕 시스템
(c) 태양열 냉방시스템
(d) 태양열 산업공정열
(e) 태양열 발전 시스템
2) 국내ㆍ외 시장동향
(1) 국내시장
가. 태양열 집열기
나. 태양열 시스템
(2) 세계 시장
가. 신ㆍ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 비중
나. 용도별 현황
다. 국가별 현황
(a) 오스트레일리아 (Wesley Stein)
(b) 오스트리아 (H.Makus)
(c) EU유럽연합 (De Bonis Piero)
(d) 프랑스 (Ferriere Alain)
(e) 이태리 (Falchetta Massimo)
(f) 중국 ( Z.F.Wang)
(g) 독일 (Robert Pitz-Paal)
(h) 그리스 (K. Geoge)
(i) 한국 (Y.H. Kang)
(j) 모로코 (A. Obaid)
(k) 스페인 (Zarza Eduardo)
(l) 스위스 (Stefan)
(m) UAE (G. Benjamin)
(n) 미국 (Shulz Avi)
라. 태양열 발전 시스템 프로젝트별 현황
6. 수소에너지
1) 개요
2) 국내ㆍ외 시장동향자료
(1) 국내수소 생산 및 유통량과 수소제조 방식
가. 수소제조기술의 분류
(a) 화석연료 개질기술
(ⅰ) 수증기 촉매 개질 공정 (SMR, Steam Methane Reforming)
(ⅱ) 프로판 탈수소화
(ⅲ) 소금물 전기분해법
(ⅳ) 매립지 가스 개질
(ⅴ) 제철소 부생가스
3) 기술개발현황
(1) 미국
(2) 일본
(3) 독일
(4) 영국
(5) 우리나라
가. 미래창조과학부 사업
나. 산업통상자원부 수소연료전지사업단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다. 원자력 수소사업
라. 기타
마. 산업체 및 지자체의 움직임
4) 국내ㆍ외 보급현황
(1) 미국
(2) 독일
(3) 일본
(4) 우리나라
5) 표준화 동향과 향후 방향
7. 연료전지
1) 개요
(1) 연료전지의 원리
(2) 연료전지의 특징
(3) 연료전지의 종류
2) 국내ㆍ외 시장 동향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ㆍ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3) 기술개발 현황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ㆍ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4) 국내ㆍ외 보급현황
(1) 발전용 연료전지
(2) 주택ㆍ건물용 연료전지
(3) 수송용 연료전지
5) 향후 계획
8. 석탁 액화ㆍ가스화
1) 개요
(1) 개념
(2) 특징
(3) 주요 핵심 기술
(4) CO2 대응 차세대 석탄화력발전 기술로서 IGCC
2) 국내ㆍ외 시장동향
(1) 국내
(2) 국 외
3) 기술개발 현황
(1) 국 내
(2) 국 외
4) 국내ㆍ외 보급 현황
5) 향후 전망
(1) SWOT 분석
(2) 산업전망 및 당면과제
(3) 향후 기술개발 추진전략
(4) 기본 대응방안
(5) 현황 및 애로기술 확보방안
9. 수력발전
1) 개요
(1) 개념
(2) 구성요소
(3) 수력발전의 특징
가. 청정에너지
나. 순 국산에너지
다. 전력공급량 조정기능
라. 발전단가 장기 안정성
(4) 소수력발전 입지조건
(5) 소수력발전의 종류
가. 하천수 이용
나. 농업용수 이용
다. 상ㆍ하수도, 공장 냉각수 이용
라. 기 타
2) 국내ㆍ외 시장동향
(1) 국내 시장동향
가. 개발 여건
나. 잠재량의 정의
다. 국내 수계별 시설용량 및 연간발전량 산정
라. 시장 동향
마. 정책 및 제도 현황
나. 개발현황
3) 국내ㆍ외 보급 현황
(1) 국내 보급 현황
가. 수력발전소 현황
나. 소수력발전소 현황
(2) 해외
가. 수력발전소 현황
나. 소수력 발전소 현황
4) 기술개발 및 수력산업 현황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가. 기술개발 배경
나. 개발현황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가. 기술개발 배경
나. 국외 수력산업 현황
5) 향후전망
(1) 국내 수력개발 향후 전망
(2) 국외 수력개발 향후 전망
10. 해양에너지
1) 개요
2) 국내ㆍ외 시장동향
(1) 국내
3) 기술개발 현황
(1) 파력발전
(2) 조력발전
(3) 조류발전
(4) 해수온도차발전
(5) 해수염도차발전
4) 국내ㆍ외 보급현황
5) 향후 추진 계획
11. 지열에너지
1) 지열에너지원 및 기술의 개요
(1) 지열에너지원 정의와 특성
(2) 지열에너지의 활용 분야와 기술의 분류
(3) 최신 이슈 및 동향
2) 국내ㆍ외 시장 동향과 전망
(1) 지열발전 분야 시장 동향
(2) 지열 직접이용 분야 시장 동향
(3) 우리나라 지열에너지 시장 동향
3) 국내ㆍ외 보급 현황
(1) 전세계 지열발전 보급 현황
(2) 전 세계 지열 직접이용 보급 현황
(3) 우리나라 지열에너지 직접이용 현황
4)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1) 지열발전 분야 국외 기술개발 현황
(2) 지열 직접이용 분야 국외 기술개발 현황
(3) 우리나라 지열 기술 연구개발 현황
5) 향후 전망
12. 바이오에너지
1) 개요
(1) 바이오에너지 정의
(2) 최신 이슈 및 동향
2) 국내ㆍ외 시장 동향
(1) 미국
(2) EU
(3) 국내
3) 국내ㆍ외 보급 현황
(1) 미국
(2) EU
(3) 브라질
(4) 일본
(5) 중국
(6) 스웨덴
(7) 국내
4)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1) 미국
(2) EU
(3) 덴마크
(4) 독일
(5) 브라질
(6) 일본
(7) 중국
(8) 국내
5) 향후 전망
13. 폐기물 고형연료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분야별 국내 시장동향
가. 소각열 이용분야
나.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다. 열분해 유화분야
라. 폐기물 가스화분야
4) 기술개발 현황
(1) 해외 기술개발 현황
가. 소각열 이용분야
나.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다. 폐기물 가스화분야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가. 소각열 이용분야
나.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다. 열분해 유화분야
라. 폐기물 가스화분야
5) 보급현황
(1) 해외 보급현황
가. 유럽
나. 북미
다. 아시아
(2) 국내 보급 현황
가. 소각열 이용분야
나. 폐기물 고형연료 분야
다. 열분해 유화분야
라. 폐기물 가스화분야
6)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7)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증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14. 수열
1) 개요
(1) 수열 에너지의 정의
(2) 최신 이슈 및 동향
2) 국내ㆍ외 시장 동향
(1) 국내 시장 동향
(2) 국외 시장 동향
(3) 국내ㆍ외 보급 현황
가. 국내 보급 현황
나. 국외 보급 현황
(4)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가. 국내 기술개발 현황
나. 국외 기술개발 현황
(5) 향후 전망

제3장 신ㆍ재생에너지 연구개발 동향
1.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1) 필요성
2) 추진근거 및 제도
(1) 추진근거
(2) 사업내용
(3) 지원범위
(4) 추진절차
3) 추진실적 및 현황
(1) 추진현황
가. 세부분야별 지원현황
나. 주요 추진 실적
(a) 태양광
(b) 풍력
(c) 수소
(d) 연료전지
(e) 석탄이용
(f) 수력
(g) 해양
(h) 바이오
(i) 태양열
(j) 지열
(k) 폐기물
(l) 신ㆍ재생에너지융합
4) 향후 추진방향
2. 추적식 태양광 발전기 설계를 위한 풍하중 해석
1) 추적식 태양광 에너지 시스템
2) 태양광 모듈 작용 하중
3) 설계
(1) 태양광 모듈
(2) 설계 하중
(3) 구조 설계
4) 해석 방법
(1) 풍압 해석
가. 수치해석과 지배방정식
나. 격자 구조
다. 해석 조건
(2) 구조 해석
가. 수치해석과 지배 방정식
나. 외력 조건
5) 해석 결과
(1) 풍압 해석
가. 경사각 30° 인 경우
나. 경사각 45° 인 경우
다. 경사각 60°인 경우
(2) 구조 해석
6) 결론
3. 태양열 집열관 과열방지를 위한 지중열교환기 연구
1) 서론
2) 연구방법
(1) 설계이론
(2) 시뮬레이션 방법
(3) 실험장비
3) 결과 및 분석
(1) 실험결과
4) 결론
4. 그래핀의 차세대 태양에너지 소자로의 응용
1) 서론
2) 본론
(1) 그래핀과 CVD 합성
(2) 그래핀 전극의 필요성
(3) 그래핀 표면 개질 공정
가. 그래핀 도핑
나. 전하 수송층 도포
(4) 그래핀 전극 유기 태양전지
(5) 그래핀 전극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6) 그래핀 샤키접합 태양전지
가. 도핑을 통한 그래핀 일함수 변화
나. 실리콘 구조에 의한 빛의 흡수 증가
다. 반사 방지 코팅을 통한 빛의 흡수 증가
라. 그래핀-실리콘 계면 공정
(7) 그래핀 전극 광전자소자의 상용화
3) 결론
5. 적외선 램프 가열방식 태양전지 셀 솔더링 공정 및 열처리 조건 별 특성
1) 서 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6. 태양전지와 LED를 결합한 조명기기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1) 서 론
(1) 태양광 에너지 및 LED 광소자의 개요
(2) 태양전지의 작동원리
(3) LED 광소자의 작동원리
(4) 태양전지와 LED를 결합한 조명기기의 작동원리
2) 본 론
(1) 연구방법
(2) 연도별 동향
(3) 주요 출원인 동향
(4) 기술 분야별 특허 동향
3) 상세 특허 기술
4) 결 론
7. 표면파 기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표면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1) 서론
2) 표면파 기반의 블레이드 상태 측정 원리
3) 실험 장치 및 방법
(1) 표면파 기반의 결함 검출 시스템 구성
(2) 실험방법
4) 실험 결과 및 고찰
(1) FRP 표면에서의 기초 성능 실험
가. FRP의 두께에 따른 특성
나. 센서 간의 거리에 따른 특성
다. 표면의 상태에 따른 특성
(2) 소형 블레이드에 대한 실험
가. 표면 상태에 따른 특성
나. 블레이드 접합부의 상태에 따른 특성
5) 결 론
8. 풍력발전기 드라이브트레인 공진 해석
1) 서 론
2) 모델 및 해석 과정
(1) 다물체 동역학 모델
(2) 해석 조건
(3) 공진 해석 과정
3) 공진 가능 교차점 판별의 부정확성
(1) 문제 인식
(2) 원인 분석
(3) 개선안
4) 공진 가능 교차점 위치 예측의 부정확성
(1) 문제 인식
(2) 원인 분석
(3) 개선안
5) 공진 하중 최대치 예측의 부정확성
(1) 문제 인식
(2) 적용 사례 및 결과
6) 결 론
9. 석션기초 적용한 해상풍력 콘크리트 지지구조의 설계법
1) 서론
2) 설계법의 절차
3) 개념설계
4) 기본설계
5) 실시설계
6) 결론
10. PML 이용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의 수중 폭발에 따른 수치해석
1) 서 론
2) 문제 정의
(1) 스파타입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2) 수중폭발에 기인한 유체-구조 연계문제
3) PML(perfectly matched layer) 무반사 기법
4) 수치실험 및 해석결과
5) 결 론
11. 지역 기후 앙상블 예측 활용한 풍력 에너지의 시ㆍ공간적 변동성 연구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현재 풍속 모의 평가
4) 결 과
(1) 미래 풍력 에너지 밀도(Wind Energy Density, WED)의 변화
(2) 지역별 풍력 에너지 밀도의 변화
(3) 풍력 에너지 밀도의 변화와 기압과의 관계
5) 요약 및 결론
12. 풍력터빈 효율 향상을 위한 풍속전단 완화 펜스의 다구찌 강건설계
1) 서 론
2) 연구방법
(1) 전산유체역학(CFD)
(2) 다구찌 강건설계
(3) 성능지표
(4) 설계인자
3) 연구결과 및 고찰
(1) 설계인자의 경향성 분석
(2) 최적설계의 도출
4) 결 론
12. 실물옵션 기법 활용 신재생에너지사업 경제성분석
1) 서론
2) 실물옵션분석 방법의 특징
(1) 전통적 경제성분석방법의 한계
(2) 실물옵션분석방법의 적용
3) 실물옵션분석을 활용한 경제성분석방법 연구동향
(1) 수력발전에 대한 실물옵션분석 연구
(2) 태양광발전 대한 실물옵션분석 연구
(3) 풍력발전에 대한 실물옵션분석 연구
4) 결론
13. 마이크로웨이브 가열 하수 슬러지 열분해에 의한 바이오 연료 생산
1) 서 론
2) 연구방법
(1) 실험장치
(2) 실험 및 분석방법
3) 실험 결과 및 고찰
(1) 하수 슬러지 특성
(2) 탈수 슬러지의 열적 특성
(3) 마이크로웨이브 열분해 생성물 특성
가. 열분해 온도 변화특성
나. 열분해 생성물과 발열량
다. 열분해 생성가스 특성
라. 열분해 타르 생성물 특성
4) 결 론
14. 공공건축물에 적용되는 신ㆍ재생에너지원의 새로운 보정계수 제안
1) 서 론
2) 신ㆍ재생에너지원별 보정계수
(1) 신ㆍ재생에너지원별 현보정계수의 산정
(2) 신ㆍ재생에너지원별 현보정계수의 한계
3) 신ㆍ재생에너지원별 현보정계수의 개정방안과 신보정계수의 산정
(1) 현보정계수의 개정방안
(2) 신ㆍ재생에너지원별 투자회수기간 분석
(3) 신ㆍ재생에너지원별 신보정계수 산정
4) 신ㆍ재생에너지원별 신보정계수의 검증
(1) 대상건물 선정 및 에너지사용량
(2) 신ㆍ재생에너지시스템 최적화 프로그램
가. 경제성
나. 기술성
다. 환경성
(3) 신ㆍ현보정계수에 의한 신ㆍ재생에너지원의 최적화비율
5) 결 론

제II편 에너지신산업
제1장 에너지신산업 현황
1. 에너지신산업 개요
1) 정의
2) 범위 및 분류
(1) 범위
(2) 분류
2. 국내외 정책동향
1) 정부는 관련분야 정책을 신설 및 정비
2) 국내 부처별 투자가 활발히 진행
3)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관리제도가 기술과 함께 개정되는 추세
3. 산업이슈 및 동향
1) 산업이슈
(1) 에너지 산업 수출화 및 에너지 신산업 선점 위한 융복합 혁신기술개발
(2) 수요자원 시장부상에 따른 기술변화
2) 핵심 플레이어 동향
(1) 미국이 에너지 신산업을 주도
(2)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신산업 사업 진행 후 확장
(3) 저탄소 시대를 대비한 신산업 시장 참여한 유럽연합
4. 시장동향 및 전망
1) 세계시장
(1) 세계 에너지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예상
(2) 사업구조 개편 또는 신규 에너지신산업에 진출하는 기업 등장
2) 국내시장
(1) 정부주도 정책과 지원을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
(2) 아시아 최초 수요자원 거래시장 개설
(3) 친환경차의 급격한 시장 확대 예상
5. 기술동향 및 이슈
1) 전기자동차 산업은 기술력이 향상되어 관련 생태계가 형성
2) 기존 자동차회사의 친환경차 개발 약진
3) 주요 기업들 종합전력시스템 구축 및 전력정보서비스 제공
4) 다양한 전기소비자의 시장참여가 확대되는 수요자원 거래시장
7. 중소기업 전략제품
1) 중소기업 기술수요
2) 중소기업 전략제품

제2장 에너지신산업 분야별 현황
1. 신재생에너지 통합제어/관리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가. 태양광 분야
나. 풍력 분야
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 현황 및 전망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HEMS 기술동향
나. BEMS 기술동향
다. FEMS 기술동향
라. CEMS 기술동향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5) 주요출원인 분석
(6)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2. 건물 일체형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BIPV 기술
나. BIST 기술
다. BIPVT 기술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증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3. 건물에너지 정보 네트워킹 및 모니터링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BIPV 기술
나.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러 제작 기술
다. 데이터 통신기술, 개방형 프로토콜 및 인증체계
라. 건물에너지 서비스 기술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4. EV(Electric Vehicle) 인프라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전기안전
나. 일본의 무선충전 기술 트렌드
다. 미국의 무선충전 기술 트렌드
라. 국내외 무선전력 충전기술 트렌드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a) 테슬라-슈퍼차저
(b) 혼다-전기자동차용 스마트 홈시스템(HSHS) 구축
(c) BMW-급속충전기 및 폭스바겐과의 공동전기차 충전소 구축
(d) 미쯔비시-판매점에 전기차 충전기 설치
나. 국내업체동향
(a) 스마트그리드 구축
(b) 아파트 단지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c)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결합한 전기차 충전소 보급
(d) 대용량 충전설비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5. 전력진단 예방진단 서비스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발전시스템의 진단 기술
(2) 진동 및 과열에 대한 진단 기술
(3) 권선에서의 단락진단
(4) 제어시스템 설비의 진단
(5) 송전시스템의 진단 기술
(6) 송전망의 사고진단
(7) 변압기의 열화 진단
(8) 배전시스템에서의 진단
(9) 지중배전케이블의 열화 진단
(10) 배전망에서의 사고진단
5)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6) 기술인프라 현황
7) 특허동향 분석
(1) 연도별 출원동향
(2) 국가별 출원현황
(3)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4) 국내 출원인 동향
8)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6. 실시간 전력계량 정보제공 서비스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a) AMI 기반의 소비자 서비스 제공 유형
(b) 정부주도의 AMI 기반 에너지정보 제공 플랫폼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라.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마. 핵심기술 심층분석
7. 제조업 부생가스 재활용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a) 화학반응 종류에 따른 구분
ⅰ) 화학반응 종류에 따른 기술 구분
ⅱ) 공정의 성격에 따른 기술 구분
ⅲ) 생물학적 반응에 따른 구분
ⅳ) 광물화 반응에 따른 구분
나. 공급망 관점
(a) 합성가스 이용에 따른 구분
2) 산업환경분석
(1) 산업특징 및 구조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2) 경쟁환경
(3) 전후방산업 환경
3)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무역현황
4) 기술환경분석
(1) 기술개발 트렌드
가. 화학원으로 전환 기술
나. 메탄올 및 연료원으로 활용 기술
다. 광물 자원화 기술
(2)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3) 기술인프라 현황
(4) 특허동향 분석
가. 연도별 출원동향
나. 국가별 출원현황
다. 투입기술 및 융합성 분석
마. 주요출원인 분석
마. 국내 출원인 동향
5) 중소기업 환경
(1) 중소기업 경쟁력
(2) 중소기업 기술수요
(3) 중소기업 핵심기술
가. 데이터 기반 요소기술 발굴
나. 요소기술 도출
다. 핵심기술 선정
라. 연구개발 목표 설정

제3장 에너지신산업 연구개발 동향
1. 스마트 미터링 보안기술
1) 스마트 미터링 보안 개요
(1) 스마트 미터링과 개인 정보
(2) 스마트 미터링과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홈
(3) 스마트 미터링 보안
2) 스마트 미터링 보안 - DLMS/COSEM 표준의 이해
(1) 식별 및 주소 체계
(2) 논리적 디바이스 연결 및 통신을 위한 Application Association
(3) AA 인증 보안 메커니즘 이해
3) 맺음말
2. AHP 기법 적용 스마트그리드 기술사업화 촉진요인 간 중요도 분석
1) 서 론
2) AHP 적용 사례 및 선행연구
(1) AHP 적용 해외 사례
(2) AHP 국내 선행연구
(3) AHP 에너지분야 적용 선행연구 사례
(4) AHP 선행연구 분석결과
3) 스마트드리드 기술사업화 요인 가중치 산정을 위한 AHP 설문
(1) AHP 설문개요
(2) AHP 설문지 구성 사전검토
가. ?제5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2015~2017)?검토
나. 제주실증사업 주요 성과보고서 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주요요인 검토
다. 2014 산업기술 R&D; 전략보고서 및 2014 에너지기술 이노베이션 로드맵 검토
(3) 스마트그리드 기술사업화를 위한 AHP 설문지구성
4) 스마트드리드 기술사업화 요인 가중치 산정을 위한 AHP 설문 분석결과
(1) 스마트그리드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요인 가중치 분석결과
가. 자료 및 분석방법
나. 항목별 가중치 산정결과
(a) 평가항목 1계층의 가중치 산정결과
(b) 평가항목 2계층의 9개 평가항목의 최종 가중치 산정 결과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3. 정합 필터를 이용한 가전기기 부하 분류 기법
1) 서 론
2) 본 론
(1) 부하패턴측정
(2) 부하패턴측정
3) 결 론
4. 인공신경망 이용 건물 에너지 모델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
1)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과 최적제어
(1)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
(2) 관련연구동향
3) 연구방법
(1) 참고모델(Reference Building Model)을 이용한 데이터 생성
(2) Matlab을 이용한 ANN 모델링
(3) 학습모델 및 회귀모형을 이용한 최적화
4) 결과 및 분석
5) 결 론
5. 산업용 열네트워크와 스팀히트펌프
1) 스팀히트펌프 소개
2) 스팀히트펌프의 원리
3) 해외 개발 시스템의 특징
4) 국내 연구개발 동향
5) 스팀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향상
(1) 기본 스팀히트펌프 사이클의 개선
(2) 스팀히트펌프에 사용되는 냉매의 선정
(3) 스팀히트펌프 구성요소
6) 결론
6. 건물용 열네트워크에서의 축열시스템
1) 건물 공조용 축열시스템
2) 구역냉난방에서의 축열시스템
3) 전기에너지 저장과 열에너지 저장의 비교
4) 결론
7. 공정산업에서 에너지 네트워크 최적화 사례
1) EnetOPT
2) 에너지 Network Balance
3) Plant-wide 에너지 Network 최적화
4) 결론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