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나노융합 복합소재 산업현황 및 연구개발 동향과 나노기술 응용분야 현황 분석

나노융합 복합소재 산업현황 및 연구개발 동향과 나노기술 응용분야 현황 분석

  • TF정보분석실
  • |
  • 트렌드포커스
  • |
  • 2015-11-11 출간
  • |
  • 960페이지
  • |
  • 210 X 297 mm /2773g
  • |
  • ISBN 9791195558124
판매가

320,000원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근 들어 계속적인 글로벌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 기업들도 적지 않은 영향을받고 있으며,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미래를 위한 준비가 꼭 필요한 시기이다.이러한 위기 극복을 위해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바로 R&D;이다. 특히 나노융합같은 기술혁신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는 앞으로 다가올 기회를 잡는데 필수적인 방법일 것이다.

2001년 미국의 나노기술계획(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 NNI) 발표 이후 세계는 나노기술이 미래기술의 핵심이라 생각하고 국가마다 앞 다투어 입법과 연구비 투자를 시작하였다. 보유자원이 부족한 한국의 입장에서는 매우 혁신적인 정책으로 받아들여졌고, 전문가들에 의해 발 빠른 대처가 진행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의 수립과 나노기술 개발촉진법의 제정이다.

우리나라의 2000년대 초기의 나노기술경쟁력은 정부의 나노정책, 꾸준한 투자와 지원에 의해연구개발,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사업들이 추진되었다. 그 결과 2001년 25% 수준에불과한 선진국 대비 나노기술 수준을 5년 후인 2005년에는 66%를 달성하였으며, 2008년 75%,2011년 81% 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따라서,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에서는 나노기술3대 강국, 2020년 기술수준 9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트렌드 포커스 TF정보분석실 에서는「나노융합/복합소재 산업현황 및 연구개발 동향과나노기술 응용분야 현황 분석」을 발간하게 되었다.본서 제I편에서는 나노융합 분야별/제품별 산업 현황 전반에 대한 최신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소상히 분석·수록 정리하였으며, 제II편에서는 나노복합소재 관련 연구개발/응용기술 국내·외 기술동향 및 응용동향을 최신 연구개발 사례와 함께 소개함으로써 관련분야 종사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익한 정보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목차


제I편 나노융합 분야별 / 제품별 산업 현황

제1장 나노융합 산업 현황
1. 나노융합 개요
1) 나노기술의 개념
2) 나노기술 주요 적용분야
(1) 소자
(2) 센서
(3) 소재
(4) 에너지
(5) 바이오
3) 나노기술의 파급성
4) 나노기술에서 나노산업으로 전환
(1) 나노시장의 급격한 성장
(2) 나노기술의 산업화 동향
5) 국내 나노기술의 경쟁력
6) 주요국의 나노기술 추진 현황
(1) 미국
(2) EU
(3) 일본
7) 나노융합 기술의 개념
(1) 나노융합
(2) 나노융합 신소재와 나노입자의 의미
가. 나노입자
나. 나노결정
다. 나노컴포지트
라. 나노구조물
2. 나노융합 시장 동향 및 전망
1) 나노시장 전체에서 나노융합 소재의 위치
2) 나노소재 시장 환경
3) 나노입자 종류별 응용분야 및 시장규모
4) 주요 응용분야별 나노융합 소재 시장
(1) 전자 응용 분야 나노소재 시장
가. 반도체
나. 디스플레이
다. 기타 전자 제품
(2) 건강치료 응용 분야 나노소재 시장
가. 시장동향 및 예측
나. 개발 및 시장경쟁상황
다. 건강치료용 나노입자의 전망
(3) 에너지 응용 분야 나노소재 시장
가. 관련 제품 및 업계 동향
(a) 충전용 전지
(b) 연료 전지
(c) 태양전지
나. 시장 동향 및 전망
3. 국내·외 나노기술 정책 동향
1) 국내 나노기술 관련 정책 동향
(1) 2015년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개요
가. 추진 배경
나. 추진 경과
다. 추진 절차
(2) 2015년 나노기술발전시행계획 주요내용
가. 2015년 기본방향 및 중점 과제
나. 2015년 중점 추진전략 및 과제
(a) 전주기 기술개발을 통한 나노기술 경쟁력 강화
ⅰ) 미래기술 중점 육성
ⅱ) 창의·도전적 기초 연구 역량강화
(b) 유망 나노기술의 산업화 촉진
ⅰ) 나노기술 산업화를 위한 7대 핵심 기술 확보
ⅱ) 우수연구성과의 제품화 개발 지원
(c) 안전한 나노기술의 사용을 위한 안전성 강화
ⅰ) 나노 타HS 연구 강화
ⅱ) 국제 공동연구 참여 및 나노 안전 데이터 확보
(d) 융합형 고급인력 및 맞춤형 산업 전문인력 양성
ⅰ) 융합형 고급인력 양성
ⅱ) 미래산업수요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e) 기술사업화 지원 인프라 강화
ⅰ) 나노정보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전주기 지원체계 마련
ⅱ) 계산나노과학 및 나노인프라 활용 촉진
다. 2015년도 투자 계획
라. 부처별 중점 추진내용
(a) 미래창조과학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ⅱ) 인력양성·활용
ⅲ) 시설 및 기반구축
ⅳ)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ⅴ) 나노 관련 정책·제도
(b) 교육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ⅱ) 인력양성 . 활용
(c) 농림축산식품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d) 산업통상자원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ⅱ) 인력양성·활용
ⅲ) 시설 및 기반구축
ⅳ)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ⅴ) 나노 관련정책·제도
(e) 보건복지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ⅱ) 나노 관련 정책·제도
(f) 환경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g) 고용노동부 분야별추진내용
ⅰ)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h) 중소기업청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i) 식품의약품안전처 분야별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ⅱ) 나노기술의 책임성 강화(나노안전성)
ⅲ) 나노 관련 정책·제도
(j) 방위사업청 분야별 추진내용
ⅰ) 연구개발
ⅱ) 인력양성·활용
ⅲ) 시설 및 기반구축
(3) 국가나노기술지도 개요
(4) 국가나노기술지도 추진내용 및 방법
(5) 국가나노기술지도 성과
(6)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2) 국내 나노기술 혁신 시스템/지원제도 동향
(1) 국가단위 나노기술 기반 혁신 프로그램, 예산 및 시스템
(2) 나노기술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나노안전(EHS)
(3) 기술혁신 전주기 부분에서 국제협력을 통한 나노기술 연구개발
(4) 시사점
3) 주요국의 나노기술 관련 투자 및 정량적 성과
4) 주요국의 기술혁신 시스템/지원제도 현황
(1) 국가단위 나노기술 기반 혁신프로그램, 예산 및 시스템
가. 미국
(a) 나노기술 핵심전략(NSI)
(b) 중소기업 혁신지원
나. 유럽연합
(a) PPP in FP7 and Horizon 2020
(2) 나노기술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확인, 사용하기 위한 나노안전(EHS)
가. 미국
나. 유럽연합
(3) 기술혁신 전주기(연구개발/상용화)부분에서 국제협력을 통한 나노 기술 연구개발
가. 나노기술 주요국간(미국과 유럽연합의 국제협력) ERA & BILAT
나. NANoREG
5) 해외 나노기술 관련 정책 동향
(1) 미국
가. 나노기술 개발 추진체계
나. NNI예산
다. 5대 NSI
(a) NSI 추진 배경 및 목적
(b) NSI 투자 예산 현황
(c) 5대 NSI 주요 내용
ⅰ) 지속가능한 나노제조
ⅱ) 태양에너지 수집 및 변환을 위한 나노기술
ⅲ) 2020년 이후의 나노전자소자
ⅳ) 나노기술의 지식사회 기반 마련
ⅴ) 건강, 안전, 환경개선을 위한 나노기술 기반 센서
(2) 일본
가. 나노기술 개발 추진체계
나. 주요 사업
다. 주요 R&D; 프로그램
(a) 연구개발
ⅰ) 문부과학성(MEXT)
ⅱ) 경제산업성(METI)
(b) 인프라
ⅰ) 나노기술 플랫폼
(3) 독일
가. 나노기술 계발 추진체계
나. 주요 연구기관
(a) 프라운호퍼연구소
(b) 라이프니츠 협회
(c) 독일 나노기술 협회
(4) 중국
가. 나노기술 계발 추진체계
나. 주요 사업 및 R&D; 프로그램
(a) 국가자연과학기금 프로젝트
(b) 나노연구 국가 중대 과학 연구 프로젝트 12차 5개년(2011니015) 계획
(c) 2012년 국가 중대 과학연구 계획 중의 나노기술 프로젝트
(d) 2013년 상하이시 나노과학기술 연구개발 프로젝트
(5) 러시아
가. 나노기술 계발 추진체계
나. 주요 사업 및 R&D; 프로그램
(a) 2015년 러시아 연방 나노산업 발전 프로그램
(b) 나노산업발전·혁신프로젝트:RUSNANO 2020년 장기 사업전략
(c) 과학·연구개발 프로그램: 러시아 우선순위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
(6) 프랑스
가. 나노기술 계발 추진체계
나. 주요 정책 및 R&D; 프로그램
(a) 나노 네트워크 및 관련 기관 설립
(b) 나노 환경·보건·안전(EHS)
(7) EU
가. 나노기술 계발 추진체계
(a) FP7의 구조
(b) NMP으| 역할 및 내용
(c) Horizon 2020(FP8)
나. 주요 사업 및 기관
다. 중점추진분야
(a)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민간협력
(b) 나노안전(타HS)
4. 나노융합산업 기업동향
1) 나노융합산업의 위상
(1) 제조업 내 위상
(2) 제조업과 기업규모별 비교
(3) 연관산업 내 위상
2) 기업현황
(1) 설립연도별 기업 현황
(2) 분야별 기업현황
(3) 지역별 기업현황
3) 매출액 현황
(1) 분야별 매출액 현황
(2) 기업 규모별 매출액 현황
(3) 지역별 매출액 현황
4) 연구개발 현황
(1) 연구개발투자 현황
(2) 연구개발 추진방법
5) 인력 현황
(1) 고용 현황
6) 사업화 현황
(1) 기업 내 나노융합제품의 중요성
(2) 매출액 상위 10대 제품(군)
7) 나노융합기업들의 투자활동 현황
(1) 투자재원 조달

제2장 나노융합 분야별 산업 현황
1. 기능성 나노소재 개요
1) 나노소재 개념
2) 범위
3) 주요제품
(1) 탄소 나노소재
(2) 금속 및 세라믹 나노소재
(3) 유·무기계 나노소재
(4) 복합 나노소재
2. 기능성 나노소재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적 촉진요인
(2) 정책적 저해요인
(3) 경제적 촉진요인
(4) 경제적 저해요인
(5) 사회적 촉진요인
(6) 사회적 저해요인
(7) 기술적 촉진요인
(8) 기술적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3. 기능성 나노소재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규모
(2) 국내시장규모
2) 무역현황
3)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4) 업체동향분석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5) R&D; 동향분석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동향
6) 기업니즈조사
7) 중소기업 분포분석
(1) 사업체수
(2) 종사자수
4. 기능성 나노소재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대표기술군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4) 시사점
5. 나노 융합 소자 개요
1) 나노 융합 소자 개념
2) 범위
3) 주요제품
(1) 바이오 센서
(2) 화학·가스 센서
(3)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4) 자동차용 MEMS 센서
6. 나노 융합 소자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적 촉진요인
(2) 정책적 저해요인
(3) 경제적 촉진요인
(4) 경제적 저해요인
(5) 사회적 촉진요인
(6) 사회적 저해요인
(7) 기술적 촉진요인
(8) 기술적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7. 나노 융합 소자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규모
2) 무역현황
3) 업체동향분석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4) R&D; 동향분석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동향
5) 기업니즈조사
6) 중소기업 분포분석
(1) 사업체수
(2) 종사자수
8. 나노 융합 소자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대표기술군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4) 시사점
9. 나노융합 공정 및 측정 장비 개요
1) 개념
2) 범위
3) 주요제품
(1) 나노 원소재 제작기술
(2) 나노가공 복합소재
(3) 나노합성장비
(4) 나노구조 분석장비
(5) 나노물성 분석장비
(6) 나노융합기술
10. 나노융합 공정 및 측정장비 산업현황분석
1) 환경분석
(1) 정책적 촉진요인
(2) 정책적 저해요인
(3) 경제적 촉진요인
(4) 경제적 저해요인
(5) 사회적 촉진요인
(6) 사회적 저해요인
(7) 기술적 촉진요인
(8) 기술적 저해요인
2) 산업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11. 나노융합 공정 및 측정장비 시장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규모
(2) 국내시장규모
2) 무역현황
3)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4) 업체동향분석
(1) 해외업체동향
(2) 국내업체동향
5) R&D; 동향분석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동향
6) 기업니즈조사
7) 중소기업 분포분석
(1) 사업체수
(2) 종사자수
12. 기술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3) 대표 기술군 선별
2) 대표기술군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3) 종합결론
4) 시사점

제3장 기능성 나노소재 제품별 산업 현황
1. 금속 및 세라믹 나노 소재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2. 금속 및 세라믹 나노 소재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생산 및 물성 제어에 관한 주요 이슈 해결
(2)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 미래 잠재 수요에 대한 대책 필요
(3) 희소 금속 대체 산화물 나노소재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금속 및 세라믹 나노 소재 기업 니즈조사
4. 금속 및 세라믹 나노 소재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5. 유·무기계 나노 소재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6. 유·무기계 나노 소재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생산 및 물성 제어에 관한 주요 이슈 해결
(2)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 미래 잠재 수요에 대한 대책 필요
(3) 특성 안정화
(4) 새로운 수요 발굴 및 원천기술 조기 확보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7. 유·무기계 나노 소재 기업 니즈조사
8. 유·무기계 나노 소재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9. 복합 나노 소재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10. 복합 나노 소재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원재료의 고품질화 및 대량 생산화
(2) 고기능성 제품 개발 및 특성 안정화
(3) 유기적인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통한 중소기업 및 대기업 사이 협력 필요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1. 복합 나노 소재 기업 니즈조사
12. 복합 나노 소재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제4장 나노융합소자 제품별 산업 현황
1. 화학·가스 센서용 소자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2. 화학·가스 센서용 소자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호흡기 질환 바이오 센서, 식품 안전 진단 센서, 유독 가스 센서
(2) 가스 센서 어레이
(3) 저전력, 초소형 가스 센서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화학·가스 센서용 소자 기업 니즈조사
4. 화학·가스 센서용 소자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5. 에너지 하베스팅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6. 에너지 하베스팅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마이크로 전원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2) 반영구적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3) 고효율·고용량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7. 에너지 하베스팅 기업 니즈조사
8.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9. 바이오 센서용 소자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10. 바이오 센서용 소자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질병의 예방, 조기진단, 맞춤치료 등 헬스케어 시대 도래
(2) 휴대성과 다양한 응용 분야가 잠재된 전자코, 전자혀 소자
(3)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질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U-헬스케어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1. 바이오 센서용 소자 기업 니즈조사
12. 바이오 센서용 소자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수준 분석
(4)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5)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3) 요소기술 후보군
4) 핵심요소기술 선정
5) 연구개발 목표 설정

제5장 나노융합공정 및 측정장비 제품별 산업 현황
1. 나노 합성 장비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2. 나노 합성 장비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발전에 따른 나노 박막 증착 설비 확보 필요
(2) 핵심 부품의 국산화 개발을 통한 기술 확보
(3) 국내 장비 산업의 해외 의존도 자립과 장비 활용성 재고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나노 합성 장비 산업 기업 니즈조사
4. 나노 합성 장비 산업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5. 나노 구조 분석 장비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6. 나노 구조 분석 장비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수요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SPM·광융합 나노측정 장비
(2) 고성능, 가격인하가 요구되는 추세
(3) 측정장비의 국산화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7. 나노 구조 분석 장비 기업 니즈조사
8. 나노 구조 분석 장비 기업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9. 나노 융합 응용 장비 개요
1) 개념
2) 범위 및 분류
10. 나노 융합 응용 장비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분석
(1) 기존 나노 구조체 대량생산 장비기술의 응용제품 시장 확대
(2) 나노 소재, 소자, 바이오, 에너지?환경, 장비 시장의 성장
(3) 핵심 부품 및 장비의 국산화 개발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
(4) 새로운 개념의 나노 구조체 기술개발에 따른 신 시장 개척
(5) 국내 응용 장비 시장은 나노기술 상업화가 본격 추진되면서 성장 초기에 진입
(6) 의료분야에 나노 핵심기술을 적용한 나노 응용 장비 개발의 니즈 증가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 및 전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11. 나노 융합 응용 장비 산업 기업 니즈조사
12. 나노 융합 응용 장비 산업 기술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1)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1) 특허를 이용한 키워드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 기반의 요소기술 도출
3) 기술지수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4) 클러스터별 종합평가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연구개발 목표 설정
제II편 나노복합소재 연구개발 / 응용기술 현황

제1장 나노복합소재 연구 개발 현황
1. 나노기술 연구개발 동향
1) 정부의 나노기술 연구개발 사업
(1)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사업
(a) 신진연구지원사업
(b) 중견연구자지원사업
(c) 리더연구자지원사업
(d)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e) 기초연구실지원사업
(f) 글로벌연구실사업
(g) 글로벌 연구실사업 (나노기 반소프트일렉트로닉스연구)
(h)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i) 창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j) 나노융합2020사업
(l) 원자력기술개발사업
(m) 원자력연구기반확충
(n) 방사선기술개발사업
(2) 교육부 연구개발사업
(a) 이공학 개인지초연구지원
(b)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c)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d) 지역혁신창의인력양성사업
(e) BK21 플러스 사업
(3)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 사업
(a) 산업융합기술산업 핵심기술개발사업 (나노융합)
(b) 나노융합2020사업
(c) 그래핀 소재·부품 기술개발사업
(d) 나노소재 수요연계 제품화 적용기술개발사업
(e) T2B활용 나노융합 R&BD;촉진사업 [산업기술거점기관지원]
(f) 나노융합기술인력양성사업
(4) 환경부 연구개발 사업
(a) 글로벌탑환경기술개발사업
(b)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c)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d) 환경융합신기술개발사업
(e)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f) 토양·지하수오염방지기술개발사업
(5) 중소기업청 연구개발 사업
(a)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
(b) 제품공정개선기술개발사업
(c) 중소기업r&d;기획역량제고사업
(d)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e)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사업
(f) 중소기업융·복합기술개발사업
(g) 창업성장기술개발
(h)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
2) 나노기술 연구개발 성과 분석
(1) 논문 분석
가. 연도별 전체 SCI 논문대비 나노기술분야 논문 발표 추이
나. 우리나라 나노기술분야 논문 성과 현황
다. 국내외 나노기술분야 논문 연구분야 비중
라. 국가별 나노기술분야 논문 발표 순위(연도별)
마. 국가별 나노기술분야 논문 영향력지수 순위(2010~2014)
바. 국가별 나노기술분야 논문 발표 순위(2000년 이후 누적 기준)
사. 기관별 나노기술분야 논문 발표 순위
(2) 특허 분석
가. 한국특허청(KIPO) 등록특허 분석
(a) 연도별 동향
(b) 등록특허의 출원 국가별 동향
(c) 등록특허의 출원인 동향
(d) IPC별 등록특허 동향
나. 미국 특허청(USPTO) 등록특허 분석
(a) 미국 등록특허 동향
(b) 우리나라의 나노분야 미국 등록특허 동향
(c) 주요국의 나노분야 미국 등록특허 동향
(d) 국가별 주요 출원인 현황
(e) 미국특허로 본 각국의 특허영향력(PII)
(f) 미국특허로 본 각국의 특허경쟁력(PSI) 비교
(g) 미국특허로 본 각국의 특허시장력(PMI)
(h) 밈국특허로 본 국가별 기술력지수(TS) 분석
(i) 미국특허로 본 각국의 공동출원비율 비교
(j) 미국특허로 본 각국의 복수 IPC 출원비율 비교
(K) 미국특허로 본 주요국의 종합 지표 분석
(3)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
가. 국가연구개발사업 나노분야 기술이전 성과
나. 국가연구개발사업 나노분야 사업화 성과
(4) 2014년도 주요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과
가. 주요 연구개발 성과(언론보도 현황)
나. 주요 사업화 실적(언론보도 현황)
2. 나노기술의 EHS, ELSI
1) EHS 국내·외 정책동향
(1) 국제동향
가. 나노 안전성 관련 국제 협력
(a) OECD WPMN (경제협력개발기구 제조나노물질 작업반)
(b) EU NANoREG (나노안전규제를 위한 국제협력사업)
(c) WHO NanOSH systemic review
(d) WHO-IPCS 나노물질의 면역독성 EHC 지침
나. 나노기술 규제 동향
(a) EU으| REACH 규정
ⅰ) 유럽연합의 미확인 식품 규제(EU Novel Foods Regulation)
ⅱ) 유럽연합 화장품규제(E.U. Cosmetics Regulation)
(b)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ⅰ) 나노물질관리프로그램(NanoMaterial Stewardship Programme, NMSP)
ⅱ) 나노물질과 미국독성물질규제법(TSCA)
(c) 미국식품의약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다. 나노물질의 발암성 평가
(2) 우리나라 EHS 정책 동향
2) ELSI 국내·외 정책 동향
(1) 나노기술의 ELSI 연구 및 활동 배경
(2) 국제 동향
가. 미국의 ELSI 연구 및 활동 동향
(a) 나노기술의 ELSI에 대한 연구 및 관련 인프라 구축 사업
(b) 나노기술의 ELSI에 대한 교육사업
(c) 나노기술에 대한 대중적 이해(public understanding) 증진 사업
나. 유럽어내의 티_si 연구 및 활동 동향
(a) FP5(1998-2002년), FP6(2002~2006년), FP7(2007~2013년)
(b) Horizon 2020(2014~2020)
ⅰ) FP로부터 계속 이어지는 사업들
ⅱ) 2번째 프로그램 영역 ‘Industrial Leadership’
ⅲ) 6번째 프로그램 영역‘Science with and for Society"
(3) BIT우리나라 ELSI 연구 및 활동 동향
3. 나노기술의 영향평가와 지수개발
1) 나노기술의 영향평가 연구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2)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평가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3) 나노기술지수 개발
(1) 나노기술지수 개발의 배경과 목적
(2) 나노기술지수의 구성 및 산출 방법
(3) 나노기술지수의 국가별 비교
(4) 나노기술지수 연구의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4) 빅데이터를 활용한 나노기술 트렌드 분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제2장 나노복합소재 응용 기술 현황
1. 그래핀 기술 동향
1) 그래핀/금속 베어링 기술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2) OLED 조명용 일함수 제어된 그래핀 기반 전하 전달 소재 기술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3) 라텍스 기법의 폴리스티렌/그래핀 나노필러 나노복합재료의 제조 및 물성
(1) 개요
(2) 실험
가. 시약 및 재료
나. GO 합성
다. PSS-RGO 제조.
라. PS/GO 및 PS/PSS-RGO 나노복합재료 제조.
마. 분석 및 측정
(3) 결과 및 토론
가. 그래핀 나노플러의 특성 분석
나. PS/그래핀 나노필러 나노복합재료의 모폴로지
다. PS/그래핀 나노필러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라. PS/그래핀 나노필러 나노복합재료의 전기 전도도
(4) 결론
4) 산화그래핀 박막 코팅기술 개발 및 특성평가
(1) 서론
(2) 실 험
가. 실험개요 및 재료
다. 기판 전처리 및 코팅방법
라. 스핀코팅
마. 스프레이 코팅
바. 스핀-스프레이 코팅
사. 산화그래핀 특성평가 및 박막 분석
(3) 결과 및 토의
가. 산화그래핀 합성 및 특성평가
나. 산화그래핀을 이용한 대면적 코팅
다. 산화그래핀 박막 분석
(4) 결론
5)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산화 그래핀 이미지 분석 조건에 관한 연구
(1) 서론
(2) 실 험
가. 산화 그래핀의 합성
나. 산화 그래핀의 분석
다. 광학 측정을 위한 스핀 코팅
라. 산화 그래핀 환원
마. 그린 필터 및 이미지 채널 분리
(3) 결 과
가. 산화 그래핀 분석 결과
나. 하이드라진 증기 환원에 따른 이미지 분석
다. 광원의 파장에 따른 이미지 분석
라. 이미지 채널 분리를 통한 분석
마. GO와 RGO에 대한 이미지 채널 분리
(4) 결 론
6) 그래핀 도핑 기술 및 전자소자로의 응용
(1) 서론
(2) 그래핀 도핑 원리 및 방법
가. 치환도핑
나. 화학적 도핑
다. 표면 전하 전달 도핑
(3) 도핑된 그래핀의 전자소자로의 응용
가. 유기 태양전지
나. 발광 다이오드
다. 액정 디스플레이
(4) 결론
7) 바이오메디컬 소재로의 그래핀 응용
(1) 서론
(2) 그래핀의 생체 안전성
(3)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세포외기질 지지체로써의 그래핀의 응용
가. 그래핀의 세포 배양 적합성 및 기계적 특성의 이용
나. 그래핀의 높은 전기전도성의 이용
다. 그래핀의 복합적 물리적 성질들의 이용
(4) 약물 전달 시스템(DDS) 소재로의 응용
(5) 신경 인터페이스로의 응용
(6) 결 론
2. 탄소나노튜브 기술 동향
1) 생체계측용 웨어러블 밴드 적용을 위한 유연신축성 나노카본소재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2) 금속 나노입자가 형성된 CNT 투명전극 제조 기술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a) 국내외 특허동향
(b) 주요연구그룹(연구자)현황
(c) 주요 Key Player 역량분석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ⅰ) 시장의 경쟁 강도
ⅱ) 시장 진입 장벽
3) 탄소나노튜브 코팅막을 이용한 전주 방법
(1) 기술의 내용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a) 국내외 특허동향
(b) 주요 출원인 현황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ⅰ) 시장 경쟁강도
ⅱ) 시장 진입장벽
4) 무전해 니켈 도금과 양극산화가 CNT/에폭시 전자파 차폐효율에 미치는 영향
(1) 서론
(2) 실 험
가. 재 료
나. 탄소나노튜브 표면개질
다. 표면특성
라. 시편제조
마. 전기적 특성 및 전자파 차폐 특성
(3) 결과 및 고찰
가. 탄소나노튜브의 표면특성
(a) 탄소나노튜브 모폴로지 특성
(b) 표면관능기 및 원소함량 분석
나. 전기적 특성
다. 전자파 차폐효율
(4) 결 론
5) HIPS 복합재의 전기적 및 마모 특성에 미치는 다중벽 CNT의 영향
(1) 서론
(2) 시험 방법 및 조건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6) 산화아연 나노구조의 탄소나노튜브와의 혼성구조 형성 특성 연구
(1) 서론
(2) ZnO-CNT 혼성구조형성 공정의 개발
가. 순차적 CVD 공정
나. ZnO 나노구조체 형성 CVD 공정 개요
다. Vapor-Solid(VS) 메커니즘
라. Gibbs-Thompson Equation 및 나노구조체 시드의 형성 임계반경 고찰
(3) 다양한 ZnO 나노구조체의 CNT 와의 혼성구조 형성 특성
가. 기판 표면 특성의 영향: CNT 의 역할
나. 온도의 영향
다. 압력의 영향
라. Feeding gas 유량 및 조성의 영향
(4) 결 론
7) 다중벽 CNT를 함유한 PC/ABS 마모 특성 및 다중벽 CNT의 유출 평가
(1) 서론
(2) 실험 방법 및 내용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8) 탄소나노튜브로 강화시킨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노복합재료
(1) 서론
(2) 실 험
가. 시약 및 재료
나. 탄소나노튜브의 카르복실기로의 표면개질
다. 탄소나노튜브에 BHET 도입
라. PET/MWNT 나노복합재료의 제조
마. 분석
(3) 결과 및 토론
가. MWNT의 카르복실기로의 표면 개질
나. MWNT의 BHET로의 표면 개질
다. 표면 개질에 따른 MWNT의 모폴로지
라. PET/MWNT 나노복합재료의 열적 특성
마. PET/MWNT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바. PET/MWNT 나노복합재료에서 MWNT의 분산특성
(4) 결 론
9) CNT를 이용한 고성능 나노복합재료의 개발 동향
(1) 서론
(2)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의 연구개발 동향
가. 섬유/탄소나노튜브의 복합화 기술
(a) 섬유상 탄소나노튜브 성장
(b) 탄소나노튜브 숲 섬유강화 복합재료 적층기술
(c) 전사 공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수직배열
(d) 전기영동법에 의한 적층기술
나. 섬유/탄소나노튜브의 기능화 응용 기술
(a) 분말법을 이용한 기상 성장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
(b) 컵케익 탄소나노튜브
(c) 버키페이퍼
다. 탄소나노튜브 섬유
(3) 결 론
3. 나노 전자 기술동향
1) 내코로나성 나노복합체 바니쉬 제조와 그 응용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동향
나. 주요연구그룹(연구자)현황
다. 주요 Key Player 역량분석
나. 선행특허 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a) 자체 사업화 (단독 또는 조인트 벤처 설립)
(b) 기술이전 (또는 공동연구 후 기술이전 추진)
(c)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2) 산화물 전자소재의 저온 용액상 합성과 응용
(1) 서론
(2) 본론
가. 저온 반응성 전구체를 이용한 용액상 합성
나. 고반응성 분위기를 이용한 저온 반응
다. 연소반응에 기반한 저온 반응
(3) 결론
3) 전기 전도성 폴리스티렌/은 나노와이어 나노복합재료의 제조 및 물성
(1) 서론
(2) 실험
가. 시약 및 재료
나. AgNW 합성 및 정제
다. PS/AgNW 나노복합재료 제조
라. 분석 및 측정
(3) 결과 및 토론
가. AgNW의 성장 메커니즘
나. AgNW의 형상 및 구조
다. PS/AgNW 나노복합재료의 유변물성
라. PS/AgNW 나노복합재료의 전기적 물성
(4) 결 론
4) 습식환원법으로 제조한 은나노 잉크의 환경 전과정 평가
(1) 서 론
(2) 연구 목적 및 범위 설정
가. 목적정의(Goal Definition)
나. 범위 정의(Scope Definition)
(a) 기능
(b) 기능단위 및 기준흐름
다. 시스템 경계
라. 데이터 범주
마. 데이터 품질 요건
(a) 시간적 경계
(b) 지역적 경계
(c) 가정 및 제한사항
바. 영향 범주 및 영향평가 방법론
(3) 전과정 목록분석 (Life cycle inventory analysis)
가. 데이터 수집
나. 데이터 계산
(4) 전과정영향평가 및 해석
(5) 결 론
5) 탄소 나노튜브가 코팅된 은 메탈-메쉬 전극의 특성
(1) 서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6) 유무기 하이브리드 나노소재를 활용 한 고효율 고분자 태양전지 개발
(1) 서론
(2) 본론
가. 금속산화물-이온성 액체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나. 금속산화물- 공액고분자 전해질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다. 금속산화물-자가조립 단일층 하이브리드 나노소재
(3) 결론
7) 솔-젤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태양전지 전극형성용 나노 글래스
(1) 서론
(2) 실험방법
가. 전면 전극 형성용 전도성 잉크의 제조
나. 전면 전극의 형성
다. 접촉저항 측정
(3) 결과 및 고찰
가. 솔-젤 공정에 의한 나노 글래스 프릿의 제조 및 특성 분석
나. 잉크젯 프린팅 공정에 의한 전면 전극 형성 및 접촉저항 특성 평가
(4) 결 론
8) FTO 기판위 TiO₂나노로드의 시드박막층
(1) 서론
(2) 실험 방법
가. 시드(SEED) 박막층의 코팅
나. TiO₂나노로드(nanorod, NR)의 성장
다.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4. 나노코팅/접착
1) 실리카 구를 이용한 대면적 나노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내지문 방오박막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a) 접착제
(b) 도료 및 코팅소재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a) 환경측면(Environment)
(b) 기술측면(Technology)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2) 나노분체기술
(1) 개요
(2) 분체기술의 역사
(3) 분체공학
(4) 분체입자의 설계기법
(5) 나노분체기술의 응용
가. 자율적 조습재료
나. 중공형 실리카 미립구
다. 티타니아 나노구조체
라. 인삼 초미분말
(6) 결론
3) 친환경 표면 코팅 소재 기술 동향
(1) 개요
(2) 기술적 접근 방법
(3) 결론
4) 차체구조용 에폭시 접착제의 접합강도에 나노 기능성 블록공중합체 첨가 영향
(1) 서 론
(2) 실험 방법
가. 접착제 포물레이션 및 열분석
나. 접합시험편 제작
다. 인장시험 및 파단면 분석
(3) 결과 및 고찰
가. 경화거동
나. 단일겹치기 전단거동
다. T-박리거동
라. 충격박리거동
(4) 결 론
5) 새로운 표면처리기법 DLC코팅 기술동향
(1) 개요
(2) DLC코팅의 종류와 특징
(3) 중간층 형성 및 예비처리 기술
가. 중간층(접착층) 형성 기술
나. 미립자 피닝처리에 의한 예비처리 기술
다. 수소에칭과 아르곤세정에 의한 예비처리 기술
라. 스퍼터링에 의한 예비처리 기술
(4) DLC코팅 장치
(5) DLC코팅의 적용분야
(6) 맺음말
6) 친환경 자동차산업의 용사(Thermal spray)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1) 서 론
(2) 용사방법에 따른 기술개발동향
가. 용사방법의 종류
나. 플라즈마 용사
(a) 자동차산업에 적용되는 플라즈마용사
(b) 폴리머의 플라즈마용사
(c) 드라이아이스 블래스팅 처리기술
(d) 극초단파(microwave) 처리기술
(e) 나노구조의 원료(분말) 처리기술
(f) 금속기지 복합재료(MMC) 처리기술
다. 플레임 용사
라. 고속산소연료(HVOF)
마. 저온분사(Cold spraying)
바. 에어로졸 증착
사. 플라스틱소재의 금속피막 기술
(3) 용사재료에 따른 기술개발 동향
가. 고경도 나노입자
나. 금속간화합물
다. TiAlN계 나노복합 재료
라. TiC계 복합 재료
마. 고Si-Al합금
(4) 향후 기술전망
가. 무연(Pb-free) 재료개발
나. 품질향상기술
다. 결함 억제기술
라. 고효율 저온분사 기술
마. 금속간화합물 적용기술
바. 금속피막의 플라스틱제품 기술개발
(5) 결 론
5. 나노제조/장비
1) 12인치급 하이브리드 방식 나노 임프린트 장비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a) 대면적 나노임프린트 기술
(b) Substrate 종류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a) 기술측면의 촉진요인
(b) 기술측면의 저해요인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2) 실시간 나노 형상 광측정장치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a) 기술측면의 촉진 요인
(b) 기술측면의 저해 요인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동향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3) 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제조
(1) 개요
(2) 플라즈마에서 생성된 나노입자 연구의 중요성
(3)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PECVD)을 이용한 실리콘 나노입자의 합성
가. 나노입자 합성을 위한 공정변수
나. H2 가스를 이용한 나노입자의 입경 제어
다. 나노입자 합성 시 불활성 가스(Ar)의 역할
(4) 리튬이온 이차전지 응용을 위한 산화실리콘(SiOx) 나노입자의 합성
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소재 개선
나. PECVD를 이용한 SiOx 나노입자의 합성
4) 롤압연, 압출, 단조 등 모사 응용을 통한 나노패턴의 연속생산 기술 구현
(1) 서론
(2) 롤압연 기반의 롤투롤 나노패터닝
가. 공정 원리 및 특징
나. 공정 개선 노력: 대면적 몰드의 제작 및 이음매 문제 보완
(3) 압출 기반의 나노각인 및 나노채널 리소그래피
가. 공정 원리 및 특징
나. NCL: 고종횡비 그레이팅의 연속 제작
(4) 단조 기반의 진동압입 마이크로-나노패터닝
가. 공정 원리 및 특징
나. 공정 원리 및 특징
(5) 결 론
5) 스퍼터링 기술과 장비개발 동향
(1) 개요
(2) 마그네트론 스퍼터링기술
(3)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용 스퍼터링 장비개발 동향
(4) 결론
6) 전해가공과 방전가공의 최신기술 동향
(1) 개요
(2) 전해가공기술(ECM)
가. ECM 공정제어 및 공구의 설계
나. 공정 능력
다. 전해액과 공구
라. 하이브리드 ECM
(3) 방전가공기술(EDM)
가. 공정 원리 및 전원 공급 장치
나. 전극 및 유전매체
다. 표면 상태
라. 미세가공 EDM
(4) 나노 전기가공(nano-EM)의 최신기술
(5) 결론
6. 나노바이오
1) 난용성물질의 가용화에 의한 나노입자 개발
(1) 개요
(2) 기술의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a) 국내외 특허동향-의약품
(b) 주요경쟁자 Landscape-의약품
(c) 국내외 특허 동향-화장품
나. 선행특허분석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a) 국내 판로확보 방안
(b) 해외 판로확보 방안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2) 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균일한 크기의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방법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a) 기술적인 측면
(3) 특허성 분석
가. 국내외 특허 동향
(4) 사업성 및 시장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라.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마. 시장진입가능성
(a) 기술ㆍ사회적 효과
(b) 경제ㆍ산업적 효과
(c) 약물전달기술로 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맞춤형 약물 구현
3) 형광특성이 향상된 풀러렌-실리카 나노입자 제조방법 및 용도
(1) 개요
(2) 기술성 분석
가. 기술의 내용 및 특징
나. 기술의 수준
다. 기술의 필요성
라. 기술의 차별성
(3) 특허성 분석
가. 사업화 제품화
나. 사업화 방법 및 성공요인
다. 국내외 시장전망
(a) 국내외 시장 규모 및 동향
(b) 시장의 구조, 경쟁강도 및 진입장벽
4) FET 특성 기반 나노바이오센서 분석 기술
(1) 서론
(2) 본론
가. FET 나노바이오센서
나. Debye 길이(length, K?¹)
다. 호르몬 센서
라. 나노바이오 전자 코(Bioelectronic-Nose)
마. 그래핀 마이크로 패턴 하이브리드 FET 트랜지스터 기반 HIV 면역센서
(3) 결론
5) 마이크로-나노구조물을 이용한 생체물질 검출 플랫폼
(1) 서론
(2) 본론
가. 다공성 멤브레인 바이오센서 플랫폼
(a) 검출 방법
(b) 단백질 검출 사례
(c) 세포 검출 사례
나. 나노기공 바이오센서 플랫폼
(a) 바이오센서로서 AAO 특성
(b) AAO의 표면 개질
(c) AAO기반 광 바이오센서
(d) AAO기반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다. 캔틸레버 바이오센서 플랫폼
(a) 정적모드 캔틸레버 센서
(b) 동적모드 캔틸레버 센서
라. 자성 나노입자 바이오센서 플랫폼
(a) 자성 나노입자 합성
(b) 자성 나노입자기반 전기화학적 검출
(c) 자성 나노입자기반 표면 플라즈몬 공명 검출
(d) 자성 나노입자 및 자기장 기반 검출
마. 탄소나노튜브 바이오센서 플랫폼
(a) 탄소나노튜브 구조
(b) 탄소나노튜브 합성
다. 탄소나노튜브기반 검출
(3) 결론
6) 플라즈모닉 금 나노입자 합성 및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바이오센서에 적용
(1) 서론
(2) 본론
가. 금 나노입자 합성 및 플라즈모닉 성질 조사
나. 금 나노입자에 바이오기능성 도입 방법
다. SPR 기본원리
라. 금 나노입자 증대형 SPR 바이오센서 개발 및 응용
(3) 결론
7) 나노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1) 서론
(2)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3) 약물전달시스템에 이용되는 나노입자의 종류 및 플랫폼
(4) 나노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의 현황
(5) 결론
8) 나노섬유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의 발전 ?향
(1) 서론
(2) 나노섬유를 이용한 약물 전달시스템
가. 약물 포접 방법
나. sheath 층을 가지는 나노섬유의 약물 전달시스템
다. 나노섬유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약물전달
(3) 응용
(4) 결론
9)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1) 서론
(2) 하이드로젤 제조의 원리
가. 물리적 가교
나. 화학적 가교
(3)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약물전달 연구 동향
가. 스마트 하이드로젤
나. 하이브리드 시스템
다. 벌크(bulk)에서 나노(nano)까지
라. 다기능성 하이드로젤
(4) 결론
10) 금속 나노입자의 생물학적 합성 및 항균활성
(1) 서론
(2) 금속 나노입자의 생물학적 합성
가. 식물, 미생물, 효소를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합성
나. 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합성
다. 금속 나노입자의 항균활성
(3) 결론
11) 항균, 항박테리아 나노 구조체의 생태계 위해성 논란
(1) 서론
(2) 본론
가. 항균, 항박테리아 나노 구조체의 개발 및 위해성 논란
나. 항균, 항박테리아 나노 구조체의 연구 동향
다. 생태계 위해성 논란
라. 나노물질에 대한 국제적 규제 동향
(3) 결론
12) 은나노입자가 합성된 CNT의 항균 특성과 그의 독성 분석
(1) 서론
(2) 결과 및 고찰
(3) 결론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