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와 가족의 갈등과 연민, 산다는 것에 대한 의문과 호기심!
새로운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설렘, 그 속에서 피어나는 웃음과 깨달음!
30년 장기 연재라는 끈기와 저력의 《보노보노》!
《보노보노》는 이제 31권을 발행하며 이야기의 재미가 더 진하고, 더 깊어졌다. 잔잔한 파도를 탄 이야기는 더 큰 바다를 향해 나아간다. 친구와 가족의 갈등과 연민, 산다는 것에 대한 의문과 호기심, 새로운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설렘, 그 속에서 피어나는 웃음과 깨달음을 선사하면서. 단순한 그림체로 이토록 심오한 메시지를 풀어 놓는, 《보노보노》 작가 이가라시 미키오의 탁월한 솜씨는 항상 놀랍다.
엄마가 없는 보노보노.
보노보노는 왜 아빠와 단둘이 살까? 그 비밀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순진한 보노보노와 순박한 보노보노 아빠. 소심하고 엉뚱한 이 부자를 보고 있으면, 입가에 미소가 저절로 지어진다. 자신보다 타인을 늘 배려하는 보노보노 부자. 그 욕심 없는 마음은 정말 본받고 싶을 지경이다.
혼자 독립하여 사는 포로리.
작은 몸집의 약자지만 정신력 하나는 강하다. 요즘 들어 “때릴 거야?”라고 묻지 않을 정도로 힘도 키운 것 같다. 하지만 세상 살기가 여러 가지로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연로한 부모님을 보살피며, 조카 마호모도 돌봐야 하는 등 어깨가 무겁다. 그래도 늘 패기에 넘쳐 큰소리치는 포로리. 어찌 귀엽다고 하지 않을 수 있을까?
숲속의 최고 난폭자 너부리.
그런 너부리보다 더 괴팍한 너부리 아빠. 그런 둘을 두고 떠나버린 너부리 엄마. 그래서일까? 너부리한테는 어떤 연민의 정이 느껴진다. 그런 호기로움도 귀엽다. 라쿤 특유의 굵은 줄무늬의 통통한 꼬리만 봐도 웃음이 터진다.
늘 비밀을 간직한 고독한 싱글 야옹이.
야옹이 형의 이 숲에 오게 된 이유는 뭘까? 보노보노의 정신적 지주인 야옹이 형은 숲속의 철학자다. 삶을 달관한 듯한 태도로 무심하게 말해도 뭔가 깨달음을 선사한다. 그런 야옹이 형에 대한 모든 궁금증은 언제쯤 풀어질까? 북쪽에서 친구 스스도 찾아오고… 야옹이 형의 정체를 확인해가는 건 《보노보노》의 또 다른 재미다.
새 번역, 새 디자인의 새 한국어판 《보노보노》 시리즈는 매 권 ‘보노보노 일러스트 엽서’를 부록으로 선사한다. 소장 가치를 한층 더한 《보노보노》는 지친 삶을 위로하는 휴식 같은 친구이다. 《보노보노》 31권은 밝은 웃음과 따듯한 위로로 상처 난 마음을 치유해주는 최고의 선물이다.
소소한 가정의 일상을 느낄 수 있는 보노보노.
이번 《보노보노 31》에서는 아빠의 고민을 함께 생각하게 만든다. 아빠의 고민은? 고단한 가장의 역할도 인생살이의 힘겨움도 아니다. 바로바로 대머리! 나이가 들면 왜 머리가 벗어지는가? 린 아빠는 그게 괴롭기만 하다. 이런저런 처방을 써 보지만 글쎄…. 그런데 그러다 문득 깨달음이 온다고?
야옹이 형의 친구가 찾아왔다.
숲 속 모두의 관심이 대상이다. 야옹이 형의 친구라니! 누굴까? 어떻게 생겼을까? 더구나 북쪽에서 왔다니, 야옹이 형이 이 숲으로 오게 된 비밀이 풀리려나?
“누군가가 친구와 같이 있는 걸 보면 참 좋다는 생각이 든다” 보노보노는 친구의 의미를 다시금 새긴다.
“나는 거짓말쟁이다. 거짓말을 정말 좋아해”라며 떠벌리 오소리.
거짓말을 하면 후련해진다고? 하지만 거짓말은 듣는 이를 화나게 한다. “넌 후련할지 몰라도 거짓말을 듣는 쪽은 화가 나.” 터프가이 너부리가 분통을 터뜨린다. 하지만 거짓말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속고 속이는 친구들. “거짓말은 거짓말에 지는 법이다” 너부리의 명언이 빛을 발하는 《보노보노 31》이다.
숲속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지진 같은 자연재해나 전염병이 아닐까? 그것도 꼬리가 아파지는 병이라니! 숲속에 비상에 걸린다. 너부리도 야옹이 형도 예외가 없다. 왜? 전염병이니까! 거기에 귀염둥이 포로리까지 이 몹쓸 전염병에 걸리다니! 과연 해법은? 숲속의 친구들은 나을 수 있을까? 과연, 어떻게?
힐링 만화 《보노보노》는 《보노보노 명언집(상-오늘은 바람과 사이좋게 지내보자, 하-이유 없이 문득 외로워질 때가 있다)》이 발행될 만큼 우리 마음을 울리는 주옥같은 대사가 일품이다. 《보노보노 31》에서도 강력한 웃음과 깊은 성찰로 독자를 미소 짓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