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공법기록 엑기스 제5판

공법기록 엑기스 제5판

  • 강성민
  • |
  • 필통북스
  • |
  • 2019-04-01 출간
  • |
  • 734페이지
  • |
  • 188 X 257 mm (B5)
  • |
  • ISBN 9791161801056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3,6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6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5판 머리말

 

공법기록엑기스는 제가 변호사시험을 합격한 그 해에 첫 선을 보였습니다. 어느덧 저는 햇수로 5년차 변호사가 되었고, 공법기록엑기스도 제5판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제1판부터 과분한 사랑을 받았던 본 교재는 이제는 어느덧 공법기록형의 대표적 교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책을 사랑해주신 여러분들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큰 책임감을 가지고 공법기록형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8회의 변호사시험을 거치면서 공법기록형의 출제 유형도 어느 정도 정형화되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여전히 시험장에서 당황할 수밖에 없는 까다로운 형태의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모의시험 기출문제 분석에서 예상할 수 있었듯이, 8회 변호사시험에서는 3개의 서면을 작성하는 형태가 출제되고, (이미 공법기록엑기스에는 수록되어 있었던) 새로운 유형인 행정심판청구서가 출제되었습니다. 이제는 확실히 선택형‧사례형과 구별되는 공법기록형만의 특유한 쟁점과 문제해결방식에 대한 대비 없이는 공법기록형의 고득점이 어렵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본 교재는 수험생의 입장에서 이와 같은 고민들을 토대로, 여러분들이 가장 효율적으로 공법 기록형 유형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쓰여졌습니다. 이 책의 목차에 따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부 공법기록 작성을 위한 기초]에서는 헌법소송과 행정소송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공법적 분쟁의 유형에 따른 적합한 구제수단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서술하였습니다. 특히 공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이 부분을 여러번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제2부 공법기록 작성 방법론]에서는 다양한 서식과 기재례를 보여드림으로써 공법기록의 실체를 보여드리려고 노력하였습니다. 특히 이 부분을 설명할 때 행정법엑기스 핸드북(행정소송 부분)과 헌법재판실무제요(헌법소송 부분)와 표현을 동일하게 맞추었기 때문에 이해 및 암기가 훨씬 수월하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3부 기출문제해설]에서는 실제 기록 문서를 읽어나갈 때 주의해야 할 부분을 알 수 있도록 변호사시험 본시험 문제에 가필을 하면서 답안을 작성하였습니다. 

 

[별책부록 : 기재례 핸드북]에서는 본서에 소개된 다양한 기재례를 모아서 포켓북 사이즈로 만들어 마지막 정리때 도움이 되고자 하였습니다. 

 

 

본서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서의 1부와 2부를 충분히 학습하십시오. ② 변호사시험 기출문제 원본을 출력하신 뒤 시간을 재고 메모를 하시며 문제를 풀어보십시오. ③ 본서 제3부 기출문제 해설의 ‘문제’ 부분의 가필을 읽으시면서, 저자와 여러분의 문제 풀이 논리를 비교해가며 고민해보십시오. ④ 그 이후에 제3부의 해설을 보십시오. ⑤ 본서와 함께 제공되는 핸드북은 틈틈이 보시면서 그 표현에 익숙해지시기 바랍니다. 

 

본 교재에는 지금까지 출제된 총 8회분의 변호사시험 공법기록형 쟁점과 2011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치러진 총 22회분의 모의시험 공법기록형 쟁점을 본 책과 핸드북에 모두 표시해두었습니다. 출제 되었던 쟁점들을 한 번에 단권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 책에 관한 의견은 언제든지 gangseongmin@naver.com 으로 해주십시오.

 

여러분의 열심과 노력을 늘 응원합니다. 이 책으로 공부를 하는 여러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세상에 꼭 필요한 법률가가 되시기 바랍니다. 

 

2019. 3. 8. 

강성민 드림

목차

제1부 공법기록 작성을 위한 기초 2

제1편 공법소송의 종류 4

제2편 공법소송의 분류 6

제➊장❘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에 대한 구제수단 6

제1절❘ 개 설 6

제2절❘ 항고소송과 구체적 규범통제 7

Ⅰ. 개 설 7

Ⅱ. 항고소송 8

제3절❘ 권리구제형 헌법소원 21

제➋장❘ 그 밖의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대한 구제수단 : 당사자소송 23

Ⅰ. 의 의 23

Ⅱ. 다른 소송과의 구별 23

Ⅲ. 판례가 당사자소송으로 본 경우 24

제➌장❘ 권한분쟁에 대한 해결수단 26

제1절❘ 개 설 26

제2절❘ 권한쟁의심판 27

Ⅰ. 권한쟁의심판의 의의 27

Ⅱ. 심판청구의 절차 27

Ⅲ. 심판청구의 적법요건 28

Ⅳ. 가처분 28

Ⅴ. 결  정 28

제3절❘ 기관소송 30

제4절❘ 권한분쟁의 해결수단으로서 항고소송의 활용 30

제➍장❘ 기타 헌법소송제도 31

제1절❘ 탄핵심판 31

제2절❘ 정당해산심판 32

 

제2부 공법기록방법론

제1편 시험에 나오는 기록형 서식 36

1 소장 양식 36

2 소장 기재례 38

3 답변서 양식 40

4 답변서 기재례 41

5 집행정지신청서 양식 42

6 집행정지신청서 기재례 43

7 행정심판청구서 기재례 44

8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양식 45

9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기재례 46

10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양식 47

11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49

12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양식 51

13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53

14 권한쟁의심판청구서 양식 55

15 권한쟁의심판청구서 기재례 57

16 가처분신청서 기재례 59

17 정당해산심판청구서 기재례 60

18 위헌법률심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에 대한 의견서 기재례 61

19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대한 답변서 기재례 62

 

제2편 행정소송 64

Ⅰ. 소 장 64

A. 형식적 기재사항 64

20 형식적 기재사항 총설 64

21 원고의 표시 65

22 피고의 표시 68

23 사건의 표시 71

24 청구취지 72

25 청구원인 76

26 입증방법 및 첨부서류 77

27 날짜 및 대리인, 관할법원 78

B. 청구 원인 83

 

1

 이 사건 처분의 경위 83

28 이 사건 처분의 경위 83

 

2

 이 사건 소의 적법성 (적법요건) 85

29 적법요건 총설 85

30 대상적격 86

31 원고적격 98

32 협의의 소의 이익      107

33 피고적격 113

34 제소기간 118

35 행정심판 전치주의    123

 

3

 이 사건 처분의 위법성 (본안심리) 125

36 본안심리 총설 125

37 처분 내용의 하자 127

38 처분 절차의 하자            150

39 처분 주체의 하자 161

40 처분 형식의 하자 162

Ⅱ. 답변서 163

41 답변서 163

 

제3편 헌법소송 165

Ⅰ.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165

 

1

 형식적 기재사항 165

42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형식적 기재 165

 

2

 신청이유 168

43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 신청이유 168

Ⅱ. 제68조 제2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174

 

1

 형식적 기재사항 174

44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형식적 기재사항 174

 

2

 청구이유 177

45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청구 177

Ⅲ. 제68조 제1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184

 

1

 형식적 기재사항 184

46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형식적 기재사항 184

 

2

 청구이유 188

47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청구이유 188

48 청구인능력 (기본권주체성) 189

49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192

50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침해 주장 201

51 청구인적격 (자기관련성, 직접성, 현재성) 202

52 보충성 207

53 권리보호이익 또는 심판이익 209

54 청구기간 준수 211

55 변호사 강제주의 215

Ⅳ. 권한쟁의심판청구서 216

 

1

 형식적 기재사항 216

56 권한쟁의심판청구서 형식적 기재사항 216

 

2

 신청이유 219

57 권한쟁의심판 청구이유 219

Ⅴ. 청구대상의 특정 224

58 위헌법령의 기재방법 224

59 단순위헌결정 이외의 위헌결정 226

60 처벌조항이 심판대상인 경우 234

Ⅵ. 본안에서 위헌 논증 236

61 신청(청구)이유 中 위헌논증 총설 236

62 과잉금지원칙 기재례 243

Ⅶ. 특수한 제한법리가 있는 기본권 248

63 평등권 248

64 직업의 자유 254

65 재산권 257

66 표현의 자유 260

67 집회‧결사의 자유 263

68 기본권 보호의무 265

69 사회권적 기본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 266

70 생소한 기본권 기재례 267

Ⅷ. 자주 사용되는 헌법상 원칙 271

71 위임입법의 한계와 통제 일반    271

72 법률유보의 원칙        272

73 포괄위임금지원칙          274

74 명확성의 원칙          275

75 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및 신뢰보호의 원칙    276

 

제3부 기출문제해설

2012년도 제1회 변호사시험 문제 280

2012년도 제1회 변호사시험 해설 319

2013년도 제2회 변호사시험 문제 328

2013년도 제2회 변호사시험 해설 373

2014년도 제3회 변호사시험 문제 386

2014년도 제3회 변호사시험 해설 423

2015년도 제4회 변호사시험 문제 434

2015년도 제4회 변호사시험 해설 478

2016년도 제5회 변호사시험 문제 490

2016년도 제5회 변호사시험 해설 538

2017년도 제6회 변호사시험 문제 550

2017년도 제6회 변호사시험 해설 594

2018년도 제7회 변호사시험 문제 604

2018년도 제7회 변호사시험 해설 650

2019년도 제8회 변호사시험 문제 660

2019년도 제8회 변호사시험 해설 706

판례색인 720

 

핸드북 <제목 차례>

 

제1편 시험에 나오는 기록형 서식 2

1 소장 기재례 2

2 답변서 기재례 4

3 집행정지신청서 기재례 5

4 행정심판청구서 기재례 6

5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기재례 7

6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8

7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기재례 10

8 권한쟁의심판청구서 기재례 12

9 가처분신청서 기재례 14

10 정당해산심판청구서 기재례 16

11 위헌법률심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에 대한 의견서 기재례 17

12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대한 답변서 기재례 18

 

제2편 행정소송 20

Ⅰ. 소 장 20

13 원고의 표시 20

14 피고의 표시 22

15 사건의 표시 23

16 청구취지 24

17 청구원인 27

18 입증방법 및 첨부서류 28

19 날짜 및 대리인, 관할법원 29

20 이 사건 처분의 경위 31

21 총 설 32

22 대상적격 33

23 원고적격 38

24 협의의 소의 이익 43

25 피고적격 46

26 제소기간 49

27 행정심판 전치주의 52

28 본안심리 총설 53

29 처분 내용의 하자 55

30 처분 절차의 하자 70

Ⅱ. 답변서 79

31 청구취지에 대한 답변 79

 

제3편 헌법소송 82

Ⅰ.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서    82

32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 적법요건 82

Ⅱ. 제68조 제1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85

33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적법요건 일반 85

34 청구인능력 (기본권주체성) 88

35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 90

36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의 침해 주장 91

37 청구인적격 (자기관련성, 직접성, 현재성) 92

38 보충성 95

39 권리보호이익 또는 심판이익 96

40 청구기간 준수 97

Ⅲ. 제68조 제2항 헌법소원심판청구서    98

41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심판청구서 적법요건 일반 98

Ⅳ. 권한쟁의심판청구서 103

42 권한쟁의심판 적법요건 103

Ⅴ. 청구대상의 특정 104

43 단순위헌결정 이외의 위헌결정 104

44 처벌조항이 심판대상인 경우 108

Ⅵ. 본안에서 위헌 논증 109

45 신청(청구)이유 中 위헌논증 총설 109

46 과잉금지원칙 기재례 111

Ⅶ. 특수한 제한법리가 있는 기본권 112

47 평등권 112

48 직업의 자유 114

49 재산권 116

50 표현의 자유 118

51 집회‧결사의 자유 120

52 기본권 보호의무 122

53 사회권적 기본권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 123

54 생소한 기본권 기재례 124

Ⅷ. 자주 사용되는 헌법상 원칙 128

55 법률유보의 원칙 129

56 포괄위임금지원칙 및 위임의 한계 131

57 명확성의 원칙 133

58 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및 신뢰보호의 원칙 13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