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19 이채문 전공체육 스포츠사회학

2019 이채문 전공체육 스포츠사회학

  • 이채문
  • |
  • G북스
  • |
  • 2019-02-18 출간
  • |
  • 465페이지
  • |
  • 192 X 262 X 27 mm /993g
  • |
  • ISBN 9788962514872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0,9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9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1부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및 스포츠와 사회과정

제1장 스포츠 및 스포츠 사회학의 이해 25
① 스포츠의 이해 25
1. 스포츠의 정의 25
1-1. 놀이 26
1-2. 게임 29
1-3. 스포츠 30
2. 스포츠의 핵심요소 31
3. 스포츠의 범위 34
4. 스포츠의 특성 35
4-1. 허구성 36
4-2. 비생산성 37
4-3. 불확실성 37
4-4. 제도화된 규칙성 37
4-5. 경쟁성 37
4-6. 신체의 움직임 및 탁월성 38
4-7. 제도화 38
5. 스포츠 분류 39
6. 근대 스포츠의 특성 /현대 스포츠의 특징 42
7. 현대스포츠의 두 개념 : 대중화와 고도화 47
② 스포츠와 세계화 48
1. 스포츠 세계화의 이해 48
1-1. 스포츠 세계화의 정의 48
1-2. 근대스포츠의 전파 49
2. 스포츠 세계화의 동인 51
2-1. 제국주의(imperialism) 51
2-2. 민족주의(nationalism) 52
2-3. 종교 53
2-4. 테크놀리지의 진보 53
3. 신자유주의 시대의 스포츠 54
3-1.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이해 54
3-2. 스포츠의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55
3-3.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그림자 55
3-4. 신자유주의 시대의 문화제국주의 56
③ 스포츠 사회학의 정의 57
④ 스포츠 사회학의 연구 및 주제 57
1. 스포츠 사회학의 연구 영역 57
⑤ 스포츠 현상의 사회학적 이해의 필요성 58
1.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활동 : 우리의 삶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 59
2. 스포츠는 문화 이데올로기(사상, 신념)를 재확인 59
3. 스포츠는 중요한 사회제도(사회영역)와 연결 61
4. 스포츠와 의사종교 [스포츠에서의 초자연적인 힘] 62

제2장 스포츠에서의 사회이론의 적용 64
① 사회 64
1. 사회관계 64
2. 사회구조 64
② 사회이론에 대한 이해 65
③ 스포츠 사회학의 주요 이론 요약 66
④ 구조기능론:스포츠는 삶의 활력소다. 67
1. 주요내용 68
2. 스포츠와 구조기능론 69
2-1. 파슨스(T. Parsons)의 구조기능주의 70
2-2. 머튼(R. Merton)의 구조기능주의 72
3. 한계점 73
3-1.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73
3-2.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73
⑤ 갈등이론:스포츠는 아편이다. 75
1. 주요내용 75
2. 스포츠와 갈등론 76
3. 주요 관심사 76
3-1.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76
3-2.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78
4. 한계점 80
4-1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80
4-2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81
⑥비판이론:스포츠는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82
1. 비판이론에 대한 이해 82
2. 기본 가정 (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84
3. 주요내용 84
4. 스포츠와 비판이론 85
4-1.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85
4-2.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86
5. 한계 88
5-1.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88
5-2.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88
⑦♡상징적 상호작용론 89
1.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대한 이해 89
1-1.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89
1-2.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90
2. 스포츠와 상징적 상호작용론 91
2-1. Cooley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91
2-2.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92
2-3.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95
3. 한계 96
⑧ 교환이론 96
1. 교환이론에 대한 이해 96
2. 스포츠와 호먼스(Homans)의 교환이론 98
⑨ 사회 질서에 대한 가정 및 스포츠와 사회관계에 대한 설명(임번장) 100
1. 사회이론 적용의 실제:2002년 한일 월드컵 바라보기 102

제3장 스포츠 사회화의 이해 및 과정 106
① 스포츠 사회화의 개념 106
1. 사회화 및 스포츠 사회화의 의미 106
2. 스포츠 사회화의 개념 107
② 스포츠 사회화의 이론 109
1.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 110
2. 역할 이론(role theory) 113
3. 준거 집단 이론(reference group theory) 114
4. 사회화이론의 종합 115
③ 스포츠로의 사회화 115
1. 스포츠로의 사회화 의미 115
2. 스포츠의 참여동기 및 요인 116
3. 스포츠 사회화에 기여하는 요인 120
4. 스포츠 사회화의 주관자 120
④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 123
1.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 의미 123
2. 스포츠와 태도 형성 124
2-1. 스포츠 역할의 경험 124
2-2. 스포츠 가치형성 131
2-3. 스포츠와 태도 132
3. 스포츠 사회화와 경기 성향 135
4. 스포츠 가치 형성 138
5.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에 있어서 전이의 일반적 특성(스나이더(Snyder)) 139
⑤ 스포츠로부터의 탈사회화(desocialization from sport) 145
1. 비조직적 스포츠에서의 탈사회화 145
2. 조직적 스포츠에서의 탈사회화 145
3. 운동선수의 탈사회화 147
4. 프로 선수의 은퇴 147
⑥스포츠로의 재사회화 148
1.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148
2.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148

제4장 스포츠와 사회구조 : 스포츠와 사회집단 152
① 사회구조의 이해 152
1. 사회적 범주 152
2. 사회집단 153
3. 사회조직 153
② 스포츠와 집단 154
1. 스포츠 집단의 개념 154
2. 스포츠와 집단 구조 155
③ 스포츠 집단 구조의 요인 156
1. 집단 내 위치 156
2. 집단 내 지위 156
2-1. 사회적 지위 157
3. 집단 내 역할 157
3-1. 스포츠 집단 역할의 의미 157
3-2. 스포츠 집단과 사회적 역할 159
4. 스포츠 집단의 규범 161
4-1. 스포츠 집단 규범의 특성 161
4-2. 스포츠 집단 규범의 유형 161
4-3. 스포츠 집단 규범의 기능 162
④ 스포츠 집단의 발달 과정 163
1. 선형 모형(Tuckman) 163
2. 진자 모형 167
3. 주기 모형 167
4. 결론 168
⑤ 스포츠 집단의 분류 168
1. 집단에 대한 결합의지와 친밀성에 따른 분류(쿨리, Cooley) 168
2. 집단의 공식성에 따른 분류 169
3. 단계별 스포츠 집단 169
4.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170
⑥스포츠 집단의 경쟁과 협동 170
1. 스포츠 집단에서의 경쟁과 협동의 본질 170
2. 경쟁과 협동의 행동적 결과 171
3. 경쟁과 협동의 운동 수행적 결과 171
⑦스포츠 집단의 환경 172
1. 스포츠 집단의 과제 172
1-1. 스포츠 집단 과제의 특성(Hackman과 Oldham) 172
1-2. 스포츠 집단 과제의 유형 173
1-3. 스포츠 집단 규모와 집단 과제 유형 174
2. 스포츠 집단의 활동 영역 175
2-1. 스포츠 집단 활동 영역의 유형 175
2-2. 스포츠 집단의 활동 영역과 과제 수행 176
⑧ 스포츠와 집단 구성 176
1. 스포츠집단 구성원의 특성 177
⑨ 스포츠 집단과 응집성 177
1. 스포츠 집단과 응집력 177
1-1. 응집력(또는 응집성)의 개념 177
1-2. 스포츠 집단 응집력과 경기력 178
1-3. 집단응집력의 증진방안 179
2. 스포츠 집단과 사회적 촉진현상 179
2-1. 사회적 촉진현상의 개념 179
2-2. 사회적 촉진현상과 경기력 179
3. 응집성의 측정 180
4. 스포츠 집단 응집성의 구성 요인(Carron) 182
5. 스포츠 집단 응집성의 영향 183
제5장 스포츠와 사회구조 : 스포츠와 사회조직 186
① 스포츠 조직의 개념 186
② 스포츠 조직의 구조 186
1. 사회적 지위 187
2. 사회적 역할 187
3. 사회적 규범 188
4. 스포츠 조직의 구조적 특성 190
③ 스포츠 조직의 유형과 수준 193
1. 스포츠 조직의 유형 193
1-1. Blau와 Scott의 주 수혜자별 조직 유형 193
2. 스포츠 조직의 수준 196
④ 스포츠 조직과 리더십 197
1. 스포츠 조직과 리더십 개념 197
2. 리더십이론( 출처: 개념 중심 스포츠 사회학 이혁기, 신석민 공저) 198
2-1. 특성이론 199
2-2. 행동이론 199
2-3. 상황이론 200
3. 리더십과 조직효율성 200
4. 리더십과 의사결정 201
⑤ 스포츠 조직의 지도자 충원 이론 202
1. 스포츠 조직의 지도자 개념 202
2. 스포츠 조직의 지도자 충원 이론 203

제2부 스포츠와 사회제도

제1장 스포츠와 정치 209
① 스포츠와 정치의 관계 209
1. 정치의 개념 209
2. 스포츠의 정치적 속성 210
1-1. 대표성: 스포츠는 소속 조직에 대한 대표성을 가진다 211
1-2. 권력투쟁: 스포츠가 점진적으로 조직화됨에 따라 불평등하게 배분된 권력을 획득한다 211
1-3. 상호의존성: 스포츠와 정치의 결합은 정부기관이 개입되었을 때 더욱 명백하게 발생한다 211
1-4. 긴장관계: 스포츠와 정치는 상호작용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211
1-5. 보수성: 스포츠의 제도적 특성은 보수적이다 212
1-6. 우민화도구 212
3. 스포츠의 정치적 기능 213
3-1. 스포츠의 정치적 순기능 213
3-2. 스포츠의 정치적 역기능 214
4. 정치는 왜 스포츠를 이용하는가 214
5. 정치의 스포츠 이용방법 215
5-1. 상징 216
5-2. 동일화 217
5-3. 조작 218
6. 스포츠와 정치 개입 223
6-1. 공공질서 보호 223
6-2. 시민들의 건강 및 체력 유지 224
6-3. 지역사회나 국가의 명성(위신) 고취 224
6-4. 정체성과 소속감 증진 224
6-5. 지배적인 정치 이데올로기와 관련된 가치 재생산 225
6-6. 정치지도자와 정부에 대한 시민의 지지 증진 225
6-7. 국가 및 지역사회의 경제발전 도모 226
② 국가정치에서의 스포츠 226
1. 정권안정과 사회통합 227
2. 내셔널리즘의 강화 227
3. 사회적 안전판의 수단 228
4. 사회복지의 수단 229
③ 스포츠와 국내정치 ( 출처: 스포츠 사회학 한태룡 등 공저) 230
1. 스포츠정책의 두 얼굴: 복지에서 이데올로기까지 230
2. 정치의 개입 원인 230
④ 스포츠와 국제정치 232
1. 국제정치에서 스포츠의 역할 232
2. 올림픽과 정치 237
⑤ 정치 수준과 스포츠 241
1. 지역 사회와 스포츠 241
2. 국가 사회와 스포츠 241
3. 국제 사회와 스포츠 243
4. 정치 수준과 스포츠의 결론 244
5. 스포츠와 국내정치 244
⑥국제정치에서 스포츠 이용/스포츠가 국제정치에서 개입되는 방식 245
1. 외교적 도구 246
2. 정치이념 선전 / 이데올로기 및 체제 선전의 수단 247
3. 국위 선양 247
4. 국제 이해와 평화 증진 248
5. 외교적 항의 249
6. 갈등 및 적대감의 표출 / 갈등 및 전쟁의 촉매 249
제2장 스포츠와 경제 252
① 현대스포츠 발전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 252
1. 산업화 252
2. 도시화 252
3. 교통·통신의 발달 253
② 스포츠와 상업주의 253
1. 상업주의 스포츠가 출현하기 위한 몇 가지 조건(coakley) 253
2. 상업주의와 스포츠의 변화 255
3. 스포츠 본질의 변화 255
4. 상업주의와 스포츠의 변화 256
4-1. 스포츠 목적의 변화 : 관중의 흥미 유발로 인한 경제적 이윤 획득 256
4-2. 스포츠 구조: 규칙의 변화로 관중의 흥미 극대화 259
4-3. 스포츠 내용:선수, 코치의 경기 성향 변화 260
4-4. 스포츠 조직의 변화 263
③ 스포츠와 마케팅 266
1. 스포츠마케팅의 이해 266
1-1. 스포츠 마케팅 266
1-2. 스포츠를 통한 마케팅 266
2. 스포츠마케팅과 마케팅믹스 4Ps 267
2-1. 제품 267
2-2. 가격 268
2-3. 유통/장소 268
2-4. 촉진 268
④ 현대사회와 프로스포츠 269
1. 프로스포츠의 사회적 기능 269
제3장 스포츠와 교육 270
① 스포츠와 교육 체계 270
1. 학교체육의 이해 270
② 스포츠의 교육적 순기능 272
1. 전인 교육 272
1-1. 학업능력의 촉진(학업 활동의 격려) 272
1-2. 사회화 촉진 274
1-3. 정서 순화 275
2. 사회 통합 276
2-1. 학교 내 통합 276
2-2. 학교와 지역 사회의 통합 276
3. 사회 선도 276
3-1. 여권 신장(체육에 대한 여학생의 인식 전환) 277
3-2. 장애인의 적응력 배양(장애자의 삶의 질 향상) 277
3-3. 평생 체육과의 연계 277
③ 스포츠의 교육적 역기능 278
1. 교육 목표의 결핍 278
1-1. 승리지상주의 278
1-2. 참여 기회의 제한 279
1-3. 성차별 내재화(간접교육) / 성차별 279
2. 부정행위 조장 279
2-1. 스포츠 상업화 280
2-2. 위선과 착취(성과와 학업에 대한 편법과 관행) 280
2-3. 일탈조장(선수 일탈과 부정행위) 281
3. 편협한 인간 육성 281
3-1. 독재적 지도자(지도자의 독재적 코칭) 281
3-2. 비인간적 훈련(학습권, 폭력, 성폭력 등) 281
④ 학원엘리트스포츠에 대한 이해 283
1 학원엘리트스포츠에 관한 시각 283
1-1. 구조기능주의 관점 283
1-2. 갈등주의 관점 284
2. 한국 학원엘리트스포츠의 실상 285
3. 한국 학원엘리트스포츠의 과제: 공부하는 학생선수상에 대한 논리적 근거 287
3-1. 루만(Luhmann)의 체계이론과 공부하는 학생선수상 288
3-2. 파슨스(Parsons)의 AGIL기능모형과 공부하는 학생선수상 289
3-3. 주류문화 · 반문화와 공부하는 학생선수상 291
제4장 스포츠와 대중매체(미디어) 293
① 대중매체(미디어)의 개념 293
1. 대중매체(미디어)의 이해 293
2. 매스미디어의 분류 293
② 스포츠와 매스미디어 이론 294
1. 맥루한(McLuhan)의 매체 이론 294
1-1. 맥루한의 미디어 분류를 스포츠 적용(Loy와 Birrel) 297
1-1-1. 스포츠 매체 (sportmedia) 297
1-1-2. 매체 스포츠 (mediasport) 298
2. 대중 전달 이론 301
2-1. 개인차 이론(individual differences theory) 301
2-2. 사회 범주 이론(social categories theory) 304
2-3. 사회관계 이론(social relationships theory) 304
2-4. 문화 규범 이론(cultural norms theory) 305
③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관계 305
1. 매스미디어가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305
2. 스포츠가 매스미디어에 미치는 영향 306
2-1. 프로그램 편성의 용이 306
2-2. 미디어의 주요 콘텐츠 구성 307
2-3. 미디어사의 수익 증대 307
2-4. 스포츠저널리즘의 직업적 영역 확대 307
2-5. 매체기술 발전 308
3. 스포츠와 대중매체의 공생적 관계 308
④ 미디어스포츠의 이데올로기 전파 308
1.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소비 이데올로기 308
2. 성 이데올로기 309
3. 성공 이데올로기 309
4. 영웅 이데올로기 309

제3부 스포츠와 사회문제

제1장 스포츠와 사회계층 313
① 사회 계층에 대한 이해 313
1. 사회 계층의 의미 313
2. 계층과 계급 314
② 스포츠에서의 사회계층 317
1. 스포츠계층의 개념 317
2. 스포츠에서의 계급 이데올로기 318
③ 스포츠 계층의 이론 319
1. 기능주의 이론 319
2. 갈등 이론 320
④ 스포츠 계층의 형성 과정(1~4) 321
1. 지위의 분화 322
2. 지위의 서열화 323
3. 평가 324
4. 보수 부여 325
⑤ 사회계층의 특징과 스포츠 3327
1. 사회성(사회 구성성) 327
2. 고래성(古來性, 역사성) 329
3. 보편성(편재성) 331
4. 다양성 332
5. 영향성 333
⑥사회 계층의 특성 주요 예시 3335
1. 사회성 335
2. 고래성 336
3. 보편성 336
4. 다양성 337
5. 영향성 337
⑦스포츠와 사회 이동 339
1. 사회이동의 요인 339
1-1. 개인적 요인 339
1-2. 개인능력에 대한 평가(귀속적인가, 성취적인가의 문제) 340
1-3. 사회구조의 분화 정도 340
1-4. 사회통제의 방식 340
2. 사회 이동의 유형 341
2-1. 이동의 방향에 의한 구분 341
2-2. 시간적 거리에 의한 구분 342
2-3. 이동의 주체에 따른 구분 342
2-4. 계층이동에 미치는 인간관계에 따른 구분 343
3. 사회 이동 기제로서의 스포츠 343
4. 부르디외(Pierre Bourdieu) 자본 346
제2장 스포츠와 여성 350
① 성(젠더) 이해하기 350
1. 젠더와 섹스 350
2. 젠더역할의 사회화와 갈등 351
② 성 역할과 스포츠 352
1. 성(젠더) 역할의 사회화 352
2. 성 역할 분극화 353
3. 스포츠와 성(젠더) 역할 갈등 355
③ 스포츠와 페미니즘(젠더 불평등을 보는 스포츠사회학의 관점) 358
1. 자유주의적 관점 358
2. 맑스주의적 관점 361
3. 급진주의적 관점 363
4. 사회주의적 관점 365
5. 여성 스포츠의 이론적 기초 369
④ 스포츠와 젠더불평등 370
1. 젠더불평등의 역사 370
2. 젠더불평등의 실제 371
3. 젠더불평등의 이데올로기 373
3-1. 여성의 스포츠 참여 편견 373
3-2. 젠더불평등 이데올로기의 학습: 가정, 학교 375
3-3. 젠더불평등 이데올로기의 유포 : 미디어 375
3-4. 젠더불평등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스포츠 376
⑤ 전망 : 여성 스포츠의 성장을 위해 377
1. 새로운 기획의 확대 377
2. 여성평등보장제도의 확립 378
3. 페미니즘 운동의 성장 378
4. 건강과 체력에 대한 인식 변화 378
5. 미디어의 관심 증가 378
⑥스포츠에서의 성차별 379
1. 성차별의 개념 379
2. 스포츠에 있어서 성차별의 사회적 근원 380
제3장 스포츠와 일탈 384
① 일탈의 이해 384
1. 일탈의 개념 384
1-1. 절대론적 일탈 384
1-2. 상대론적 일탈 384
2. 스포츠 일탈의 당면 과제 386
3. 스포츠일탈의 유형 387
4. 과소동조와 과잉동조 388
5. 과잉동조로서 스포츠 일탈 389
② 스포츠 일탈의 특성 393
1. 스포츠 일탈의 기능 393
1-1. 역기능 393
1-2. 순기능 393
2. 일탈의 상대성 395
2-1. 시간의 상대성(기준의 가변성) 395
2-2. 사회적 (상황의) 상대성 395
2-3. 장소의 상대성 396
③ 스포츠에 있어서 일탈의 주요 이론 396
1. 구조기능적 관점 397
1-1. 아노미 이론 397
1-1-1. 개요 : 사회적 측면의 일탈 397
1-1-2.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 특징 397
1-1-3. 스포츠 일탈에 대한 아노미 이론의 적용 398
1-1-4. 머튼의 다섯 가지 행동 양식 399
1-2. 일탈의 기능론(에릭슨) 406
2. 갈등론적 관점 406
2-1. 경제적 갈등 406
2-2. 인종적 갈등 407
2-3. 젠더 갈등 408
3. 상호작용론적 관점 408
3-1. 차별교제이론 408
3-2. 낙인이론 409
④ 스포츠 일탈 이론: 리스카(Liska)의 분류 (임번장) 410
1. 구조기능이론 410
2. 문화전달이론 410
3. 낙인이론 411
4. 사회통제이론 : 허스키(Hirschi)의 사회결속이론(social bonding theory) 412
⑤ 스포츠일탈에 대한 이론적 접근 414
⑥스포츠 일탈의 유형 417
1. 긍정적 일탈(적극적 일탈: positive deviance, 과동조, 과수용) 418
1-1. 과 트레이닝 420
1-2. 부상투혼 420
1-3. 운동중독 421
2. 부정적 일탈 422
2-1. 약물 복용 422
2-2. 폭력행위 422
2-3. 부정행위 427
2-4. 조직적 일탈 427
2-5. 범죄행위 428
⑦스포츠 일탈 행위의 구조적 원인 428
1. 양립 불가능한 가치 지향 428
2. 승리에 대한 강박 관념 429
3. 경쟁적 보상구조 429
4. 역할 갈등 429
⑧ 스포츠참가와 청소년 비행 431
1. 청소년 비행의 개념 431
1-1. 청소년 비행의 개념 431
1-2. 청소년 비행의 분류방법 431
2. 스포츠 참가와 청소년 비행이론 432
2-1. 차별적 접촉이론 432
2-2. 하위문화이론 432
2-3. 낙인론 433
3. 운동선수 범죄 이론 433
3-1. 정화이론(catharsis) 434
3-2.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434
제4장 스포츠와 집합 행동 435
① 스포츠 집합행동의 이해 435
1. 집합행동의 개념 435
2. 집합행동의 유형 436
2-1. 공중 436
2-2. 대중 437
2-3. 군중 437
② 군중행동 유형 437
1. 우연적 군중(임시적 군중) 438
2. 인습적 군중 438
3. 표출적 군중 439
4. 능동적 군중 439
4-1. 도피적 폭도 440
4-2. 취득적 폭도 441
4-3. 공격적 폭도 441
4-4. 표출적 폭도 442
③ 집합 행동의 유형 443
1. 수동적 관중 443
2. 활동적 군중 443
④ 관중폭력 444
⑤ 스포츠 집합행동의 이해 445
1. 스포츠 관중행동의 순기능 445
2. 스포츠 관중행동의 역기능 446
⑥스포츠 집합행동의 원인(스포츠 집합행동 발생 요인) 447
1. 사회 문화적 요인: 스포츠 내의 적대적 분출 447
2. 사회 구조적 요인: 스포츠에 잠재되어 있는 구조적 불균형 448
3. 상황적 요인: 경기장의 상황 449
⑦스포츠 집합행동(=관중행동)의 유형 451
1. 쟁점성 관중행동 452
2. 무쟁점성 관중행동 453
⑧ 스포츠 집합행동의 통제전략 456
⑨ 집합 행동 이론 458
1. 전염 이론(contagion perspective) 458
2. 수렴 이론(convergence perspective) 460
3. 발현적 규범(규범생성) 이론(emergent norm perspective) 461
4. 부가 가치 이론(value-added perspective) 46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