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포의교집 초옥 이야기

포의교집 초옥 이야기

  • 정공보
  • |
  • 돌베개
  • |
  • 2019-03-08 출간
  • |
  • 216페이지
  • |
  • 149 X 194 X 19 mm /328g
  • |
  • ISBN 9788971999295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선 시대, 가장 파격적인 여성 초옥

『포의교집』(布衣交集)의 여주인공 초옥(楚玉)은 한국 고전소설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만큼 파격적인 인물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초옥을 ‘남성 지배 체제에 맞서는 반열녀(反烈女)’, ‘정절 윤리의 질곡을 벗어나 자신의 성적 주체성을 실현하려는 여주인공’ 등으로 규정해 왔다.
이 소설의 남주인공 이생(李生)은 초옥을 사모하게 된 뒤 남몰래 초옥을 ‘양파’(楊婆: 양씨 할멈)라고 칭했고, 이후 초옥의 외모에 반한, 이생의 주변 인물 모두가 초옥을 ‘양파’라는 별명으로 불렀다. 이생과 그 주변 인물에게 초옥은 ‘양파’라는 별명으로만 일컬어져야 하는 은밀한 욕망의 대상이었다. 그들 자신도 젊은 유부녀 초옥을 탐하고 화젯거리로 삼는 것이 떳떳하지 못한 일인 줄 잘 알고 있었다. 작자 또한 초옥을 시종일관 진지한 시선으로 바라보지 못했다는 점은 작품 속에 삽입된 초옥의 시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작품 곳곳에서 초옥의 탁월한 시재가 강조되었으나 초옥이 지었다는 시 중 3분의 2가량이 허난설헌(許蘭雪軒) 등 타인의 작품을 그대로 옮기거나 일부 구절을 고쳐 옮긴 것이며, 초옥이 자신의 진정(眞情)을 절절하게 토로하는 편지마저 유명한 시구를 모아 내용의 대부분을 채운 것이다. 이러한 작자의 희작(戱作) 성향은 향후 초옥의 문제 제기를 진지하게 이해하는 데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초옥을 바라보는 작자의 시선은 작품 중반부에 이르러 큰 변화를 보인다. 과거를 앞둔 이생이 산사에서 선비들과 어울려 글을 읽던 사이 초옥의 남편이 아내의 불륜을 알아차린 것이 사건의 발단이다. 칼부림이 벌어져 초옥이 크게 다쳤으나 초옥은 조금의 뉘우침도 없이 행랑 여자들에게 공공연히 이생을 향한 일편단심을 알렸다. 폭력 사태 이후 거동이 어려워 일절 단장을 하지 않던 초옥은 이생이 산사에서 돌아왔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남편 앞에서 거울을 보고 화장을 해서 또 한 번 남편의 분노를 샀다. 그러나 초옥은 남편의 폭력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다. 남편의 폭력으로 받은 고통쯤이야 이생과 헤어질 때 마음 아팠던 데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 초옥의 생각이다. 이생과 초옥의 만남을 주선했던 당파(堂婆)조차 초옥을 ‘겁 없는 아이’라 힐난하고 초옥의 남편을 두둔할 정도로 초옥의 언행은 매우 당혹스러운 것이었다. 어느 날 새벽 자신의 방으로 이생을 들였다가 시아버지에게 발각되고도 초옥은 태연자약했다. 당연히 이생이 걱정했지만 초옥은 자신과 이생의 관계를 온 동네가 다 아는데 무슨 걱정할 일이 있느냐는 태도다. 초옥의 남편이 또 한 번 무지막지한 폭력을 휘두르자 초옥은 몇 차례나 자결을 시도했다. 초옥은 믿었던 이생이 자신과 중약(仲約)의 만남을 주선하려 할 때까지 두려움 없는 사랑을 굳게 지켜 나갔다.

참된 사랑의 윤리를 묻는 포의교집

『포의교집』은 19세기 후반에 창작된 한문 중편소설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이 현재 유일본으로 전한다. 작품 종반부에 고종(高宗)과 민비(閔妃)의 가례(嘉禮) 준비를 배경으로 삼은 서사가 있고, 병인양요(丙寅洋擾)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는 상황 서술이 있어 창작 시기는 1866년(고종 3) 이후로 추정된다. 작자는 작품 끝에 후평(後評)을 단 정공보(鄭公輔)일 것으로 추정된다.
『포의교집』의 남주인공은 부여(扶餘) 출신의 가난한 선비 이생, 여주인공은 절세미인 초옥이다. 이생은 좋은 집안 출신이지만 재주가 변변찮고, 마흔 넘은 나이에도 학업을 팽개친 채 놀기만 좋아하던 한량으로, 연줄을 잡아 벼슬을 해 보려는 속물 시골 양반의 전형으로 그려진다. 한편 초옥은 도도한 성격의 절세미인이다. 탁월한 시재(詩才)를 지녔고, 학식 또한 높아서 애정전기의 전형적인 여주인공이 가져야 할 조건을 모두 갖추었다. 다만 궁궐 시녀 출신으로 하인의 아내가 된, 천한 신분의 유부녀라는 점이 기존 애정전기의 여주인공과 다르다.
제목인 ‘포의교집’(布衣交集)은 ‘포의의 사귐’이라는 뜻이다. 기혼 남녀의 불륜을 다룬 이 이야기는 19세기 후반 조선 사회에도 받아들이기 힘든 소재였을 것이다. 이 때문에 작자는 초옥을 의기 있는 협객으로, 초옥의 사랑을 ‘협객의 포의지교’로 해석하며 작품을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포의교집』은 기존의 관습으로 이해할 수 없는 새로운 인간형을 내세워 새로운 사랑의 방식을 극단적인 형태로 전개해 보였다. 초옥이 제기한 ‘사랑의 윤리’에 대해서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질문거리다.


목차


책머리에

포의교집
원문

해설 ‘사랑의 윤리’를 묻다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