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신체운동․건강 영역
제1절 유아 운동발달(체육교육) 22
Ⅰ 유아 운동발달에 대한 이해 / 22
1. 운동발달(동작능력) 22
⑴ 운동발달(동작능력)의 원리 22
2. 유아기 운동발달 모형 24
⑴ 갤로휴의 운동발달 단계(Gallahue, 1996, 2000, 2002) 24
⑵ 기본(기초)운동능력의 유형과 발달과정(Gallahue) 26
Ⅱ 유아체육 / 31
1. 유아체육의 개념 31
2. 유아 체육(운동발달)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34
⑴ 기본운동(기본동작) 발달 구성요소 34
⑵ 지각운동능력 발달의 구성요소 45
⑶ 체력 발달의 구성요소 49
Ⅲ 유아체육(동작교육) 교수방법(학습유형, 지도방법) / 57
1. 직접적 교수법과 간접적 교수법 57
⑴ 직접적 교수법(directive-teaching method): 교사주도적 교수법 57
⑵ 간접적 교수법(indirective-teaching method):안내 ․ 발견 적 (guided discovery)교수법58
⑶ 간접적 교수법(indirective-teaching method): 탐색적(exploration) 교수법 62
2. 갤로휴(Gallahue):체육교육에 대한 개념적 모델 · 64
제2절 건강교육 66
Ⅰ 건강교육의 개념 및 방법 / 66
1. 건강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66
2. 건강교육의 접근법 67
Ⅱ 건강관리 / 68
1. 건강검진 68
⑴ 건강관찰 68
⑵ 건강검진 69
2. 감염병 70
⑴ 영․ 유아에게 쉽게 발병하는 감염병 70
⑵ 전염성(감염성) 질병 예방 및 관리 72
3. 아픈 영유아 간호 75
⑴ 아픈 영유아 간호방법 75
⑵ 유의할 사항 76
4. 투약:보건복지부(2013) 76
⑴ 투약 시 유의점 76
Ⅲ 유아 영양관리 / 78
1. 유치원 급식관리의 중요성 78
⑴ 영양관리의 필요성 78
⑵ 영양관리 계획 79
⑶ 유치원 식단관리 계획 82
⑷ 유아 식생활 관련 영양 정보 88
Ⅳ 위생안전관리 / 101
1. 위생관리의 필요성 101
⑴ 식품안전의 개념 및 중요성 101
제3절 안전교육 111
Ⅰ 안전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111
Ⅱ 안전교육 접근법 / 116
Ⅲ 안전교육의 내용 / 117
1. 교통안전 117
⑴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지도자료(2000) 117
⑵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자료(2004) 118
2. 성 ․ 유괴 등 신변 안전 124
⑴ 성교육 교사용 지도지침서:함께 풀어가는 성(2001) 124
⑵ 성희롱 ․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2001) 129
⑶ 유아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2007) 130
⑷ 유아 재난대비 ․ 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2013) 136
⑸ 7대 안전자료 -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실종․ 유괴의 예방 ․ 방지 교육 139
3. 약물 ․ 사이버 중독 141
⑴ 유아 보건교육 프로그램(2013) - 약물 오남용․ 흡연 ․ 음주예방 - 교사 정보자료 141
⑵ 7대 안전자료 -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 약물의 오용․ 남용 예방교육 143
4. 전자미디어 145
⑴ 전자미디어 교육활동자료(2007) 145
⑵ 유아 재난대비․ 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미디어 149
5. 생활안전 · 150
⑴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지도자료(2000)-놀이안전 150
⑵ 유아 재난대비․ 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2013)-생활안전 151
6. 재난대비교육 154
⑴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지도자료(2000)-화재안전 154
⑵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자료(2004)-화재안전 155
⑶ 유아 재난대비․ 생활안전교육 프로그램(2013)-재난대비 155
⑷ 7대 안전자료 -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 재난대비 안전교육 162
Ⅳ 응급상황대처 / 166
1. 응급처치 166
⑴ 응급처치의 정의 및 기본사항 167
⑵ 응급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준비 167
2. 상황별 응급처치 방법 171
⑴ 머리를 부딪쳤을 때 171
⑵ 눈을 다쳤을 때 172
⑶ 코에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173
⑷ 코피가 나거나 치아가 다쳤을 때 175
⑸ 이물질이 목에 걸렸을 때 177
⑹ 독극물을 마셨을 때 178
⑺ 가슴이나 배를 부딪쳤을 때 179
⑻ 팔이나 다리를 다쳤을 때 180
⑼ 손가락이 잘렸을 때 182
⑽ 피부에 상처가 났을 때 183
⑾ 뾰족한 것에 찔렸을 때 184
⑿ 피가 날 때 184
⒀ 화상을 입었을 때 187
⒁ 물에 빠졌을 때 189
⒂ 물렸을 때190
(16) 곤충에 쏘였을 때 191
(17) 추위나 햇볕에 오래 노출되었을 때 192
(18) 심폐소생술195
Chapter02의사소통 영역
제1절 언어교육의 기초 200
Ⅰ 언어의 본질 / 200
1. 언어의 구조 · 200
⑴ 음운론(phonology) 201
⑵ 형태론(morphology) 202
⑶ 통사론(= 구문론, syntax) 203
⑷ 의미론(semantics) 204
⑸ 화용론(pragmatics) 204
2. 한글의 구조적 특성 206
3. 언어의 형태 207
Ⅱ 언어의 기능 / 210
1. 할리데이(Halliday, 1973):언어의 소통적 기능의 범주화 210
2. 스타브(Stabb, 1992):음성언어를 중심으로 한 언어의 기능 · 212
제2절 언어발달이론 214
Ⅰ 언어습득에 관한 발달이론별 관점들 / 214
1. 행동주의이론 · 214
⑴ 대표학자들의 견해 214
⑵ 행동주의적 관점에 대한 반론 217
2. 생득주의(천성주의)이론 218
⑴ 대표학자들의 견해 219
⑵ 생득주의이론에 대한 반론 223
3. 상호작용주의(구성주의)이론 224
⑴ 대표학자들의 견해 224
Ⅱ 문해(문식성)발달에 관한 관점 / 233
1. 성숙주의이론에 기반한 관점:‘읽기 준비도’ 233
⑴ 읽기 준비도의 개념 233
⑵ 읽기 준비도 프로그램 233
2. 상호작용주의에 기반한 관점:‘발생적 문식성’ 234
⑴ 발생적 문식성 234
⑵ 환경 인쇄물(environmental print) 235
제3절 영유아의 언어 발달 240
Ⅰ 음성언어의 발달 / 240
1. 음운인식 발달 241
⑴ 음운인식 발달 순서 241
⑵ 음운조작 유형(음운인식의 하위요소) 241
⑶ 언어 발달상 나타나는 발음의 오류 242
2. 구문 발달 246
⑴ 일어문 구사시기(한 단어기) 246
⑵ 이어문 구사시기(두 단어기) 247
⑶ 삼어문(세 단어) 이상 시기의 언어 발달 249
3. 어휘 발달 251
⑴ 어휘폭발기(=명명폭발기) 251
⑵ 어휘 발달 관련이론 252
4. 문법 발달 256
⑴ 과잉일반화(= 과잉규칙화, overgeneralization) 현상 256
⑵ 삼어문 시기 문법 발달과정의 특징 256
Ⅱ 내러티브 발달 / 261
1. 내러티브의 유형 261
⑴ 일상적 내러티브(personal narrative) 261
⑵ 상상적 내러티브(fantasy narrative) 262
2. 내러티브 구조 262
Ⅲ 문자언어 발달 / 265
1. 읽기 265
⑴ 해독과 이해 265
⑵ 유아의 읽기 발달 276
2. 쓰기 285
⑴ 학자별 쓰기 발달 단계 285
⑵ 쓰기 전략/원리 288
제4절 언어교육 방법론 295
Ⅰ 음성언어 지도방법 / 295
1. 듣기 295
⑴ 듣기 단계 분류 295
⑵ 듣기 지도의 유형(Wood, 1994) 296
2. 말하기 · 298
⑴ 말하기 지도의 기본 원리 및 전략 299
⑵ 문장구성 능력을 촉진하는 말하기 지도방법 3가지 300
Ⅱ (문자)언어교육 접근법 / 307
1. 발음중심 언어 접근법(Phonics Instruction Approach) 307
⑴ 이론적 기저 307
⑵ 발음중심 접근법의 장단점 309
⑶ 교수방법 309
⑷ 대안 및 고려사항 311
2.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 312
⑴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신념(기본 가정) 312
⑵ 총체적 접근법의 장단점 313
⑶ 교수방법313
⑷ 대안 및 고려사항 315
3. 균형적 (언어)접근법(The Blanced Approach) · 318
⑴ 이론적 기저 318
⑵ 균형적 접근법에 대한 이해 319
⑶ 균형적 접근법의 기본 가정 및 특성 319
⑷ 교수방법 320
⑸ 교사의 역할 323
4. 언어경험 접근법(Language experience Approach) 330
⑴ 언어경험적 접근법의 방법 330
Ⅲ 언어교육 환경구성 / 333
1. 언어의 기능적 환경(유치원 생활을 돕는 환경구성) 333
2. 언어 영역 환경구성 333
⑴ 구성333
⑵ 놀잇감 및 교재․ 교구 333
⑶ 연령별 영역 구성의 예 334
⑷ 유의점334
제5절 문학교육 336
Ⅰ 문학작품을 통한 통합적 접근 / 336
1. 주제중심 통합적 접근 · 336
2. 그림책(문학작품)중심 통합적 접근 336
Ⅱ 문학교육의 기초 / 338
1. 문학의 장르 · 338
⑴ 운문338
⑵ 산문문학343
2. 문학의 구성요소(문학적 요소) 353
⑴ 문학의 구성요소 353
⑵ 플롯의 유형 354
Ⅲ 문학적 접근법 / 356
1. 그림책 읽기와 독자반응이론 357
⑴ 로젠블렛(Rosenblatt, 1978):독자반응이론(상호교류적 접근) 358
⑵ 매니와 와이즈맨(Many & Wiseman, 1992): 경험적 접근법/분석적 접근법 360
⑶ 사이프(Sipe, 2008 ; 2011): 유아의 문학적 반응 범주 363
2. 문학적 언어 접근법 365
⑴ 모엔의 몰입활동 전략(Moen, 1991) 365
Chapter.03사회관계 영역
제1절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사회화) 372
Ⅰ 애착(영유아기의 사회적 행동) / 376
1. 애착형성이론 376
⑴ 정신분석이론 376
⑵ 학습이론377
⑶ 인지발달이론 377
⑷ 동물행동학적 이론 377
2. 애착형성의 발달과정 378
⑴ 볼 비(Bowlby, 1958, 1969) 378
3. 애착의 유형 379
⑴ 안정 애착(security attachment) 379
⑵ 불안정 애착 379
Ⅱ 자아개념과 성역할 발달 / 381
1. 자아개념의 발달 381
⑴ 자아개념의 구성요소 381
⑵ 자아개념의 발달과정 386
⑶ 자아통제/자기규제능력의 발달 389
⑷ 자아개념의 교육내용 390
⑸ 자아의 (회복) 탄력성 391
2. 성역할 개념 발달 394
⑴ 성역할의 개념 394
⑵ 성역할 개념 발달에 대한 이론적 관점 396
⑶ 유아기 성역할 발달과정 398
⑷ 양성평등교육 401
Ⅲ 정서지능 / 408
1. 정서의 발달과정 408
⑴ 정서 발달에 대한 이론적 관점 408
⑵ 정서의 발달과정 409
2. 정서지능 · 412
⑴ 정서지능의 능력모델 - 정서지능의 4요인 모델 412
⑵ 정서지능의 혼합모델 - 대니얼 골만 419
Ⅳ 사회인지 발달 / 421
1. 마음이론 · 421
⑴ 마음이론의 측정(마음이론 검사도구) 422
⑵ 마음이론의 발달: Wellman(1990) 424
2. 조망수용능력:Selman(1980, 1989) 426
⑴ 셀만(Selman, 1980, 1989)의 딜레마 사례연구 426
⑵ 셀만의 조망수용(역할수용) 발달 단계 427
3. 감정이입(공감):Hoffman(1987, 1979) 431
Ⅴ 친사회적 행동 / 432
1. 사회적 능력 · 432
⑴ 사회적 유능감(사회적 능력, Social competence) 432
⑵ 사회적 기술(Social skills) 432
2. 친사회적 행동발달 437
⑴ 친사회적 행동의 개념 437
⑵ 돕기 행동을 중심으로 한 친사회적 행동발달 439
⑶ 친 사회 적 추 론(Eisenberg, Lennon & Roth, 1983) 441
3. 그 외-대인간 관계 능력발달 444
⑴ 권위의 개념 발달 444
⑵ 리더십에 대한 개념 발달 4단계: Selman & Jacquette 445
⑶ 대인문제해결사고 446
⑷ 셀만의 대인간 이해 수준:협상전략과 공유경험 447
Ⅵ 또래관계 / 452
1. 우정의 발달 · 452
⑴ 우정의 의미와 중요성 452
⑵ 우정관계의 발달 452
2. 또래수용과 인기 454
⑴ 또래에 대한 인기측정(또래수용 측정방법) 454
⑵ 사회도(= 소시오그램, sociogram) 454 ⑶ 또래수용 범주 455
Ⅶ 공격성 / 457
1. 공격성 형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과 발달과정 457
⑴ 이론적 관점 457
⑵ 공격성의 발달 458
2. 공격성의 유형 459
⑴ 하트업(Hartup, 1974): 공격적 행동의 기본적 두 가지 범주 459
⑵ 코스텔릭 외(Kostelnik, Soderman, Gregory, 2009): 공격성의 4가지 유형 459
⑶ 크릭(Crick, 1995): 외현적/관계적 공격성 460
⑷ 크릭 & 닷지(Dodge,1986:Crick & Dodge, 1994): 정보처리과정에 따른 공격행동 460
Ⅷ 도덕성 발달 / 462
1. 도덕성 발달의 이론적 관점 462
⑴ 사회학습이론 462
⑵ 정신분석이론 463
⑶ 인지발달이론-피아제(Piaget)와 콜버그(Kohlberg) 463
⑷ 인지발달이론-비고츠키(Vygotsky) 464
2.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가치 465
⑴ 피아제의 관점 465
⑵ 비고츠키의 관점 466
3. 도덕성 발달단계 474
⑴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단계 474
⑵ 콜버그(Ko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 478
⑶ 길리건(Gilligan, 1990)의 ‘배려의 도덕성’ 480
⑷ 데이몬(Damon)의 ‘분배정의’ 485
제2절 유아사회교육 488
Ⅰ 유아사회교육의 기초 / 488
1. 유아사회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 488
⑴ 유아사회교육의 필요성 488
⑵ 유아사회교육의 목표 489
2.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490
⑴ 전미사회교육위원회:유아사회교육의 10가지 주제 490
⑵ 유아사회교육의 내용과 범위 491
3. 유아사회교육의 접근법(접근방법) 502
⑴ 사회생활 접근방식(The Social Living Approach) 502
⑵ 직접환경 접근방식(The Immediate Environment Approach) 503
⑶ 공휴일 접근방식(The Holiday Approach) 504
⑷ 사회과학 개념의 구조화 접근방식 504
⑸ 사회․ 문화적 환경 접근방식 506
⑹ 다문화 교육 접근방식 508
⑺ 더만-스파크스의 반편견 교육과정 527
Ⅱ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방법/활동유형 / 529
1.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529
⑴ 현장학습(견학) 529
⑵ 지역사회 자료 활용 532
2. 토의하기 534
⑴ 가치의 명료화(value clarification) 535
⑵ 가치분석(value analysis) 536 3. 사회적 추론 537
⑴ 도덕적 추론 537
⑵ 귀납적 추론 538
Ⅲ 유아사회교육의 실제:관련 연수자료 살펴보기 / 545
Chapter04 확인문제
CHAPTER 01 신체운동 ․ 건강 영역 594
CHAPTER 02 의사소통 영역 · 608
CHAPTER 03 사회관계 영역 · 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