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로스쿨 헌법강의 -제5판

로스쿨 헌법강의 -제5판

  • 차강진
  • |
  • 학연
  • |
  • 2019-03-04 출간
  • |
  • 881페이지
  • |
  • 188 X 257 mm (B5)
  • |
  • ISBN 9791158243906
판매가

53,000원

즉시할인가

47,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7,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번 개정판에는 2019년 변호사 시험문제(제8회) 및 2018년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모의시험문제에서 출제된 내용, 지난 10년간 법원직 시험문제내용, 그리고 2018년 헌법재판소에서 내린 중요한 결정을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변경된 판례와 개정된 법률에 따라 관련 내용을 변경하고 오·탈자도 바로 잡았습니다. 

 

해를 거듭할수록 헌법 시험문제는 더 어려워지고 있으며,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이전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시험문제가 어려울수록 헌법과목의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사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정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개정판 역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보완하였습니다. 이 책이 독자들의 수험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독자들의 조속한 합격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이 책의 출간을 위해 여러 날 고생하신 학연 출판사 편집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9. 2. 19.

차 강 진

목차

제1편 헌법총론

Chapter 01. 헌법과 헌법학 3

제1절 헌법의 의의 3

제1항 헌법의 개념 3

제2항 헌법의 분류 4

제3항 헌법의 법원(法源) 5

제2절 헌법해석과 합헌적 법률해석 8

제1항 헌법해석 8

제2항 합헌적 법률해석(헌법합치적 법률해석) 8

제3절 헌법의 제정ㆍ개정ㆍ변천 10

제1항 헌법의 제정 10

제2항 헌법의 개정 11

제3항 헌법의 변천 13

제4절 헌법의 수호 14

제1항 헌법수호의 의의와 유형 14

제2항 국가긴급권 14

제3항 저항권 15

제4항 방어적 민주주의 16

Chapter 02. 대한민국헌법 총설 18

제1절 대한민국 헌정사 : 헌법의 개정과정 18

제2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와 구성요소 23

제1항 대한민국의 국가형태 23

제2항 대한민국의 구성요소 23

제3절 헌법 전문 및 헌법의 기본원리 31

제1항 헌법 전문 31

제2항 헌법의 기본원리 32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질서 50

제1항 정치적 기본질서 : 민주적 기본질서 50

제2항 경제적 기본질서 : 사회적 시장경제질서 51

제3항 평화주의적 국제질서 54

제5절 헌법의 기본제도 58

제1항 헌법과 제도적 보장 58

제2항 정당제도(복수정당제) 60

제3항 선거제도 73

제4항 공무원제도 100

제5항 지방자치제도 108

 

 

제2편 기본권론

Chapter 01. 총 론 131

제1절 기본권의 의의 131

제2절 기본권의 성격 131

제1항 주관적 공권성 인정 여부 131

제2항 자연권성 인정 여부 132

제3항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 132

제3절 기본권의 주체 133

제1항 자연인 133

제2항 법 인 136

제4절 기본권의 효력 140

제1항 기본권의 대국가적 효력(기본권의 수직적 측면의 효력) 140

제2항 기본권의 제3자적 효력(기본권의 수평적 측면의 효력) 141

제3항 기본권의 갈등 145

제5절 기본권의 제한 151

제6절 기본권의 확인과 보장 165

제1항 기본권 보호의무 165

제2항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168

Chapter 02. 인간의 존엄과 가치ㆍ행복추구권ㆍ법앞의 평등 170

제1절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170

제1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존중에 관한 입법례 170

제2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규범적 의미 170

제3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기본권성 인정 여부 171

제4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조항의 적용범위 171

제5항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수단 171

제2절 행복추구권 172

제1항 행복추구권의 의의 172

제2항 행복추구권의 성격 172

제3항 행복추구권의 주체 173

제4항 행복추구권의 내용 173

제5항 행복추구권의 효력 190

제6항 행복추구권의 제한 191

제3절 법 앞의 평등 193

제1항 평등의 원칙 193

제2항 평등권 206

제3항 평등조항의 적용대상(평등권의 주체) 208

제4항 평등조항의 효력 208

제5항 평등원칙의 구체적 실현 208

제6항 평등원칙과 평등권의 제한-합리적 차별 209

Chapter 03. 자유권적 기본권 216

제1절 자유권적 기본권 총론 216

제1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의의 216

제2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216

제3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주체와 효력 216

제4항 자유권적 기본권의 제한 217

제2절 인신의 자유권 217

제1항 생명권 217

제2항 신체의 자유 222

제3절 사생활자유권 270

제1항 사생활자유권의 구조와 체계 270

제2항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270

제3항 주거의 자유 283

제4항 통신의 자유 285

제5항 거주ㆍ이전의 자유 288

제4절 정신적 자유권 292

제1항 정신적 자유권의 구조와 체계 292

제2항 양심의 자유 292

제3항 종교의 자유 301

제4항 언론ㆍ출판의 자유 306

제5항 집회ㆍ결사의 자유 337

제6항 학문과 예술의 자유 356

Chapter 04. 경제적 기본권 365

제1절 재산권 365

제1항 재산권 보장의 의의 365

제2항 재산권 보장의 역사와 그 변용 365

제3항 재산권 보장의 법적 성격 365

제4항 재산권의 주체 366

제5항 재산권의 범위(객체) 366

제6항 재산권 보장의 내용(헌법 제23조 제1항) 370

제7항 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적합의무(헌법 제23조 제2항) 372

제8항 재산권의 제한(헌법 제23조 제3항) 383

제2절 직업선택의 자유 393

제1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의의 394

제2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법적 성격 395

제3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주체 395

제4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내용 395

제5항 직업선택의 자유의 효력 397

제6항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제한 397

제3절 소비자의 권리 422

제1항 소비자권리의 의의 422

제2항 소비자권리의 법적 성격 423

제3항 소비자권리의 주체 423

제4항 소비자권리의 내용 423

제5항 소비자권리의 효력 423

제6항 소비자권리의 침해와 구제 423

Chapter 05. 정치적 기본권 425

제1절 민주정치와 정치적 기본권 425

제1항 정치적 기본권의 개념 425

제2항 정치적 기본권의 유형 425

제2절 참정권 426

제1항 참정권의 의의 426

제2항 참정권의 법적 성격 426

제3항 참정권의 주체 427

제4항 참정권의 내용 427

제5항 참정권의 제한과 그 한계 435

Chapter 06. 청구권적 기본권 440

제1절 청구권적 기본권의 구조와 체계 440

제1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의의 440

제2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440

제3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주체 440

제4항 청구권적 기본권의 효력 440

제2절 청원권 441

제1항 청원권의 의의 441

제2항 청원권의 법적 성격 441

제3항 청원권의 주체 441

제4항 청원권의 내용 441

제5항 청원의 효과 443

제6항 청원권의 제한 444

제3절 재판청구권 445

제1항 재판청구권의 의의 445

제2항 재판청구권의 법적 성격 445

제3항 재판청구권의 주체 446

제4항 재판청구권의 내용 446

제5항 재판청구권의 효력 464

제6항 재판청구권의 제한 464

제4절 국가배상청구권 470

제1항 국가배상청구권의 의의 470

제2항 국가배상청구권의 법적 성격 470

제3항 국가배상청구권의 주체 471

제4항 국가배상청구권의 내용 471

제5항 국가배상청구권의 제한 475

제5절 형사보상청구권 480

제6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483

제1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의의 483

제2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법적 성격 483

제3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내용 484

제4항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제한 485

Chapter 07. 사회적 기본권 486

제1절 사회적 기본권의 구조와 체계 486

제1항 사회적 기본권의 의의 486

제2항 사회적 기본권의 연혁 486

제3항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 486

제4항 사회적 기본권의 구조와 유형 487

제2절 인간다운 생활권 488

제1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의의 488

제2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법적 성격 488

제3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주체 489

제4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내용 490

제5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효력 495

제6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제한 495

제7항 인간다운 생활권의 침해와 구제 496

제3절 교육을 받을 권리 496

제1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의의 497

제2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법적 성격 497

제3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주체 497

제4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내용 497

제5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 508

제6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효력 511

제7항 교육을 받을 권리의 제한 512

제4절 근로의 권리 512

제1항 근로의 권리의 의의 512

제2항 근로의 권리의 법적 성격 512

제3항 근로의 권리의 주체 513

제4항 근로의 권리의 내용 514

제5항 근로의 권리의 효력 517

제6항 근로의 권리의 제한 517

제5절 근로3권 518

제1항 근로3권의 의의 518

제2항 근로3권의 연혁과 입법례 518

제3항 근로3권의 법적 성격 518

제4항 근로3권의 주체 519

제5항 근로3권의 구조와 체계 519

제5항 근로3권의 효력 527

제6항 근로3권의 제한과 한계 527

제6절 환경권 530

제1항 환경권의 의의 530

제2항 환경권의 법적 성격 530

제3항 환경권의 주체 531

제4항 환경권의 내용 531

제5항 환경권의 효력 532

제6항 환경권의 제한 533

제7항 환경권의 침해와 구제 533

제7절 혼인ㆍ가족ㆍ모성보호ㆍ보건에 관한 권리 536

제1항 혼인과 가족제도의 보장 536

제2항 모성을 보호받을 권리 545

제3항 보건권 545

Chapter 08. 국민의 기본적 의무 546

제1절 기본적 의무의 구조와 체계 546

제1항 기본적 의무의 의의 546

제2항 기본적 의무의 법적 성격 546

제3항 기본적 의무의 유형 546

제2절 납세의 의무 546

제3절 국방의 의무 547

제1항 국방의무의 의의 547

제2항 국방의무의 주체 547

제3항 국방의무의 내용 547

제4절 교육을 받게 할 의무 550

제5절 근로의 의무 551

 

 

제3편 통치구조론

Chapter 01.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555

제1절 국민주권의 원리 555

제2절 대의제의 원리 555

제1항 대의제의 의의 555

제2항 대의제의 기능 557

제3항 현대형 대의제 557

제4항 현행헌법과 대의제 558

제3절 권력분립의 원리 559

제1항 권력분립 원리의 의의 559

제2항 고전적 권력분립론의 전개 559

제4항 권력분립제의 위기와 현대적 변용 561

제4절 법치주의의 원리 561

제5절 책임정치의 원리 562

Chapter 02. 통치구조의 형태 563

제1절 정부형태의 의의와 분류 563

제1항 정부형태의 의의 563

제2항 정부형태의 분류 563

제2절 정부형태의 기본유형 563

제1항 의원내각제 563

제2항 대통령제 565

제3항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의 비교 566

제3절 제3유형의 정부형태 567

제1항 이원집행부제(이원정부제) 567

제2항 의회정부제(회의정부제, 집단정부제) 568

제4절 한국헌법과 정부형태 569

제1항 역대헌법과 정부형태의 변천 569

제2항 현행헌법의 정부형태 569

Chapter 03. 통치작용(국가기능ㆍ통치권력) 571

제1절 입법작용(입법권) 571

제1항 입법권의 의의와 범위 571

제2항 입법권의 한계 577

제2절 집행작용(집행권) 578

제1항 집행권의 의의 578

제2항 행정권의 의미와 범위 578

제3절 사법작용(사법권) 578

제1항 사법(작용)의 의의 578

제2항 사법작용의 기능 579

제3항 사법권의 의미와 범위 579

제4항 사법권의 한계 579

Chapter 04. 국회와 국회의원 585

제1절 국 회 585

제1항 의회주의(의회제도) 585

제2항 국회의 헌법상 지위 586

제3항 국회의 구성과 조직 586

제4항 국회의 운영과 의사절차 593

제5항 국회의 권한 600

제2절 국회의원의 헌법상 지위와 특권 629

Chapter 05. 대통령과 정부 640

제1절 대통령 640

제1항 대통령의 헌법상 지위 640

제2항 대통령의 선거 640

제3항 대통령의 신분과 직무 642

제4항 대통령의 권한 646

제2절 정 부 672

제1항 정부의 의의 672

제2항 국무총리 672

제3항 국무위원 675

제4항 국무회의 676

제5항 행정각부 678

제6항 대통령의 자문기관 681

제3절 감사원 682

제4절 선거관리위원회 684

제1항 선거관리위원회의 헌법상 지위 684

제2항 선거관리위원회의 종류 685

제3항 선거관리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685

Chapter 06. 법 원 687

제1항 법원의 헌법상 지위 687

제2항 사법권의 독립 687

제3항 법원의 조직 694

제4항 법원의 권한 698

제5항 사법의 절차와 운영 699

제6항 대법원의 규칙제정권 701

Chapter 07. 헌법재판소 702

제1절 헌법재판소 일반론 702

제1항 헌법재판제도 702

제2항 헌법재판소의 헌법상 지위 704

제3항 헌법재판소의 구성과 조직 704

제4항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 706

제2절 위헌법률심판권 718

제3절 탄핵심판권 744

제4절 정당해산심판권 751

제5절 권한쟁의심판권 755

제6절 헌법소원심판권 776

제1항 권리구제형 헌법소원(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헌법소원) 777

제2항 위헌심사형 헌법소원(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 831

 

❚사항색인 842

 

❚판례색인 85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