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1 이 한 영 박사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1
추천사2 김 덕 중 박사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1
추천사3 김 진 명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2
저자 서문 10
일러두기 13
약어표(ABBREVIATIONS) 14
제1부 서론 16
제1장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7
제2장 연구 방법론과 범위 22
제3장 연구사 42
제2부 속죄 논의를 위한 선행적인 이슈들 58
제1장 레위기의 거룩 59
제2장 ‘키페르’이해 72
제3장 피 의식의 의미(레 17:11) 94
제3부 레위기 4:1-5:26[6:7]의 석의적 연구 111
제1장 레위기 및 레위기 4:1-5:26[6:7]의 구조 112
제2장 레위기 4:1-35(속죄제)의 석의적 연구 127
제3장 레위기 5:1-13(속죄제)의 석의적 연구 213
제4장 레위기 5:14-26[6:7](배상제)의 석의적 연구 247
제4부 레위기의 다른 본문에 나타난 속죄제와 배상제 289
제1장 레위기의 다른 본문에 나타난 속죄제 291
제2장 레위기의 다른 본문에 나타난 배상제 327
제5부 속죄제와 배상제를 통해 본 레위기의 속죄 사상 339
제1장 속죄제와 배상제의 유사성 341
제2장 속죄제와 배상제의 차이점 347
제3장 온전한 죄 사함의 의미를 보여주는 두 제사 352
제6부 결론 361
제1장 성소 정화와 헌제자의 죄 사함이라는 이중 기능으로서의 속죄제 362
제2장 속죄제와 배상제의 상호 연관성 365
제3장 레위기 전체적인 지평에서의 속죄 사상 368
부록: 특별주제 연구 372
특별주제 연구 1: 동사 ‘하타’와 명사 ‘핫타트’ 373
특별주제 연구 2: 실수 383
특별주제 연구 3: 안수 389
특별주제 연구 4: 뿌리는 피 의식와 바르는 피 의식 402
특별주제 연구 5: 태우는 의식 408
특별주제 연구 6: 동사 ‘아쉠’과 명사 ‘아샴’ 414
특별주제 연구 7: 제물을 먹는 것은 ‘속죄 행위’(키페르 행위)인가? 422
특별주제 연구 8: ‘죄를 담당하다’ 430
특별주제 연구 9: ‘믿음의 단절’ 437
참고 문헌 442
ABSTRACT 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