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블록체인 해설서

블록체인 해설서

  • 이병욱
  • |
  • 에이콘출판
  • |
  • 2019-02-28 출간
  • |
  • 352페이지
  • |
  • 188 X 235 X 20 mm
  • |
  • ISBN 9791161752709
판매가

19,500원

즉시할인가

17,5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5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이 책은 블록체인 기술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미래에는 어떠할 것인지 그 실체를 명확히 알려주는 해설서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이 만들어지게 된 역사적 배경은 물론 그 작동 원리를 상세히 설명해 준다. 이를 통해 진정한 효용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수많은 블록체인들 중 가장 대표적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하이퍼레저의 작동 원리를 각각 설명하고 비교하며, 이들이 과연 어떤 효용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미래에는 어떨 것인지 명쾌한 해답을 던져 준다.

★ 이 책의 대상 독자 ★
불필요한 수학적 기호나 전산 용어는 최대한 자제했지만, 블록체인에 대해 최소한의 지식을 갖춘 독자에 좀 더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블록체인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더라도 최소한의 전산 관련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무난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특히 현업에서 블록체인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담당자나 그동안 블록체인의 실체나 실질적인 효용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에 목말라했던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 이 책의 구성 ★
1장, ‘혼란의 시작 - 용어의 정의’에서는 여러 용어를 정의함으로써 정보 전달에 있어서의 혼란을 최소화한다. 특히 블록체인의 효용과 많이 혼동하는 ‘디지털화의 효용’을 시작으로 ‘디지털 자산’, ‘탈중앙화’ 등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한다.
2장, ‘디지털화의 효용 대 블록체인의 효용’에서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 비트코인이 탄생한 배경인 ‘사이퍼펑크’와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것으로 시작해 리더 선발과 전체 노드의 검증, 동의 및 합의를 거치는 블록 생성 과정 사이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3장,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에서는 블록체인의 기반 기술이 되는 해시 함수와 비대칭 암호화 기술, 전자 서명, 작업 증명과 지분 증명, 해시 퍼즐과 난이도 조절,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4장,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는 이더리움에 대한 설명으로 비트코인 주소와는 다른 이더리움의 계정이란 것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계약 계정과 EVM, 개스, 머클 패트리샤 트리, 이더리움의 해시 퍼즐과 난이도 조절,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아본다.
5장, ‘하이퍼레저와 블록체인’에서는 하이퍼레저의 원리와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기본 작동 원리와 개념을 설명한 후 하이퍼레저를 블록체인이라 부를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6장, ‘블록체인 바로 알기’에서는 블록체인의 진정한 효용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해본다. 탈중앙화의 개념과 함께 보안 도구나 핀테크 도구로 오해받는 블록체인의 진정한 효용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한다.
7장, ‘블록체인과 상생 경제’에서는 블록체인을 단순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로서가 아니라 상생 경제의 플랫폼이라는 관점에서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에 대해 설명한다. 개념과 구현을 분리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럴 경우 만들 수 있는 네 가지 조합, 또 미래의 기업 경쟁력의 핵심은 적절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블록체인의 기술이 아닌 개념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그 밖에 블록체인의 기술과 콘텐트적 측면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한다.


목차


1장. 혼란의 시작 - 용어와 정의

1.1 분산 대 탈중앙화
1.1.1 일의 분산 대 일의 중복
1.1.2 동등 대 지배
1.2 디지털화의 효용 대 블록체인의 효용
1.2.1 블록체인을 잘못 이해한 사례
1.3 암호 화폐, 가상 화폐, 거래소 등
1.3.1 디지털 화폐 대 암호 화폐
1.3.2 암호 화폐 대 토큰
1.3.3 거래소 대 브로커, 중개소
1.4 디지털 자산
1.5 노드, 피어, 트랜잭션 등
1.6 트랜잭션

2장.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

2.1 사이퍼펑크
2.2 비트코인의 탄생 - 2009년 1월 3일
2.2.1 비트코인 최대 생산량 - 2,100만 비트코인
2.2.2 블록체인이라는 고유명사
2.3 블록체인의 기본 작동 원리
2.3.1 완전 노드와 단순 지급 검증 노드
2.3.1.1 완전 노드
2.3.1.2 단순 지급 검증 노드
2.3.2 블록체인의 작동 방식
2.3.2.1 브로드캐스팅을 통한 전달
2.3.2.2 리더 선출 - 누가 기록할 것인가?
2.3.2.3 신뢰의 부재 - 모든 노드의 검증
2.3.3 비동기화 시스템에서의 탈중앙화 합의
2.3.3.1 서로 다른 진실의 충돌
2.3.3.2 서로 다른 진실의 통일 - 탈중앙화 합의
2.3.3.3 거래의 안정성 - 확인
2.3.4 블록의 구조
2.3.4.1 블록 헤더
2.3.5 트랜잭션
2.3.5.1 UTXO
2.3.5.2 코인베이스 트랜잭션
2.3.6 이중 사용
2.3.7 스마트 컨트랙트
2.3.8 비트코인 지갑
2.3.8.1 계정 관리를 위한 개인키/공개키 생성 및 관리
2.3.8.2 비트코인 거래를 시스템에 제출
2.3.8.3 비트코인 잔액 관리

3장.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

3.1 해시 함수와 비대칭 암호화 기법
3.1.1 SHA-256과 해시 퍼즐
3.1.2 머클트리
3.1.3 암호화 기법
3.1.3.1 비대칭 암호화 기법
3.1.3.1.1 개인키로 암호화 - 전자 서명
3.1.2.1.2 공개키로 암호화 - 비밀 보장 및 신원 증명
3.1.3 블록체인의 전자 서명과 비대칭 암호화
3.2 작업 증명과 지분 증명
3.2.1 작업 증명
3.2.1.1 비트코인의 작업 증명 - 해시 퍼즐
3.2.1.2 비트코인 해시 퍼즐
3.2.1.3 해시 퍼즐의 난이도
3.2.1.4 비트코인의 난이도 조절
3.2.1.5 연쇄 해시를 이용한 비가역성
3.2.2 지분 증명
3.2.2.1 잃을 것이 없는 딜레마
3.2.2.2 지분 증명의 안전성
3.3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3.3.1 과거에는 무효하던 규칙을 유효화 - 하드포크
3.3.2 과거에는 유효하던 규칙을 무효화 - 소프트포크
3.3.3 세그윗과 세그윗 2x
3.4 51% 공격
3.5 비잔틴 장군 문제와 블록체인
3.5.1 고장 - 중단 모델
3.5.2 비잔틴 장군 모델
3.6 블록체인과 보안
3.6.1 블록체인을 둘러싼 보안 환경
3.6.2 블록체인 - 내재적 안전성
3.6.3 비트코인 시스템 - 응용적 안정성
3.6.3.1 코어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안전성
3.6.3.2 기본 설계의 안전성
3.6.3.2.1 해시 퍼즐과 난이도 조절의 결함
3.6.3.2.2 인센티브 공학적 결함
3.6.4 비트코인 지갑 - 개별적 안전성
3.6.4.1 지갑 소프트웨어 자체의 문제
3.6.4.2 지갑 사용자의 문제
3.6.5 중개소 등 외부 환경 - 외재적 안전성

4장. 이더리움 블록체인

4.1 이더리움과 계정
4.1.2 EOA - 기본 거래 계정
4.1.3 계약 계정과 EVM
4.1.4 개스
4.1.4.1 개스라는 메타 단위
4.1.5 이더리움의 블록 구조
4.1.5.1 엉클 블록
4.1.5.2 확장 머클트리 루트 데이터
4.1.5.3 블록의 개스 조절
4.1.5.4 로그 브룸
4.1.5.5 제로 지식 증명
4.2 이더리움 트리 구조
4.2.1 확장 머클 패트리샤 트리
4.3 이더리움 해시 퍼즐
4.3.1 해시 퍼즐의 계산
4.3.2 이더리움의 난이도 조절
4.4 이더리움과 스마트 컨트랙트
4.5 이더리움과 디앱
4.5.1 디앱과 정보 노출의 딜레마
4.5.1.2 인증 기반의 블록체인?
4.5.1.3 하이브리드 시스템?
4.6 샤딩과 지분 증명

5장. 하이퍼레저와 블록체인

5.1 하이퍼레저 패브릭
5.1.1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기본 작동 원리
5.1.2 패브릭 대 블록체인
5.2 변종 블록체인과 내부자 위협

6장. 블록체인 바로 알기

6.1 탈중앙화
6.1.1 중개인이 필요 없는 탈중앙화 플랫폼
6.1.2 탈중앙화의 비용
6.1.3 DAO와 탈중앙화의 허상
6.1.4 The DAO 사건 - 탈중앙화의 민낯
6.1.5 탈중앙화의 동의어는 통제 불능
6.1.5.1 거대 채굴업자들
6.1.5.2 암호 화폐 재단
6.1.5.3 중개소
6.2 ICO
6.3 블록체인은 보안 도구가 아니다
6.3.1 프라이버시 보호와 정보 보호
6.3.2 해시 함수와 보안
6.3.3 리스크와 보안
6.4 블록체인은 핀테크 도구가 아니다
6.4.1 오픈 플랫폼
6.4.2 금융 규제 개혁
6.4.3 개인 정보 활용 - 마이데이터
6.5 블록체인은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다
6.6 블록체인과 인센티브 공학
6.7 중앙화된 블록체인
6.8 블록체인의 3대 위협 요소
6.8.1 블록체인 데이터 크기
6.8.2 시스템의 독점
6.8.3 양자 컴퓨터
6.8.3.1 암호와 해시는 반드시 풀린다

7장. 블록체인과 상생 경제

7.1 토큰 이코노미의 부각
7.2 상생 경제와 블록체인
7.3 개념과 구현의 분리
7.3.1 블록체인과 빅데이터
7.3.2 일회용 블록체인
7.3.3 블록체인과 범용성
7.4 블록체인과 공포 마케팅
7.5 기술 대 콘텐츠
마무리하며

부록 1. 비트코인 블록의 구조
부록 2. 해시 퍼즐 개념 설명
부록 3. 비트코인 주소
부록 4. 트랜잭션 스크립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