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현재 선진 각국들은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산업사회의 주요한 성장의 원동력이었던 토지, 노동, 자본은 이제 경제 발전에 있어 한계에 직면하고 있으며, 지식이 생산력 증대와 경제 성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지식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지식사회에서는 부를 창조하는 중심적 활동이 자본의 배분이나 노동의 투입이 아닌, 지식을 배분하고 적용하는 활동으로 바뀌며, 주도적인 사회 활동도 지식을 공유하고 활용하는 지식기반 메커니즘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지식 사회의 주요 개념은 이미 기업 경영에 도입되어 빅데이터 경영의 형태로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향후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국가, 사회, 그리고 개인의 성장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지식사회의 핵심 동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빅데이터 경영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실무적 이해를 함양하기 위하여 본 교재를 기획하고 집필하게 되었다.
본 교재는 21세기 지식사회에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경쟁력의 원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는 빅데이터에 대한 이론적 개념과 실무적 적용에 관련된 최신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본 교재의 주요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부는 [빅데이터 개요]로서 빅데이터의 등장배경, 빅데이터의 이해, 빅데이터의 트랜드, 그리고 빅데이터의 경제적 가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는 [빅데이터 영향]으로서 기업에서 빅데이터의 영향, 사회에서 빅데이터의 영향, 그리고 국가에서 빅데이터의 영향으로 구성된다. 제3부는 [빅데이터 분석]으로서 빅데이터 분석의 진화, 빅데이터 분석과 기업경영, 그리고 빅데이터와 IoT 데이터 분석에 대해 서술하였다. 마지막 제4부는 [빅데이터 관리]로서 빅데이터 인력양성과 빅데이터 전략과 투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교재에서는 빅데이터에 대한 이해와 영향 그리고 분석과 관리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빅데이터에 관련된 분야가 빠르게 진화하는 관계로 인해 본 교재에서 누락되었거나 설명이 미흡한 부분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점들에 대해서는 독자 여러분들의 너그러운 이해와 건설적인 조언을 부탁드린다. 본 교재를 출판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과 배려를 해 주신 박영사 안종만 사장님과 임직원 여러분들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끝으로 본 교재가 한국을 고도의 지식사회로 견인케 하여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성장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소망하면서 이 책을 혁신 리더들에게 혜존하고자 한다.
2019년 1월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