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 흥미로운미디어편집부
  • |
  • 흥미로운미디어
  • |
  • 2019-01-17 출간
  • |
  • 228페이지
  • |
  • 175 X 248 X 11 mm /400g
  • |
  • ISBN 9791188573271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4,3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유산이란 우리가 선조로부터 물려받아 오늘날 그 속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소중한 미래자산이다. 자연유산과 문화유산 모두 다른 어느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우리들의 삶과 영감의 원천이다.
유산의 형태는 매우 독특하면서도 다양하다.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세렝게티 평원에서부터 이집트의 피라미드, 호주의 산호초와 남미대륙의 바로크 성당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류의 유산에 속한다. ‘세계유산’이라는 특별한 개념이 나타난 것은 이 유산들이 특정 소재지와 상관없이 모든 인류에게 속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유산의 기원은 1960년, 이집트가 아스완 하이댐을 만들면서 시작되었다 할 수 있다. 이 댐이 완성되면 댐의 수몰 지역 내에 있는 누비아 유적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유네스코는 누비아 유적을 지키기 위해 국제적인 지원을 호소했고 60개국이 여기에 호응하여 누비아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및 발굴, 기술지원 등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누비아 유적 내의 아부심벨 대신전이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옮겨졌다.
이를 계기로 국제적으로 문화, 자연유산들을 보존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게 된다. 1972년 11월 제17차 유네스코 정기총회에 참가한 각국의 대표자와 전문가들이 인류의 소중한 유산이 인간의 부주의로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세계유산협약을 제정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조약은 1973년 미국이 최초로 비준한 이후 20개국이 비준한 1975년에 정식 발효되었다.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공원,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 제도 등 12개의 자연, 문화유산이 세계유산목록에 처음으로 등재되었다.
세계유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그리고 복합유산 3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 특별히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은 별도로 지정된다. 문화유산은 유적·건축물·장소로 구성되며 대체로 세계 문명의 발자취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유적지·사찰·궁전·주거지 등과 종교 발생지 등이 포함된다. 자연유산은 무기적·생물학적 생성물로 이루어진 자연의 형태, 지질학적·지문학적(地文學的) 생성물,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서식지, 세계적 가치를 지닌 지점이나 자연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복합유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특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유산이다.


목차


Prologue

1. 세계유산의 이해 11
1) 세계유산이란? 11
2) 세계유산의 상징 도안 12
3)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12
4) 세계유산의 종류 15

2.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세계유산 19
1) 해인사의 대표적 문화재, 해인사 장경판전(팔만대장경, 1995년) 19
2)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사당, 종묘(1995년) 24
3) 깨달음의 순간을 표현한 한국 최고의 불교 성지, 석굴암(1995년) 28
4) 신라의 이상향 불국토를 현세에 드러낸 건축물, 불국사(1995년) 32
5) 조선의 5대 궁궐 중 하나, 창덕궁(1997년) 36
6) 조선 성곽 건축의 꽃, 수원 화성(1997년) 43
7) 교과서에 나오는 세계문화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2000년) 49
(1) 거대한 야외 박물관, 남산지구 49
(2) 신라의 정치 중심지, 월성지구 51
(3) 왕가의 휴식처, 대능원지구 54
(4) 불교 국가 신라를 상징하는 황룡사지구 55
(5) 천년 고도를 지켜 준 산성지구 56
8) 거대한 석조 유적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2000년) 58
(1) 고창 고인돌 유적 58
(2) 화순 고인돌 유적 60
(3) 강화 고인돌 유적 61
9) 아름다운 섬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63
(1)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한라산 64
(2) 제주도의 대표적 관광 명소 성산일출봉 66
(3)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67
10) 조선의 역사를 간직한 조선왕릉(2009년) 73
(1) 구리 동구릉(사적 제193호) 75
(2) 북서쪽에 조성된 고양 서오릉 76
(3) 위대한 성군이 묻힌 영릉 78
(4)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왕릉 80
(5) 망국의 한이 서려 있는 홍릉과 유릉 81
(6) 그 외의 왕릉들 82
(7) 조선왕릉 추천 답사 코스 82
(8) 조선왕릉전시관 83
11) 조선 선비의 삶과 문화가 엿보이는 역사 마을, 하회와 양동(2010년) 84
(1) 명당에 자리한 아름다운 마을, 하회 85
(2) 처가입향으로 이루어진 집성촌, 양동마을 91
(3)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된 이유 95
(4) 추천 답사 코스 96
12) 사적 제57호, 통일신라 시대의 산성, 남한산성(2014년) 97
(1) 남한산성의 역사 99
(2) 수어장대(서장대) 100
(3) 청량대 101
(4) 동문과 서문, 남문과 북문 102
(5) 장경사와 국청사 103
(6) 숭렬전과 현절사 104
(7) 연무관 105
(8) 남한산성 탐방로 105
13)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증명하는 백제역사유적지구(2015년) 107
(1) 공주 공산성(사적 제12호) 108
(2) 익산 미륵사지(사적 제150호) 109
(3) 공주 송산리 고분군(사적 제13호) 111
(4) 부여 관북리 유적(사적 제427호)과 부소산성(사적 제5호) 112
(5) 부여 정림사지(사적 제301호) 113
(6) 부여 능산리 고분군(사적 제14호) 115
(7) 부여 나성(사적 제58호) 117
(8)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제408호) 118
14)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산지 승원(2018년) 121
(1) 한국의 3대 사찰, 양산 통도사(시도기념물 제289호) 121
(2) 화엄종의 본찰, 영주 부석사(문화재자료 제195호) 123
(3) 봉황이 머무른 자리, 안동 봉정사 125
(4) 우리나라 유일의 전통 목탑을 볼 수 있는 보은 법주사(사적 제503호) 127
(5) 김구선생과 인연이 깊은 사찰, 공주 마곡사 129
(6) 역사적 가치가 큰 사찰, 순천 선암사(사적 제507호) 131
(7) 삼재가 들어오지 않는 사찰, 해남 대흥사(사적 제508호) 133

3. 유네스코에 신청 중인 한국의 세계유산 135
1) 한국의 서원 135
(1) 한국 서원의 기원과 역할 136
(2)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경북 영주 소수서원(사적 제55호) 137
(3) 퇴계 이황 선생의 교육터, 안동 도산서원(사적 제170호) 139
(4) 조선 시대의 5대 서원, 안동 병산서원(사적 제260호) 142
(5) 조선의 명필을 볼 수 있는 서원, 경주 옥산서원(사적 제154호) 144
(6) ‘공자의 도(道)’를 꽃피운 달성 도동서원(사적 제488호) 145
(7) 서원 건축의 모범 정여창을 모신 함양 남계서원(사적 제499호) 147
(8) 하서 김인후를 추모하기 위한, 장성 필암서원(사적 제242호) 149
(9) 최치원의 흔적이 서린 정읍 무성서원(사적 제166호) 151
(10) 옛 선비의 마침표, 논산 돈암서원(사적 제383호) 153
2) 한국의 갯벌 156
(1) 금강 하구에 남아 있는 유일한 하구 갯벌, 서천 갯벌 156
(2) 어업인들의 삶의 터전, 고창 갯벌 158
(3) 보전가치가 높은 증도 갯벌 160
(4) 소규모 하천의 하구역에 발달한 보성·순천 갯벌 161

4.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164
1)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 설악산(1982년) 164
2)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생물권보전지역(2002년) 169
(1) 제주도의 상징, 한라산(천연기념물 제182호) 169
(2) 영천과 효돈천 171
(3) 문섬·범섬·섶섬 172
3) 다도해 해상국립공원(2009년) 174
(1) 홍도·흑산도 지구 175
(2) 신안 해안지구 175
(3) 만재도 지구 175
(4) 진도 해상지구 175
(5) 완도 해상지구 176
(6) 고흥 해안지구 177
(7) 거문·백도 지구 177
(8) 돌산·여천 지구 177
(9) 팔영산 지구 178
4) 560년을 지켜온 숲의 바다, 광릉숲(2010년) 179
5) 세계 속의 자연생태 문화도시 고창(2013년) 182
(1) 고창 고인돌 세계문화유산 182
(2) 선운산도립공원 183
(3) 운곡 람사르습지 184
(4) 동림저수지 야생동식물보호구역 184
(5) 고창 갯벌 람사르습지 185
6) 계곡과 습지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순천(2018년) 186
(1)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세계 유일의 온전한 연안습지 순천만 186
(2) 우리나라 22번째 람사르습지, 순천 동천하구 189
(3) ‘송광산’이라고도 불리는 조계산 190

5. 유네스코가 지정한 한국의 세계지질공원 193
1) 제주도 국가지질공원 195
(1) 한라산 195
(2) 만장굴 196
(3) 천지연폭포 196
(4) 중문-대포 해안 주상절리대 197
(5) 서귀포 패류 화석산지 197
(6) 용머리 응회환 198
(7) 성산일출봉 응회고 198
(8) 산방산 용암돔 199
(9) 수월봉 응회환 199
(10) 선흘 곶자왈 200
2) 청송 국가지질공원 201
(1) 기암단애 201
(2) 주방천 페퍼라이트 202
(3) 연화굴 202
(4) 용추협곡 203
(5) 용연폭포 203
(6) 급수대 주상절리 203
(7) 절골협곡 204
(8) 청송 얼음골 204
(9) 법수 도석 204
(10) 병안 화강암 단애 205
(11) 나실 마그마 혼합대 206
(12) 청송 자연휴양림 퇴적층 206
(13) 면봉산 칼데라 206
(14) 수락리 주상절리 206
(15) 방호정 퇴적층 207
(16) 신성 공룡 발자국 208
(17) 만안자암 단애 208
(18) 백석탄 포트홀 209
(19) 파천 구상화강암 209
(20) 송강리 습곡구조 209
(21) 청송 구과상유문암 210
(22) 노루용추계곡 210
(23) 달기약수탕 211
(24) 주산지 211
3) 무등산권 국가지질공원 213
(1) 무등산 정상3봉(천왕봉/지왕봉/인왕봉) 213
(2) 서석대 213
(3) 입석대 214
(4) 광석대 214
(5) 신선대와 억새평전 215
(6) 덕산너덜 215
(7) 지공너덜 216
(8) 무등산 풍혈 216
(9) 백마능선 216
(10) 장불재 216
(11) 시무지기 폭포 217
(12) 윤필봉 자연동굴 217
(13) 충효동 점토 광물산지 218
(14) 의상봉 218
(15) 새인봉 219
(16) 증심사 계곡 안산암질용암 219
(17) 무등산 광주화강암 219
(18) 만연사 선캄브리아기 화강편마암 220
(19) 적벽 220
(20) 서유리 공룡 화석지 220
(21) 백아산 석회동굴 221
(22) 운주사 층상 응회암 221
(23) 화순 고인돌 장동 응회암 222
결어 223

<참고 자료> 22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