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짊어지고 고통의 길을 홀로 가려는
견자(見者)의 노래
- 신중철 첫 시집 『나는 다른 종족이다』
2007년 계간 『문학들』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신중철 시인의 첫 시집 『나는 다른 종족이다』(문학들 刊)가 나왔다. 다소 도발적인 시집의 제목은 「틈」의 한 구절에서 가져왔다. “나는 다른 종족이다”라고 자신을 규정한 이 시에는 어둠, 아침, 상처, 사랑 등의 말이 길항하는데, 시인은 아침이 오면 무너질 수밖에 없는 어둠 속에 스스로를 가두고서 “마취가 덜 풀린 얼얼한 고백을 사랑이라” 믿는 자이다.
그러니 그 운명을 견디고, 사랑하고, 이겨 내려면 “쇠로 만든 고막 하나” 쯤은 가져야 한다. “천둥에도 울지 않”는 결기가 있어야 한다. “나는 나와 다른 종족이어야겠다”고 한 마지막 구절은 첫 시집을 펴내는 시인의 선언이자 각오다. 이것이 시인의 운명이다. 빛이 아닌 어둠 속에서 상처를 더듬으며 사랑을 노래할 수밖에 없는.
그래서 시인은 “나는 출향했으나/내 말들은 굽은 소나무처럼/밤 깊은 아궁이 앞에 쪼그리고 앉아/눈발을 등에 지고 군불을 때고 있다”(「고향」) 고백한다. “본질적으로 모든 화가의 그림이 자화상이듯/모든 시는 죽은 새를 그려 내는 일”(「새」)이라고. 「수박」을 앞에 두고서는 “모서리 없는 슬픔이 뚝뚝 눈물을 흘리는 게 보였다”, “길게 뻗은 내 아비의 손아귀가 햇살을 움켜쥐는 게 보였다”, 간절한 것들은 “제 무릎에 얼굴을 묻고 모서리마저 묻어야 한다”고.
단원(檀園) 김홍도의 그림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앞에서는 “새의 몸속으로 들어가 겨드랑이에 달리 두 문짝 중 어느 쪽을 열어줄까 고민하는 적요한 미풍”( 「그곳에 들어가려면」)을 읽어 낸다. “이번 시집의 가장 빛나는 이미지”라고 추켜세운 장석원(시인, 광운대 교수)의 해설을 보자.
나는 전율한다. 그림 속의 소리를 듣는다. 신중철의 아름다운 이미지 때문에 나는 시의 마력에 휘말린다. 그렇다. 이것이 시라는 신비이다. 모든 것에 대한 모든 가능성. 신중철의 다음 구절은 그리하여 주술이 된다. “다시 태어나면 내 차라리 물의 지느러미가 되고 새의 혀가 되고 푸른 봄볕이 되고 버들가지의 연둣빛 입술이나 되어볼까”. 신중철의 시가 ‘물의 지느러미, 새의 혀, 푸른 봄볕, 버들가지의 연둣빛 가지’가 된다. 우리가 신중철의 시 속으로 들어가, 그림이 된다. 아니, 우리가 물, 새, 봄볕, 버들가지가 된다. 그의 이미지가 우리를 변태(metamorphosis)시킨다.
불협화음의 세계에서 ‘틈’, 사랑의 길을 찾아 오랜 시간 홀로 사유해온 시인의 개성적인 목소리가 돋보이는 이번 시집이 독자의 손길을 기다린다. 신중철 시인은 전남 고흥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나는 현장사람이다』를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