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류 호 영 박사_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그레이엄 H. 트웰프리 박사_리젠트대학교(School of Divinity, Regent University) 교수
데이비드 다운스 박사_풀러신학교(Fuller eological Seminary) 교수
에버렛 퍼거슨 박사_에벌린크리스천대학교(Abilene Christian University) 교수
마이클 고먼 박사_세인트메리신학교(ST. Mary’s Seminary) 교수
레이먼드 F. 콜린스 박사_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 교수
비벌리 로버츠 가벤타 박사_베일러대학교(Baylor University) 교수
폴 포스터 박사_에딘버러대학교(School of Divinity, University of Edinburgh) 교수
°저자 서문 13
°역자 서문 15
서론 다시 그려 보는 교회상 19
1. 교회론에 대한 도전들 21
2. 교회 갱신에 대한 최신 견해들 31
3. 바울과 교회 갱신 44
제1장 세상과 구별된 공동체 54
▪바울의 첫 번째 서신의 핵심 주제
1. 데살로니가교회의 기원 55
2. ‘하나님의 백성’으로 공동체적 정체성 세우기 60
3. 바울의 교회론을 바라보는 창, 데살로니가전서 93
4. 결론: 공동체 형성의 그때와 지금 96
제2장 단지 개인의 모임이 아닌 교회 99
▪바울의 공동체적 기독론과 교회
1. 그리스도 안에서 101
2.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하는 성령의 전과 그리스도의 몸 124
3. 결론: 하나님의 백성과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인류 143
제3장 교회 공동체와 성례 145
▪고린도전서, 갈라디아서,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47
2.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 170
3.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 175
4. 결론: 바울이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82
제4장 공동체의 영적 성장 184
▪로마서와 고린도후서에서 이야기하는 교회 공동체의 변화
1. 기억의 공동체 187
2. 소망의 공동체와 변화 194
3. 현재 일어나는 변화 197
4. 결론: 대항문화로서의 교회 219
제5장 칭의와 공동체의 연합 221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예수의 죽으심과 하나님의 백성
1. 유대 문헌에서의 죄와 칭의 224
2.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칭의와 교회론 226
3.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칭의와 교회론 233
4. 결론: 칭의와 교회의 연합 259
제6장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에 대한 고찰 261
▪바울에 따른 복음 전도와 사회적 행동
1. 바울의 선교 264
2. 세상을 향한 교회의 선교 271
3. 바울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교회와 세상 284
4. 결론: 바울과 교회의 선교 298
제7장 보편교회로서의 지역교회 301
▪바울에 따른 코이노니아(koinōnia)의 의미
1. 로마 제국과 회당 305
2. 바울의 선교에 나타난 교회의 연합 307
3. 유대인교회와 이방인교회 312
4. 결론: 교회들 간의 코이노니아(koinōnia), 어제와 오늘 337
제8장 진정한 메가처치(Megachurch) 발견하기 339
▪바울의 후기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적 교회와 가정교회
1. 에베소서와 골로새서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적 교회 341
2. 목회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가정교회 364
제9장 구별된 공동체를 위한 구별된 리더십 374
▪바울의 초기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권위와 사역
1. 고린도에서 일어났던 지도자들 간의 경쟁 375
2. 지도자 바울 377
3. 바울의 부재중에도 계속된 그의 권위와 사역 387
4. 결론: 이야기로 형성된 리더십 407
결론 기독교 제국주의 이후의 교회 410
1. 오늘날의 교회론적 모델 411
2. 바울의 교회론적 비전의 결과 417
°참고 문헌 418
°주제 색인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