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1년, 14년 전에 보낸 메일이 도착했다
시간을 넘어 찾아온 죽은 아버지의 유작 소설!
믿을 수 없는 소설 이야기가 현실로 다가오다
주인공 미로는 죽은 아버지로부터 한 통의 메일을 받는다. 아버지는 물리학자이면서 ‘닥터 클린워스’라는 필명으로 과학소설을 쓰는 베스트셀러 작가였으며 14년 전에 독살로 의심되는 죽임을 당했다. 메일에 첨부된 아버지의 유작 소설을 읽은 미로는 소설 속 이야기가 하나둘씩 현실로 나타나는 걸 알고 경악한다.
죽은 아버지는 메일 속 소설을 통해 아들 미로에게 무엇을 알려주려는 것일까? 그렇다면 소설을 쓴 아버지는 예언자였을까? 왜 메일은 14년 후에 아들 미로가 볼 수 있도록 한 것일까?
과거로부터 편지를 받는다면, 그래서 미래를 바꾼다면
그리고 그들의 운명은?
미래의 과학도시는 지금의 현실과 과연 다를까?
한국일보문학상과 현진건문학상 수상작가인 하창수의 장편소설 『미로』는 미래 2041년을 배경으로 하는 뉴사이언스 소설이다. 2041년은 군사력과 경제력을 기반으로 한 미국과 유럽 강대국들의 주도 하에 전 세계가 통합되었고, 한반도는 상호 경제개방이 이루어져 실질적인 통일이 이루어진 상태로 그렸다. 배경은 북한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원산으로 첨단 과학 도시로 설정하였다.
주인공 미로는 세계적 우주산업체 슈퍼퓨처사 산하의 스피릿 필드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는 스물다섯 살의 엔지니어다. 슈퍼퓨처사는 세계적 우주산업체로 수년간 모픽 필드, 즉 ‘물질의 생성에 필요한 에너지의 장’을 연구하는 데 막대한 금액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얻지 못하자, 한때 심각한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부작용으로 폐기 처분됐던 ‘ADM’을 새로운 수익창출 아이템으로 적극 추진한다.
미로는 연합정부 정보국의 교육정보통신담당관 써니라는 여자를 만나면서 의도치 않게 아버지의 숨겨진 죽음과 메일의 진실에 가까워지고, 그럴수록 더욱 혼란 속으로 빠져든다. 결국 미로는 아버지가 개발한, 죽은 사람의 혼령과 만날 수 있는 장치인 ADM을 통해 죽은 아버지를 직접 만나려 하는데 …….
기억은 과연 뇌에 저장되는 걸까?
어딘가에 보관된 기억을 받아들이는 장치는 아닐까?
소설 『미로』는 시간과 죽음에 관한 이야기이자
죽음의 비밀을 탐문하는 소설이다
소설 『미로』를 통해 미래의 첨단 과학도시에 살고 있는 인간을 이야기했다.
“기억은 참 미묘하다. 사실 기억이 미묘하기보다는 기억의 시스템, 즉 기억과 망각 사이에 놓인 ‘다리’가 더 미묘하다. 그 다리는 왜 한 번 건너가면 다시 돌아오지 못하는 걸까. 그리고 어떤 것은 왜 다시 돌려보내는 걸까 — 그것이 미묘하다.
한 번쯤 이런 의문을 가져본 적이 있는가? 기억과 망각 사이에 놓인 다리를 건너갔던 뭔가가 다시 돌아왔을 때, 돌아온 그것을 과연 예전의 바로 그 ‘기억’이라고 할 수 있는가? 비유를 들어 설명하자면, 당신이 사랑한 사람이 어느 날 당신을 떠났다. 대부분 떠나간 그 사람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런데 어느 날 그 사람이 당신에게로 돌아왔다. 이때, 당신에게 돌아온 그 사람은 당신을 떠나기 전의 그 사람인가?”
작가의 말
세상의 모든 일은 시간 위에서 일어나고, 어느 한 지점에서 우뚝 멈춰버린다. 그 멈춤을 우리는 죽음이라 말한다. 이 생각은 과연 옳을까? 죽음은 삶의 끝일까? 시간을 되돌릴 수만 있다면 죽음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답은 없다. 명확한 답은커녕 비슷한 답조차 찾기 어렵다. 시간과 죽음은 아무리 궁리해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와 같다. 분명히 꿈을 꾸었는데, 꾸었다는 사실을 물리적으로 증명해낼 수가 없다. 그것은 잡으려 해도 잡을 수 없는 물, 꺾으려 해도 꺾이지 않는 바람, 출구가 존재하지 않는 미로와 같다. 소설 『미로』는 시간과 죽음이 만들어놓은 출구 없는 미로 속으로 들어간, ‘미로’라는 이름을 가진 스물다섯 살 청년의 이야기다. - 하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