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기철의 18권의 시집에서 시인이 직접 54편을 골라 영어로 번역한 대역본
이 책은 국내에서 최초로 시인 이기철의 시를 영어로 번역한 대역본이다. 지금까지 시인이 출간한 열여덟 권의 시집에서 애착을 가진 54편의 작품을 직접 선정한 것을 번역하였다. 이기철은 거의 반세기에 걸쳐 詩作을 해 온 한국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특유의 토속적 서정과 함께, 인간의 보편적 삶에 담긴 진리를 시로 표현하고 있다.
시에 담긴 사색과 고뇌, 연민과 애린, 자성과 희망의 언어들은 보석과 같은 것.
초기 작품부터 최근 작품까지 연대순으로 수록하고 있어 시인의 삶과 시적 세계의 발전과정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시인은 자신에 시에 점염되어 있는 사색과 고뇌, 연민과 애린, 자성과 희망의 언어들은 생래적인 것이면서도 늘 곁에 두고 만지고 다듬은 보석들과 같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런 주옥같은 시들을 영어로 번역하여 전 세계 연구자나 일반 독자에게 알림으로써 한국문학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난해한 어휘, 인유, 역사적 사실 등 번역본에 각주를 달고 해설을 추가
영어권 독자들이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난해한 어휘, 인유, 역사적 사실 등은 각주를 달고 해설을 붙였다. 처음으로 영어권에 소개되는 만큼 함께 수록된 상세한 시인의 작품과 연대기는 작가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나아가 원작도 함께 수록하고 있기에 작품을 비교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작 연구를 심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The Profile of Kee-Chul Lee
Kee-Chul Lee was born in Geochang,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in 1943. He is Professor Emeritus at Yeungnam University. He made a literary debut through the Hyundae Munhak (Modern Literature) in 1972. Since then, he has published twenty volumes of poetry such as Cheonsanhaeng, Song That I Wish to Sing on Earth, Days of Glass, Those Whom I Have Met Were All Beautiful, The Warmest Book, Pilgrimage at Noon, Tree―My Mother Tongue, At the Makeup Hour of Flowers, and Sansansusuhwahwachocho (Mountains Waters Flowers Grasses), among others. He was awarded Kim Su-yeong Literary Award, Choe Gye-rak Literary Award, and Hukwang Literary Award.
Profile of Jeo-Yong Noh
Jeo-Yong Noh was born in Hamyang, Gyeongsangnam-do, Republic of Korea in 1948. He was awarded a DPhil in English literature from the University of Oxford in 1991. He retired from teaching at Yeungnam University in 2013, and served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as president from 2003 to 2005. He published Biographical Themes in T. S. Eliot’s Early Poetry, T. S. Eliot and the Criterion, and “Action Française” Condemnation and Other Essays. He also published Korean Buddhist Poems in English translation, Omeros, and Ronald Stuart Thomas: Collected Poems 1945~1990 in Korean for the firs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