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여는세상》 기획시선 14권. 이명수 시인의 여덟 번째 시집 『카뮈에게』가 발간되었다. 시집은 총 4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1부는 자아의 발견, 2부는 여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3부는 제주에서의 생활에서 얻어진 사유, 4부는 서울에서의 일상을 다룬 시로 그 얼개가 숨 가쁘게 짜여 있다.
엄경희 평론가는 98쪽의 긴 해설을 통해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이명수 시인의 동사들은 팽팽함과 느슨함 사이, 들어감과 나감 사이, 우연적 재난과 침묵 사이, 불가역적 시간과 가역적 시간의 체험 사이를 드나든다. 그것은 한 존재의 신체와 정신으로부터 촉발되는 다양한 경로와 지점들을 점유하고 횡단하며 출렁인다.”
“시인은 자신으로부터 탈출하여 다시 자신의 몸속으로 돌아간다. 그것은 동일한 반복처럼 보이지만 신성함을 탈환하고자 하는 필사의 노력이라는 점에서 관성운동과는 다르다. 시 ?신구간(新舊間)?의 화자는 ‘나는 경계인(境界人)이다’라고 자신을 규정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명수 시인이 지향하는 의식의 운동성을 볼 때 이러한 자기규정은 진실이다. 그는 ‘꺼내다’와 ‘들어가다’를 반복하면서 일상과 신성 사이를 오가는 경계인이다. (……) 나는 그의 시집 『카뮈에게』를 읽으며 그의 시세계를 구도행 혹은 수도행으로 규정하는 것을 최대한 자제하며 이 글을 썼다. 이유는 이러한 어휘들이 그의 시편에 담긴 고뇌와 그 고뇌를 드러내기 위한 내밀한 맥락들, 행간 사이에 놓인 여백의 풍부함을 피상화 내지는 추상화로 몰고 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시집을 통해 그가 보여준 경험과 상상력의 그물망은 구도행이나 수도행 이상의 복잡한 인간상을 입체화한다. 그의 ‘숨은 神’은 신성에 닿고자 하는 실존인으로서의 고뇌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담지한 인격적 몸이다. 나는 이러한 그의 몸의 여정을 읽으며 ‘탈신성’이라는 말을 역으로 자꾸 떠올리곤 했다. 이 시대의 수많은 담론이 무반성적으로, 무차별적으로, 둔감하게 ‘탈신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가. 그것이 몰고 올 고귀함의 상실, 존엄성의 와해를 과연 우리는 얼마나 두렵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묻게 된다.”(해설 '만 리 여정을 가는 맨발의 숨은 神' 중에서)
또한 박성현 시인은 표제작 『카뮈에게』의 해설에서 “…… 시인은 ‘삶의 의미보다 삶을 더 사랑’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의미’에 집착할수록 삶은 점점 더 무거워진다. ‘여행의 위치보다 여행을 더 사랑한다’고 고백하는 이유가 이것이다. 순수한 여행이란 여행 그 자체로 빛나는 것이지 그 ‘장소’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여행을 퉁해 ‘그곳’에 자신만의 내밀한 ‘장소’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기억하자. ‘어느 계절을 두려움 없이 사랑하듯// 카뮈여,/ 두려운 것은 여행보다 먼 곳에 있다’는 이 영롱한 문장은 우리에게 삶과 여행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안겨준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