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침묵을 이해하지 못한다면어떻게 나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겠는가?
“If you do not understand my silence,how will you understand my words?”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문장 단위로 발화되는데 어떤 발화는 문장이 아닌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축소된 발화는 원래 완전한 문장이었으나 생략이나 대형태와 같은 수단을 통해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언어가 정보전달의 수단이라면 축소 현상은 화자가 정보구조의 변화를 통해 청자의 정보처리 부담을 덜어 주려는 잉여성 회피 책략에 기인한다. 이러한 정보축소는 청자의 관심을 새로 도입되는 정보에 집중시킴으로써 문장의 명료성을 향상하는 데 기여한다.
이 저서는 한국어와 영어의 생략문에서 보이는 초점의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진행된 연구의 결과물이다. 서론을 제외한 13편의 논문들 중에서 2장(박보경 공저), 8장(이경미 공저), 14장(정덕호, 김윤희 공저)은 제자들과 같이 진행하여 얻은 성과이고, 2장과 9장은 국내학술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