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소재집 4

소재집 4

  • 노수신
  • |
  • 한국고전번역원
  • |
  • 2018-12-20 출간
  • |
  • 392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28405688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소재 노수신은 1543년(중종38) 문과 식년시에 장원급제한 후 홍문관 수찬 등을 역임하다가 을사사화,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 등으로 유배생활을 하였으나, 선조 즉위 후 다시 서용되어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시와 문장, 서예에 뛰어났으며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은 인물로 평가된다. 노수신의 대표적인 철학 저작인 〈인심도심변(人心道心辨)〉은 주희(朱熹)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에 대해 이견을 제시한 글로, 주희의 학문적 입장을 적극 따르는 스승 이언적과는 묘한 대비를 보인다. 노수신은 유배 생활을 마치고 정계에 복귀한 뒤에도 양명학(陽明學)을 지지하는 내용의 시와 산문을 지속적으로 창작하였는데,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이런 노수신의 사상을 양명학으로 규정하고 비판한 바 있다. 

노수신은 양명학을 수용하여 퇴계와 대립하였던 독특한 사상가일 뿐만 아니라 선조 대 시단(詩壇)의 영수이기도 했다. 노수신은 파격적이면서 기력이 넘치는 시들을 창작함으로써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 지천(芝川) 황정욱(黃廷彧)과 함께 관각삼걸(館閣三傑)로 일컬어지면서, 이들 가운데서도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던 일급 시인이다.

 

노수신의 문집인 《소재집(穌齋集)》은 원집(原集) 10권, 연보(年譜)와 행장(行狀), 내집(內集) 2권 합 8책으로 되어 있다. 권1부터 권6은 부(賦)와 시(詩)이고 권7부터 권10까지는 문(文)이다. 내집에는 학문과 예(禮)를 논한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노수신은 걸출한 학자이자 시인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적극적인 조명을 받지 못하였다. 이는 그가 남긴 철학 저작과 시문들이 지극히 난해하기 때문이다. 일부를 뽑아 소개한 편역서가 간행된 바 있지만, 양적 질적 측면에서 매우 아쉬울 수밖에 없다. 《소재집(穌齋集)》 번역서는 전체 8책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전 저작을 번역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학술 번역을 추구하는 번역서가 출간되기 시작하였으니 앞으로 노수신의 문학과 사상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활성화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리라고 본다.

목차


일러두기ㆍ4

소재집 제4권
시詩
아우에게 주어 작별하다 을묘년 4월이다. 贈別舍弟 乙卯四月ㆍ21
가흥현 고개까지 따라가 전송하면서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다 追送于嘉興縣嶺復用前韻ㆍ22
또 녹진에 이르러 영결하다 又至鹿津永訣ㆍ23
지력산에 들어가 있으면서 간재의 시운에 차하다 入智力山次簡齋韻ㆍ24
소포에서 자다 14일이다. 宿素浦 十四日ㆍ27
오란진을 바라보다 15일이다. 望於蘭鎭 十五日ㆍ28
지력사에 당도하다 16일이다. 到智力寺 十六日ㆍ29
감탄 18일이다. 感歎 十八日ㆍ30
바다로 나갈 계책을 결단하다 23일이다. 決策出海 二十三日ㆍ31
황원 촌사에서 자다 24일이다. 宿黃原村舍 二十四日ㆍ32
등산나루 25일이다. 藤山渡 二十五日ㆍ35
목포 木浦ㆍ36
고철금리 古鐵金里ㆍ37
무안현에 들르다 26일이다. 過務安縣 二十六日ㆍ38
함평현의 객관에서 자다 寓咸平縣館ㆍ39
영암에 적군의 포위가 해제되었다 27일이다. 靈巖圍解 二十七日ㆍ40
두 노복이 뒤따라왔는데, 슬픔과 기쁨이 반반이었다
二奴追至悲喜相兼ㆍ41
함평에서 현감에게 율시 두 수를 주고 작별하다 6일이다.
咸平贈別縣監二律 初六日ㆍ42
나주성 아래에 당도하다 到羅州城下ㆍ44
아우를 생각하며 읊조리다 7일이다. 憶弟口號 初七日ㆍ45
광주성 아래에서 머무르다 8일이다. 次光州城下 初八日ㆍ46
순창군에 머무르다 10일이다. 次淳昌郡 初十日ㆍ47
강천사로 들어가다 12일이다. 入剛泉寺 十二日ㆍ49
김 선생의 운에 화답하다 14일이다. 和金先生韻 十四日ㆍ50
우연히 제하다 15일이다. 偶題 十五日ㆍ52
준 상인을 심방했으나 만나지 못하고 시를 기왓장에 그어 적다 16일이다. 尋峻上人房不遇ㆍ其瓦 十六日ㆍ53
보훈의 시축 가운데 하서의 시운이 있어 차운하여 주다 17일이다.
寶訓軸中有河西韻次贈 十七日ㆍ54
서봉과 조정에게 주다 18일이다. 贈徐鳳趙珽 十八日ㆍ57
동년 설당의 집에서 취하여 쓰다 21일이다.
同年薛 ㆍ 宅醉書 二十一日ㆍ58
증심사에서 조선에게 주다 25일이다. 證心寺贈祖禪 二十五日ㆍ59
취하여 무회와 작별하다 28일이다. 醉別無悔 二十八日ㆍ60
철포를 지나다가 서우량의 솔밭 정자에 오르다 7월 3일이다.
過鐵浦登徐友諒松ㆍ 七月初三日ㆍ61
영암에서 정읍 현감에게 주다 이윤량이다. 8일이다.
靈巖贈井邑縣監 李允良○初八日ㆍ62
홍치문에게 주다 9일이다. 贈洪致文 初九日ㆍ64
유 아무에게 주다. 앞의 운을 거듭 사용하였다 贈柳某疊前韻ㆍ65
홍치문이 자미화를 읊어 달라고 청하므로 취하여 쓰다
洪致文請賦紫薇醉書ㆍ66
도갑사에 올라가서 자정의 운에 차하다 11일이다.
登道岬寺次韻子靜 十一日ㆍ67
달밤에 절의 문 앞에서 두견새 우는 소리를 듣고 이자정과 최경창이 나에게 시 읊기를 청하였다 月夜寺門聽杜宇李崔請賦ㆍ68
극호의 시축에 제하다. 육봉 선생의 운에 차하다
題克浩軸次六峯先生韻ㆍ69
혜원의 시축에 육봉 선생의 운이 있어 차운하여 주다
惠遠軸有六峯先生韻次贈ㆍ71
석교원에서 경인에게 주다 윤강원이다. 12일이다.
石橋院贈景仁 尹剛元○十二日ㆍ72
해남 현감 변협이 시를 요구하므로, 율시 두 수를 주다 15일이다.
邊海南 協 索詩贈二律 十五日ㆍ73
자정이 시를 주지 않는다고 책망하므로, 마침내 앞의 운에 차하다
子靜責無贈遂次前韻ㆍ75
계진이 부쳐 준 시에 차운하다 次韻季眞寄贈ㆍ77
삼촌의 사창에서 자다 16일이다. 宿三村社倉 十六日ㆍ78
장난삼아 윤탄지에게 보이다 17일이다. ㆍ示尹坦之 十七日ㆍ79
벽파정의 기둥에 제하다 19일이다. 題碧波亭楹 十九日ㆍ80
진도에서 느낀 일을 40운으로 읊다 7월이다. 珍島感事四十韻 七月ㆍ81
정자 최경창이 술을 가지고 와서 만났다 崔正字 慶昌 携酒相看ㆍ89
정자가 정의 시를 외워 주므로, 그 시에 차운하여 주다
正字誦靜詩次韻贈之ㆍ91
매를 보고 느낌이 있어 읊다 10월이다. 觀鷹有感 十月ㆍ92
향교에서 술을 마시면서 한숭덕의 시운에 차하다 飮鄕校次韓崇德ㆍ93
크게 취하여 군수로부터 시를 지으라는 독책을 받고 시를 지어 희롱하다 11월이다. 大醉被主ㆍ督賦賦以ㆍ之 十一月ㆍ94
또 운을 부르면서 심하게 재촉하다 又呼韻苛徵ㆍ95
13일 밤에 홀로 앉아서 책을 보노라니, 온갖 생각이 어지러이 떠오르므로 붓 가는 대로 쓰다 모두 7수이다. 12월이다.
十三夜高坐觀書百慮紛然信筆書之 凡七首 十二月ㆍ96
취하여 훈도 김우에게 주다 병진년 7월이다. 醉贈金訓導瑀 丙辰七月ㆍ105
또 크게 취하여 차운하다 又大醉次韻ㆍ106
훈도 송사침에게 주어 작별하다 8월이다. 贈別宋訓導士琛 八月ㆍ107
상산으로 돌아가는 서숙부를 전송하다 9월이다.
送孼叔父歸商山 九月ㆍ108
최익겸에게 주다. 이때 사천에서 술을 마셨다 10월이다.
贈崔益謙時飮斜川 十月ㆍ109
또 제하다 又題ㆍ110
박선의 초대를 받아 당동암에서 두부를 먹다
朴宣邀食豆腐于唐洞菴ㆍ111
당동암 기둥에 제하다 題唐洞菴楹ㆍ112
하서의 시에 수답하여 부치다 酬寄河西ㆍ113
병을 앓고 난 뒤에 송사침이 방문하였으므로, 취중에 써서 주다 11월이다. 病後宋士琛相訪醉中題贈 十一月ㆍ123
점마 권 동년이 내방하였다 點馬權同年來訪ㆍ125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여 답하다 復用前韻答之ㆍ127
송씨, 조씨 두 상사가 술을 가지고 방문해 주어 크게 취하여 써서 주다 12월이다. 宋曺二上舍携酒見訪大醉題贈 十二月ㆍ129
금릉의 수령이 네 가지 식물을 보내 주었으므로, 시로써 사례하다 金陵宰見餉四件詩以謝之ㆍ130
세모에 장난삼아 제하다 歲暮ㆍ題ㆍ132
섣달 그믐날 밤에 울면서 쓰다 除夜泣書ㆍ133
이 상사가 시로써 나를 초대하였으므로, 그의 운에 차하다 정사년 2월이다. 李上舍以詩邀之次其韻 丁巳二月ㆍ135
이 상사의 집에서 술을 마시면서 차운하다 飮李邸次韻ㆍ136
이 상사가 다시 급하게 시를 요구하므로, 애오라지 근체시를 제하다
李復索詩甚急聊題近體ㆍ137
노복을 보내서 어머니의 환후가 회복되셨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입으로 읊조려 기록하다 3월이다. 遣奴得萱堂愆候復常口占記之 三月ㆍ138
완계에게 주어 작별하다 贈別浣溪ㆍ139
따라 나가 전송하면서 차운하여 그를 희롱하다 追餞次韻ㆍ之ㆍ141
문익세가 와서 배우기를 청하므로, 문득 사운시를 지어서 사절하여 보내다 11월이다. 文益世來請學輒書四韻謝遺 十一月ㆍ142
지은의 시축 안에 제하다. 지은은 옛날 풍악산에서 처음 알게 된 승려이다 무오년 1월이다. 題智ㆍ軸中ㆍ蓋楓岳舊也 戊午正月ㆍ143
유승제의 〈관지의 날개 잘린 기러기〉라는 시 15운에 화답하다. 나는 지금 두 구절을 더하여 성률을 맞추었다
和柳承霽官池ㆍㆍ雁十五韻今增兩句以諧聲律ㆍ144
혜원의 운에 차하다 次惠遠韻ㆍ148
원 상인을 작별하다 別遠上人ㆍ149
상사 윤항의 계정에 두 수를 부쳐 제하다 2월이다.
寄題尹上舍 ㆍ 溪亭二首 二月ㆍ152
유승제와 작별하면서 차운하다 3월이다. 別柳承霽次韻 三月ㆍ154
붕 숙씨가 서울에서 내려와 여기서 여드레를 머무르고 이제 화령으로 돌아간다 鵬叔氏來自京留八日還化寧ㆍ155
권 직학을 곡하다 5월이다. 哭權直學 五月ㆍ156
해남 현감에게 부치다 윤념이다. 寄海南宰 尹恬ㆍ158
무제 6월이다. 無題 六月ㆍ159
최형의 모당에 부쳐 제하다 7월이다. 寄題崔兄茅堂 七月ㆍ163
돌아가는 승려 각조가 시를 요구하다 歸僧覺祖乞詩ㆍ166
내 자신에 대한 만사 自挽ㆍ167
영암 군수가 멀리서 벌꿀과 좋은 미역을 보내왔으므로, 시를 지어 사례하다 8월이다. 靈巖郡守遠餉蜂淸粉藿作詩謝之 八月ㆍ168
김후지가 윤탄지의 정자에 부쳐 제한 시운에 차하다 9월이다.
次金厚之寄題尹坦之亭子韻 九月ㆍ169
두 동년이 서로 창화한 시에 차운하다 次韻二同年相和ㆍ170
백생 광훈이 와서 밤에 술을 마시다 10월이다.
白生 光勳 至夜飮 十月ㆍ171
크게 취하여 장난삼아 백생에게 주다 大醉ㆍ贈白生ㆍ172
내일은 백생과 작별할 예정인데, 백생이 한마디 해 주기를 청하므로, 이에 취하여 써서 주다 來日將別白生生請一語乃醉書與之ㆍ173
방생과 술을 마시면서 운을 불러 시를 지었다가, 다음 날 점마관 조희문에게 부치다 與房生飮唱韻有賦明日寄趙點馬希文ㆍ174
밤에 술을 마시면서 다시 차운하다 夜飮復次韻ㆍ176
방생이 자기 친구들의 정사를 읊은 시운을 내보이면서 화답해 주기를 급하게 요구하였다 房出示諸友詠其精舍韻索和甚急ㆍ178
창평의 수령이 쌀, 누룩, 꿀을 편지와 함께 보내왔으므로, 시를 지어 사례하다 11월이다. 昌平宰書致米麴蜜作詩謝之 十一月ㆍ180
무제 無題ㆍ181
섣달 밤에 외삼촌을 마주하다 臘夜對舅氏ㆍ182
다시 차운하다 復次ㆍ184
재차 차운하다 再次ㆍ186
세 번째 차운하다 三次ㆍ187
전괘령의 협정에서 차운하여 외삼촌을 전송하다
錢掛嶺莢亭次韻送舅氏ㆍ189
섣달 그믐날 밤에 아우에게 보이다 12월이다. 除夕示弟 十二月ㆍ190
무회에게 보이다. 이때 외삼촌을 막 전별한 뒤였다
示無悔時初別李舅ㆍ191
취하여 장난삼아 써서 보이다 기미년 1월이다. 醉ㆍ書示 己未正月ㆍ193
느낌이 있어 써서 보이다 有感書示ㆍ194
다시 제하다 復題ㆍ196
어머니의 서신을 얻고 울면서 쓰다 2월이다. 得堂書泣書 二月ㆍ197
무회 아우를 전별하면서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다 3월이다.
別無悔甫弟復用前韻 三月ㆍ198
벽파정까지 따라 나가서 전송하다 追送碧波亭ㆍ200
퇴계 선생에게 부치다 寄退溪先生ㆍ201
향교의 기둥에 제하다 5월이다. 題校楹 五月ㆍ203
이생의 시에 차운하다 6월이다. 次韻李生 六月ㆍ204
이생이 술을 가지고 와서 후산의 시에 차운하여 나에게 술을 권하므로, 취하여 그 시에 차운해서 희롱하다 李携酒次后山詩以侑予醉次ㆍ之ㆍ206
군수가 욕실에서 연회를 하자고 요청하였다. 이때 군수의 임기가 이미 다하였다 8월 그믐날이다. 主守相要浴室燕集時守已秩滿 八月晦ㆍ207
성진의 시축 가운데 운에 차하여 세 수를 짓다 次性眞軸中韻三首ㆍ208
차운하다 次韻ㆍ212
차운하여 원사를 보내다 次韻送遠師ㆍ214
하서가 작고했다는 소식을 듣다 경신년 2월이다. 聞河西亡 庚申二月ㆍ216
하서를 곡하다 20운 哭河西 二十韻ㆍ217
이성춘에게서 동판을 구하다 5월이다. 從李成春覓桐板 五月ㆍ224
서 순창이 서신과 함께 막걸리, 쌀, 종이, 기름을 보내왔으므로, 시를 지어 사례하다 6월이다. 徐淳昌書致ㆍ米紙膏作詩謝之 六月ㆍ225
국휘일(國諱日)과 사휘일(私諱日)이 아울러 이르렀으므로 울면서 쓰다 7월이다. 公私諱日竝臨泣書 七月ㆍ228
백, 문 두 서생을 작별하다 8월이다. 別白文二生 八月ㆍ230
환주가 서거했다는 소식을 듣다 聞還珠逝ㆍ232
다시 ‘해’ 자 운을 사용하여 곡하다 復用偕韻哭之ㆍ234
임공이 하서에게 만사한 율시를 전송한 이가 있으므로, 그 시에 차운하여 애도하다 有傳誦林公挽河西律者次韻悼之ㆍ240
대둔사의 중 도연의 시축 가운데 있는 시운에 차하다
次大芚僧道衍軸中韻ㆍ242
성진의 시축 가운데서 다시 차운하여 양에게 수답하다
性眞軸中復次韻酬梁ㆍ244
대학서의 후면에 제하여 소생 오에게 주다 題大學書後贈蘇生 澳ㆍ245
소생을 보내다 送蘇生ㆍ246
또 제하다 又題ㆍ247
홍천수의 수찰을 받들다 奉洪川守手札ㆍ248
백생이 질문을 했는데 답변을 할 수가 없으므로 문공의 일용자경시를 써서 주고, 인하여 감히 차운해서 그 밑에 쓰다 12월이다.
白生有問不能答書與文公日用自警詩仍敢次韻書其下 十二月ㆍ249
다시 놓아 버린 마음을 구하라는 뜻으로 시를 지어 주다
復以求放心爲贈ㆍ251
새집에 이사한 백생 창경에게 수답하여 부치다 酬寄白生彰卿新居ㆍ253
변사정, 소오 두 서생과 술을 마시고 취하여 쓰다 신유년 1월이다.
與邊 士貞 蘇 澳 兩生飮醉書 辛酉正月ㆍ259
변사정이 하직하면서 가르침을 청하다 邊將辭請敎ㆍ260
크게 취하여 초솔하게 써서 주다 大醉胡書以贈ㆍ262
돌아가는 소생을 보내다 送蘇生還ㆍ263
아우 무회에게 부치다 寄舍弟無悔ㆍ264
나, 김 두 서생이 내방하였으므로, 더불어 마시고 취하여 노래하다 羅金二生來訪相與醉歌ㆍ266
일재 선생을 받들어 생각하여 두 군자에게 보이다
奉懷一齋先生示二君子ㆍ268
제공의 변설 및 일재 선생의 말을 보고 느낌이 있어 그 후면에 제하다 觀諸公辯說及一齋先生語有感題其後ㆍ271
평소 자신에 대한 서술은 사람으로 하여금 가슴을 치며 탄복케 한다. 참으로 하다 말다 하는 것을 걱정거리로 삼을 줄 안다면 어느덧 도에 가까워진 것이다 平生歷敍令人ㆍ膺誠知作輟爲患便已近道矣ㆍ272
두 서생에게 문방의 세 벗을 선물로 주다 ㆍ二生三友ㆍ273
이별을 상심하다 傷別ㆍ274
혜원의 시에 차운하다 次韻慧遠ㆍ275
혜원에게 주어 작별하다 10월이다. 贈別遠公 十月ㆍ276
취하여 은 사미를 작별하다 醉別恩沙彌ㆍ278
민 점마에게 주다 贈閔點馬ㆍ279
꿈을 깨고 나서 울면서 쓰다 11월이다. 夢覺泣書 十一月ㆍ280
소백우에게서 《매월당집》 네 권을 빌려다 보고 느낌이 있어 쓰다
從蘇伯遇借梅月堂四卷有感書ㆍ281
또 제하여 소백우에게 주다 又題贈蘇ㆍ283
12월 8일 암회의 서신을 받고 슬픔을 감당할 수 없어 밤에 6운을 지어 쓰다 十二月八日得巖會書悲不自勝夜書六韻ㆍ284
빗접을 보내 준 사람에게 사례하다 謝人遺梳貼ㆍ287
집에 보낼 편지를 다 쓰고 나서 울면서 30운을 쓰다
家書書訖泣書三十韻ㆍ289
12월 23일 소생을 전송하여 괘전정에 이르다
十二月二十三日送蘇生至掛錢亭ㆍ294
차운하여 쌍계루에 부쳐 제하다 임술년 2월이다.
次韻寄題雙溪樓 壬戌二月ㆍ295
진도 군수가 문묘와 학당을 중신하고 이안제를 지냈다. 문 광문의 운에 차하다 主守新文廟學堂行移安祭次文廣文韻ㆍ297
광문이 약속한 날에 오지 않고 차운하여 보여 주므로, 내가 인하여 다시 차하다 廣文期不至次韻相示予仍復次ㆍ299
망아지를 관찰하면서 장난삼아 두 수를 읊다 觀駒ㆍ詠二首ㆍ300
고인의 운에 차하다 次古人韻ㆍ302
4월 5일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다 四月五夜不寐ㆍ304
중오일 밤에 읊다 重午夜吟ㆍ305
두모동 頭毛洞ㆍ306
승려 옥견이 시를 지어 달라고 몹시 졸랐다 僧玉堅苦索句ㆍ307
종이 문후차 서울로 떠났다 奴登候京ㆍ308
종이 돌아왔다 奴廻ㆍ309
또 종 숙개를 서울로 보냈는데 아직 돌아오지 않았다
又遣奴叔介入京未歸ㆍ310
종이 돌아왔다 奴廻ㆍ311
최 광문이 술을 가지고 내방하였으므로, 취중에 고인의 운에 함께 차하다 9월이다. 崔廣文携酒相訪醉中共次古韻 九月ㆍ312
기자가 진도 군수에게 부탁하여 쌀과 간장을 보내왔으므로, 시를 지어 사례하다 奇子屬主守相餉作詩謝之ㆍ314
문 광문의 운에 차하여 그에게 주어 작별하다 次文廣文韻贈別ㆍ315
또 종이를 선물로 주어 보냈다 10월이다. 又將紙ㆍ行 十月ㆍ317
차운하여 정 첨사의 돌아가는 행차에 받들어 올리고, 다시 한 편을 제하여 일재의 시자에게 전달하도록 당부하다 11월이다.
次韻奉呈鄭僉使廻軒復題一篇憑達一齋侍者 十一月ㆍ318
아우에게 부치다 12월이다. 寄弟 十二月ㆍ320
도사 김계에게 쪽지로 보내다 簡金都事 啓ㆍ321
재차 쪽지를 보내다 再簡ㆍ323
차운하여 홍응휴에게 주다 이름은 인지이다. 次韻贈洪應休 仁祉ㆍ325
취하여 정 상사에게 주다 계해년 1월이다. 醉贈鄭上舍 癸亥正月ㆍ326
매를 잃다 喪鷹ㆍ327
3월 3일에 취하여 문 광문에게 주다 三月三日醉贈文廣文ㆍ328
취하여 광문의 운에 차하다 醉次廣文韻ㆍ329
재차 차운하다 再次韻ㆍ330
밤에 옥계의 서신을 얻고 새벽에 일어나 앉아서 정일하기 어렵다는 말을 조용히 완미하고, 인하여 지난겨울에 일재에게 삼가 받들어 올린 시를 외면서 재차 그 운에 차하여 써서 옥계의 금당에 부치다 方夜得玉溪書曉坐潛玩精一之難仍記誦前冬敬奉一齋之作再次書寄玉溪琴堂ㆍ331
이순인의 시에 재차 차운하다 9월이다. 再次韻李純仁 九月ㆍ333
차운하여 서호정에 부쳐 제하다 次韻寄題西湖亭ㆍ334
문 광문에게서 《예기》를 찾다 從文廣文覓禮記ㆍ335
박배간에 대한 만사 갑자년 1월이다. 朴培幹挽詞 甲子正月ㆍ336
최를 보내다 送崔ㆍ339
외삼촌의 시자에게 받들어 올리다 2월이다. 奉呈舅氏侍 二月ㆍ340
지백과 처회를 보내 준 이 금산에게 사례하다 謝李錦山惠知白處晦ㆍ341
표범 가죽을 보내 준 김 방백의 시에 차운하다
次韻金方伯豹皮之餉ㆍ342
때를 기록하여 회포를 서술하다. 모두 100언이다. 이를 기록하여 외삼촌의 돌아가는 행차에 받들어 올리다 3월이다.
紀時敍懷凡一百言錄奉舅氏廻軒 三月ㆍ344
4경 밤에 닭이 울 제, 마침 돌아가신 빙군 선생이 서울로 들어가실 때 한 무명자가 던져 준 시가 기억나서 감탄하며 차운하다 4월이다. 四夜鷄鳴憶得先聘君先生入京時有無名子投詩感歎次韻 四月ㆍ346
이 승천 정 의 편지를 받고 절구로 사례하다
得李昇天 楨 書謝以絶句ㆍ348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여 심생 두에게 사례하다. 심생은 이 승천의 친구이다 復用前韻謝沈生豆昇天舊也ㆍ349
죽순을 읊다 5월이다. 詠ㆍ 五月ㆍ351
7월 1일에 울면서 쓰다 7월이다. 七月一日泣書 七月ㆍ359
감격하여 울면서 받들어 사례하여 김 참봉에게 주다
感泣奉謝贈金參奉ㆍ361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여 새벽에 쓰다 復次前韻曉書ㆍ362
8월 8일에 큰바람이 불다 8월이다. 八月八日大風 八月ㆍ364
윤, 이 두 친구에게 부치다 11월이다. 寄尹李二故人 十一月ㆍ365
송천이 정원에게 부쳐 제한 시에 차운하다 次韻松川寄題鄭遠ㆍ367
조카 대하에게 보이다 12월이다. 示從子大河 十二月ㆍ369
농서에게 거듭 쪽지를 보내다 을축년 1월이다. 重簡ㆍ西 乙丑正月ㆍ371
한윤종에게 주어 작별하다 3월이다. 贈別韓胤宗 三月ㆍ373
최훈의 시에 차운하다 次韻崔訓ㆍ374
이순인의 시에 차운하다 5월이다. 次韻李純仁 五月ㆍ376
성진의 시축 가운데서 이순인의 운에 차하다 性眞軸中次李韻ㆍ378
의선의 시축에 차운하다 次韻義禪軸ㆍ379
백암사의 장로 수인이 성진에게 부탁하여 시를 지어 달라고 요구하므로 차운하여 제하다 白巖長水印憑眞乞詩次韻題ㆍ380
외삼촌을 기다리다 7월이다. 奉待舅氏 七月ㆍ381
방, 백 두 서생의 시에 차운하다. 각각 한 편씩이다
次韻房白二生各一篇ㆍ382
다시 앞의 운을 사용하여 외삼촌에게 받들어 올려 나루터에서 작별을 고하다 復次前韻奉呈舅氏津頭敍別ㆍ385
일재의 운에 세 번째 화답하여 김 군자에게 부쳐 보이다
三和一齋韻寄示金君子ㆍ38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