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IFRS 중급회계 (7판)

IFRS 중급회계 (7판)

  • 신현걸
  • |
  • 탐진
  • |
  • 2019-01-02 출간
  • |
  • 1338페이지
  • |
  • 187 X 258 X 56 mm /2109g
  • |
  • ISBN 9788955405637
★★★★★ 평점(10/10) | 리뷰(4)
판매가

53,000원

즉시할인가

52,47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52,47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 리 말

원칙중심의 국제회계기준이라고 하여 세부 회계처리 지침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다양한 거래나 사건에 대해서 회계처리를 할 때 구체적인 회계처리 지침이 없는 경우에 개념체계에 입각하여 회계처리를 하는 것이 국제회계기준의 기본이라고 하겠다. 국제회계기준에 명시적인 회계처리 규정이 없는 경우 재무제표 작성자와 감사인 모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기업마다 회계처리에 대한 주장이 다르기도 하고, Big4로 불리는 대형 회계법인도 특정 회계 이슈에 대한 의견이 불일치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중급회계나 고급회계도 국제회계기준을 토대로 서술되지만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부분에 대한 해석은 저자마다 다를 수 있다. 다만, 저자가 책을 쓸 때 자신의 opinion과 국제회계기준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는 fact를 구분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

 

Fact를 자신의 opinion인 것처럼 서술하면 표절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본서는 2009년 초에 국제회계기준을 반영한 중급회계와 고급회계를 가장 먼저 출간했을 때부터 국제회계기준의 명시적 언급을 인용할 때 해당 기준서의 문단 번호를 표시해 오고 있다. 그런데 fact를 자신의 opinion인 것처럼 서술하는 것보다 더 심각한 것은 자신의 opinion을 fact인 것처럼 서술하는 것이다. 국제회계기준에서 아무런 명시적 언급을 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회계처리해야 한다’는 식으로 서술하는 것은 매우 우려스럽다. 특히 중급회계나 고급회계의 독자 중 상당수가 공인회계사나 세무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인데, 저자의 opinion을 fact인 것처럼 서술하면 국제회계기준에 명시적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회계처리를 반드시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이 서술된 책에 기초하여 공인회계사나 세무사 시험이 출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본서는 2009년에 출간된 초판부터 다양한 견해가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저자의 견해로는’ 또는 ‘저자의 판단으로는’이라는 식으로 저자의 opinion임을 분명하게 밝혀오고 있다. 

또 하나 우려되는 것은 특정 회계처리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중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슈화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점이다. 매우 방대한 국제회계기준의 내용을 학교 교육을 통해 모두 전달하기는 어렵다. 학교에서의 회계 교육은 학생들에게 더 높은 수준의 회계 이슈를 분석할 수 있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판단능력을 가르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정말로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회계를 진지하게 공부하는 학생에게 중요한 부분과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분별력을 낮추고, 공인회계사나 세무사 시험 수험생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이번 개정판에도 지금까지 해 오던 본서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부 개정된 국제회계기준의 내용을 반영하고 미진했던 종전의 내용을 개선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번 개정 7판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회계기준이 적용되는 범위를 각 장의 초반에 서술함으로써 특정 거래나 사건에 대해서 어떤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는지, 그리고 특정 국제회계기준의 회계처리 대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2018년에 개정된 국제회계기준의 내용을 추가하였다. 여기에는 기준서 제1023호(차입원가)를 일부 개정하여 특정목적차입금을 사용한 자산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그 이후부터 특정목적차입금을 일반목적차입금에 포함시켜 일반목적차입금의 자본화이자비용을 계산하도록 규정하였으며(제4장), 리스기준 개정으로 영향을 받는 투자부동산의 회계처리 내용을 수정하였고(제6장), 부(-)의 보상을 수반하는 중도상환특성이 있는 채무상품에 대한 개정된 내용을 소개하였다(제8장). 또한 금융부채의 조건변경이 제거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의 회계처리에 대해서 개정된 내용을 반영하였고(제9장), 보고기간 중 확정급여제도의 개정 등 사건이 있는 경우 사건발생일의 회계처리와 그 이후의 회계처리를 일관성 있게 변경한 부분을 설명하였다(제13장).

셋째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 편집되어 있는 객관식 문제를 최근의 출제 경향을 반영하여 상당부분 교체하였다. 

넷째, 제12장 수익부분과 제18장 리스부분은 종전 6판의 내용을 대폭 개선하여 다양한 예와 예제, 그리고 설명을 추가하였다. 이 외에도 설명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많은 부분을 보완하였다. 

본서는 대학 교재나 공인회계사 및 세무사 시험의 수험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국제회계기준을 실무에서 적용해야 하는 기업의 회계담당자를 위한 참고서의 역할도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 교재로 본서를 사용하는 교수나 강사들께는 별도의 강의 파일을 제공한다.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들의 끊임없는 성원과 조언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본서를 발전시켜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끝으로 본서의 출간에 힘써주신 도서출판 탐진의 최재범 사장님과 편집부 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9년 1월 저자 일동

※ 본서의 연습문제에 대한 해답과 해설은 도서출판 탐진의 홈페이지(www.tamjin.c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목차


PART 1 재무회계 일반
Chapter 1 재무보고와 국제회계기준
1. 재무회계의 의의 4
1.1 회계의 정의 / 4
1.2 재무보고 / 4
1.3 재무제표와 회계감사 / 7
2. 재무보고의 규제 9
2.1 자발적 재무보고의 주장 / 9
2.2 강제적 재무보고의 주장 / 10
3. 재무회계정보의 기능 11
3.1 역선택 / 11
3.2 도덕적 해이 / 13
4. 회계기준 14
4.1 회계기준의 필요성 / 14
4.2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 14
4.3 우리나라 회계기준의 제정 및 구조 / 16
5. 국제회계기준 19
5.1 국제회계기준의 필요성 / 19
5.2 국제회계기준의 제정과 도입 / 21
5.3 국제회계기준의 주요 특징 / 24
5.4 우리나라의 국제회계기준 도입 및 적용 / 25
연습문제 35
Chapter 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1. 개념체계의 정립 38
2. 개념체계의 구조 39
3. 개념체계의 목적 40
4. 일반목적재무보고 41
4.1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 41
4.2 일반목적재무보고서가 제공하는 정보 / 43
5.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47
5.1 근본적 질적 특성 / 48
5.2 보강적 질적 특성 / 51
5.3 유용한 재무보고에 대한 원가 제약 / 54
6. 기본가정 55
7. 재무제표의 요소 56
7.1 재무상태 / 56
7.2 성과 / 61
8.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 63
8.1 인식기준 / 63
8.2 자산의 인식 / 65
8.3 부채의 인식 / 65
8.4 수익의 인식 / 66
8.5 비용의 인식 / 66
9.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 67
10. 자본 및 자본유지의 개념 69
10.1 자본의 개념 / 69
10.2 자본유지개념과 이익의 결정 / 70
10.3 가격변동 영향의 처리 / 71
11.현재가치 측정기준 75
11.1 화폐의 시간가치의 의의 / 75
11.2 단리와 복리의 이자계산 / 76
11.3 단순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 77
11.4 연금(annuity)의 현재가치 / 79
11.5 회계처리에의 적용 / 83
연습문제 94
Chapter 3 재무제표 표시
1. 재무제표의 의의 102
1.1 재무제표의 목적과 전체 재무제표 / 102
1.2 일반사항 / 103
1.3 재무제표의 식별 / 109
2. 재무상태표 110
2.1 재무상태표의 의의와 양식 / 110
2.2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정보 / 111
2.3 자산과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구분 / 113
2.4 재무상태표 또는 주석에 표시되는 정보 / 115
3. 포괄손익계산서 116
3.1 포괄손익계산서의 의의 / 116
3.2 포괄손익계산서의 표시 / 116
3.3 비용의 분류 / 123
4. 자본변동표 126
5. 현금흐름표 126
6. 주 석 126
연습문제 140

PART 2 재무상태표
Chapter 4 유형자산
1. 유형자산의 의의 148
1.1 유형자산의 정의 및 분류 / 148
1.2 기준서 제1016호의 적용 범위 / 149
2. 유형자산의 인식 150
2.1 인식기준 / 150
2.2 최초 원가 / 152
2.3 후속 원가 / 152
3. 인식시점의 측정 154
3.1 원가의 구성요소 / 154
3.2 원가의 측정 / 163
4. 차입원가의 자본화 178
4.1 차입원가 자본화 여부에 대한 주장 / 178
4.2 차입원가 자본화의 개시, 중단 및 종료 / 180
4.3 자본화가능차입원가의 인식 / 181
5. 감가상각 195
5.1 감가상각의 의의 / 195
5.2 감가상각의 기본요소 / 198
5.3 회계기간별 감가상각비의 계산 / 201
6. 재평가모형 208
6.1 재평가모형의 선택 / 208
6.2 재평가모형의 회계처리 / 209
7. 유형자산의 손상 221
7.1 손상의 의의와 적용 범위 / 221
7.2 손상차손의 인식과정 / 222
7.3 원가모형 적용 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 / 223
7.4 재평가모형 적용 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 / 226
7.5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의
인식 / 231
7.6 손상차손의 인식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 235
8. 유형자산의 제거 235
8.1 유형자산 제거시 회계처리 / 235
8.2 매각예정비유동자산으로의 대체 / 237
8.3 임대목적 보유 유형자산의 판매 / 238
연습문제 244
Chapter 5 투자부동산과 생물자산
1. 투자부동산 256
1.1 투자부동산의 의의 / 256
1.2 기준서 제1040호의 적용범위 / 257
1.3 투자부동산의 범위 및 분류 / 257
1.4 투자부동산의 인식 및 측정 / 260
1.5 인식 후의 측정 / 264
1.6 계정대체 / 269
1.7 제거 / 275
2. 생물자산 276
2.1 생물자산과 수확물의 의의 / 276
2.2 기준서 제1041호의 적용범위 / 277
2.3 공정가치 측정에 대한 논쟁 / 277
2.4 인식과 측정 / 278
2.5 순공정가치 측정의 예외 / 283
2.6 판매계약 / 284
2.7 생산용식물과 생산용식물에서 자라는
생산물 / 284
연습문제 289
Chapter 6 무형자산
1. 무형자산의 의의 295
1.1 무형자산의 정의와 무형자산의 예 / 296
1.2 기준서 제1038호의 적용 범위 / 296
2. 무형자산으로 정의되기 위한 조건 297
2.1 식별가능성 / 297
2.2 자원에 대한 통제 / 299
2.3 미래경제적효익의 존재 / 300
3. 무형자산의 인식과 측정 301
3.1 개별 취득 / 302
3.2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 304
3.3 정부보조에 의한 취득 / 307
3.4 자산의 교환 / 307
3.5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 / 310
3.6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 311
3.7 웹 사이트 원가(web site costs) / 315
4. 비용의 인식 317
5. 무형자산의 상각 318
5.1 내용연수 / 318
5.2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 / 319
5.3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 321
6. 원가모형과 재평가모형 323
6.1 재평가모형의 적용 / 324
6.2 재평가의 회계처리 / 324
7. 무형자산의 손상차손 및 손상차손환입 329
8. 무형자산의 폐기와 처분 335
연습문제 344
Chapter 7 재고자산
1. 재고자산의 의의 350
1.1 재고자산의 정의와 다른 자산과의 구분 / 350
1.2 기준서 제1002호의 적용 범위 / 351
2. 재고자산의 원가배분과 기장방법 353
2.1 재고자산의 원가배분 / 353
2.2 특이한 기장방법의 필요성 / 354
2.3 재고자산 거래의 장부기록방법 / 355
3.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359
3.1 매입원가 / 359
3.2 전환원가 / 360
3.3 기타 원가 / 361
3.4 기타의 상황에서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362
3.5 원가측정방법 / 363
4. 재고자산의 인식시점 364
5.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 367
5.1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필요성 / 367
5.2 단위원가 결정방법의 종류 / 368
5.3 단위원가 결정방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 373
6. 저가법 평가 374
6.1 재고자산평가손실의 인식 / 374
6.2 순실현가능가치의 추정 / 376
6.3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 / 376
6.4 저가법에 대한 비판 / 377
6.5 재고자산감모손실과 재고자산평가손실 / 382
7. 소매재고법 386
7.1 소매재고법의 의의 / 386
7.2 소매재고법의 적용절차 / 386
7.3 저가기준을 적용한 소매재고법 / 390
7.4 특수항목이 있는 소매재고법 / 393
8. 매출총이익법 395
8.1 매출총이익법의 의의 및 적용방법 / 395
8.2 매출총이익법의 장점과 단점 / 397
연습문제 398
Chapter 8 금융자산
1. 금융자산의 의의 406
1.1 금융자산의 정의 / 406
1.2 기준서 제1032호와 제1109호의 적용 범위 / 409
2. 금융자산의 분류 410
2.1 사업모형 및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기초한 분류 / 410
2.2 FVOCI 선택 금융자산 / 414
2.3 FVPL 지정 / 414
3. 금융자산의 측정 415
3.1 최초 측정 / 415
3.2 채무상품의 최초 측정 / 419
3.3 후속 측정 / 423
3.4 금융자산의 처분에 대한 추가 논의 / 436
3.5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 / 438
3.6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 수령 / 439
4. 손상 439
4.1 손상의 의의 / 439
4.2 손상차손 인식 대상 금융자산 / 440
4.3 기대신용손실 / 441
4.4 손실충당금의 회계처리 / 445
4.5 FVOCI 금융자산의 손상차손 회계처리 / 447
4.6 손상차손을 인식한 금융자산에 대한
이자수익의 인식 / 450
4.7 계약상 현금흐름의 변경(modification) / 456
5. 금융자산의 재분류 458
6. 금융자산의 제거 462
6.1 금융자산 제거의 판단 순서 / 462
6.2 양도자산에 대한 지속적 관여 / 469
6.3 양도자산에 대한 관리용역 제공 / 469
6.4 담보물의 회계처리 / 470
연습문제 495
Chapter 9 금융부채
1. 금융부채의 의의 501
1.1 금융자산을 인도하거나 잠재적으로 불리한
조건으로 교환할 계약상 의무 / 502
1.2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되는 계약 / 503
1.3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구분에 대한 추가
고려 / 506
1.4 상환전환우선주 / 508
1.5 신종자본증권(영구채) / 509
2. 금융부채의 분류 512
3. 금융부채의 최초 측정 512
3.1 공정가치 측정 / 512
3.2 사채의 최초 측정 / 514
4. 금융부채의 후속 측정 522
4.1 상각후원가로 후속 측정하는 금융부채 / 522
4.2 상각후원가로 후속 측정하지 않는
금융부채 / 528
4.3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FVPL) 항목으로
지정 / 535
5. 재분류 537
6. 금융부채의 제거 537
6.1 금융부채 제거의 회계처리 / 537
6.2 금융부채의 조건 변경 / 537
6.3 사채의 조기상환 / 540
6.4 자기사채의 취득 / 544
6.5 지분상품 발행에 의한 금융부채의 소멸 / 545
7.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상환우선주 546
8. 복합금융상품 - 전환사채 548
8.1 전환사채의 의의 / 548
8.2 주식전환옵션의 분류 / 550
8.3 전환사채의 발행 및 후속 측정 / 551
8.4 전환사채의 전환 / 560
8.5 전환사채의 조기상환 또는 재매입 / 565
8.6 전환조건 변경(유도전환) / 567
9. 복합금융상품 - 신주인수권부사채 568
9.1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의의 / 568
9.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569
9.3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이자비용 계산 / 570
9.4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 / 571
9.5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572
연습문제 582
Chapter 10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1. 충당부채 594
1.1 충당부채의 의의 / 594
1.2 기준서 제1037호의 적용 범위 / 594
1.3 충당부채의 인식조건 / 595
2. 우발부채와 우발자산 598
2.1 우발부채 / 598
2.2 우발자산 / 599
3. 충당부채의 측정 603
3.1 최선의 추정치 / 603
3.2 현재가치 / 605
3.3 기타 고려사항 / 606
4. 충당부채의 변제 및 사용 607
5. 인식과 측정기준의 적용 609
5.1 미래의 예상 영업손실 / 609
5.2 손실부담계약 / 609
5.3 구조조정 / 611
연습문제 616
Chapter 11 지분상품과 자본
1. 지분상품의 의의 622
1.1 지분상품의 정의 및 평가 / 622
1.2 지분상품의 재무상태표 표시 / 622
2. 자본금 623
2.1 자본금의 의의 / 623
2.2 종류주식 / 624
2.3 자본금의 증가거래 / 626
2.4 자본금의 감소거래 / 633
3. 자본잉여금 639
3.1 자본잉여금의 의의 / 639
3.2 자본잉여금의 종류 및 증가거래 / 639
3.3 자본잉여금의 감소거래 / 640
4. 자본조정 642
4.1 자기주식 / 642
4.2 주식할인발행차금 / 647
4.3 자기주식처분손실, 감자차손 / 647
4.4 미교부주식배당금 / 648
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648
6. 이익잉여금 650
6.1 이익잉여금의 의의 / 650
6.2 이익잉여금의 종류 / 650
6.3 이익잉여금의 처분 / 652
6.4 결손금의 처리 / 655
6.5 배당금의 계산 및 배당의 회계처리 / 657
7. 자본변동표 665
연습문제 671

PART 3 포괄손익계산서
Chapter 1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수익이란? 679
1.1 수익의 의의 / 680
1.2 기준서 제1115호의 적용 범위 / 681
2. 수익의 인식 과정 681
2.1 고객과의 계약 식별(단계 1) / 684
2.2 수행의무의 식별(단계 2) / 688
2.3 거래가격의 산정(단계 3) / 694
2.4 거래가격의 수행의무 배분(단계 4) / 714
2.5 수행의무의 이행 시기 판단 및 수익의
인식(단계 5) / 722
3. 계약변경 737
3.1 계약변경의 의의 / 737
3.2 계약변경의 회계처리 / 737
3.3 계약 범위 축소 및 거래가격 하락의
계약변경 / 747
3.4 계약변경과 거래가격의 변동 / 748
4. 기타의 고려사항 749
4.1 계약원가 / 749
4.2 계약자산, 수취채권 및 계약부채 / 752
4.3 보증 / 755
4.4 라이선싱 / 758
4.5 재매입약정 / 765
4.6 기업은 본인인가, 대리인인가? / 770
4.7 추가 재화나 용역에 대한 고객의 선택권 / 771
4.8 고객이 행사하지 아니한 권리 / 775
4.9 환불되지 않는 선수수수료 / 777
4.10 위탁약정 / 778
4.11 미인도청구약정 / 779
연습문제 810

Chapter 13 종업원급여
1. 종업원급여의 의의 819
2. 단기종업원급여 820
2.1 단기종업원급여의 범위 / 820
2.2 인식과 측정 / 821
3. 퇴직급여 824
3.1 퇴직급여의 의의와 퇴직급여제도의 종류 / 824
3.2 확정기여제도 / 825
3.3 확정급여제도 / 827
4. 기타장기종업원급여 849
4.1 기타장기종업원급여의 범위 / 849
4.2 인식과 측정 / 849
5. 해고급여 850
5.1 해고급여의 범위 / 850
5.2 해고급여의 인식과 측정 / 850
연습문제 851
Chapter 14 주식기준보상
1. 주식기준보상거래 860
1.1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의의 / 860
1.2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종류 / 861
2.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862
2.1 인식 / 862
2.2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측정 / 863
2.3 가득조건과 보상비용의 인식 / 864
2.4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 866
2.5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 874
2.6 부여한 지분상품의 조건변경, 취소 및
중도청산 / 878
2.7 주식선택권의 재무제표 분류 / 881
3.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882
3.1 보상비용과 부채의 인식 / 882
3.2 보상비용과 부채 인식에 대한 추가 논의 / 886
4. 선택형 주식기준보상거래 887
4.1 거래상대방이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 887
4.2 기업이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 / 888
연습문제 901
Chapter 15 법인세
1. 법인세회계의 의의 908
2. 법인세회계의 필요성 909
2.1 과세소득의 산출과정 / 909
2.2 이연법인세 인식의 필요성 / 911
3. 일시적차이와 이연법인세 915
3.1 일시적차이의 발생 및 소멸 / 915
3.2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의 인식 / 918
4. 법인세비용의 인식 920
4.1 당기법인세 / 920
4.2 이연법인세 / 921
5. 이연법인세의 인식의 추가 고려사항 928
5.1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 인식의 예외 / 928
5.2 이연법인세자산 인식의 조건 / 932
5.3 이연법인세 변동의 인식 / 934
6.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 938
6.1 왜 당기손익 이외의 계정으로 인식하는가? / 938
6.2 당기손익 이외의 항목으로 인식하는
이연법인세 / 940
7. 재무제표 표시 949
7.1 재무상태표의 당기법인세자산ㆍ부채와
이연법인세자산ㆍ부채의 표시 / 949
7.2 포괄손익계산서의 법인세비용의 표시 / 950
연습문제 956
Chapter 16 주당이익
1. 주당이익의 의의 964
2. 기본주당이익 965
2.1 보통주 귀속 당기순손익(분자 계산) / 966
2.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분모 계산) / 969
2.3 잠재적보통주의 전환시 기본주당이익 / 978
3. 희석주당이익 980
3.1 희석주당이익의 의의 / 980
3.2 보통주 귀속 당기순손익의
조정(분자 조정) / 981
3.3 조정주식수의 계산(분모 조정) / 982
3.4 잠재적보통주가 당기 중에 보통주로
전환된 경우 희석주당이익의 계산 / 987

3.5 여러 종류의 잠재적보통주를 발행한 경우
희석주당이익의 계산 / 992
4. 희석주당이익 계산시 추가 고려사항 995
4.1 반희석 여부의 판단 / 995
4.2 주식기준보상 / 997
4.3 조건부발행보통주 / 999
5. 소급수정 1001
6. 재무제표 표시 1003
연습문제 1009

PART 4 기타 재무보고
Chapter 17 환율변동효과
1. 환율변동효과 1018
1.1 환율변동효과의 의의와 회계처리의 개요 / 1018
1.2 기준서 제1021호의 적용 범위 / 1018
2. 기능통화, 외화 및 표시통화 1019
2.1 기능통화, 외화 및 표시통화의 정의 / 1019
2.2 기능통화의 결정 / 1020
3. 기능통화에 의한 외화거래의 보고 1022
3.1 외화거래의 최초 인식 / 1022
3.2 보고기간 말의 외화환산 / 1023
3.3 결제시점의 외환차이 / 1026
3.4 외화선급금 또는 외화선수금의
회계처리(해석서 제2122호) / 1032
3.5 외환차이에 대한 추가 논의 / 1033
4. 표시통화로의 환산 1037
4.1 표시통화로의 환산의 필요성 / 1037
4.2 환산방법 / 1037
4.3 국내 기업 재무제표의 표시통화 환산 / 1042
4.4 표시통화의 변경 / 1044
연습문제 1055
Chapter 18 리 스
1. 리스의 의의 1060
1.1 리스의 특징과 이행 절차 / 1060
1.2 리스의 실질 / 1061
1.3 기준서 제1116호의 적용 범위 / 1062
2. 리스의 인식면제, 식별 및 리스기간 1062
2.1 인식 면제 / 1062
2.2 리스의 식별 / 1063
2.3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의 분리 / 1066
2.4 리스기간 / 1067
3.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1068
3.1 최초 측정 / 1068
3.2 후속 측정 / 1078
3.3 재무제표 표시 / 1085
3.4 리스부채의 재평가 / 1086
3.5 리스변경 / 1098
4. 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1107
4.1 리스의 분류 / 1107
4.2 금융리스 회계처리를 위한 기본 개념 / 1111
4.3 금융리스의 회계처리 / 1117
4.4 운용리스의 회계처리 / 1127
4.5 리스변경 / 1129
5. 판매후리스 거래 1137
5.1 판매후리스 거래의 의의 / 1137
5.2 판매후리스 거래의 회계처리 / 1138
6. 전대리스 1145
6.1 전대리스의 의의 / 1145
6.2 중간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 1145
연습문제 1149
Chapter 19 회계변경과 오류수정
1. 회계변경 1158
1.1 회계정책의 선택 및 적용 / 1158
1.2 회계변경의 종류 / 1159
1.3 회계변경의 회계처리 / 1163
2. 오류수정 1172
2.1 오류의 의의 및 유형 / 1172
2.2 오류수정의 회계처리 / 1177
2.3 전기오류수정분개와 비교재무제표
재작성의 의미 / 1179
2.4 경영자의 이익조정 유인 / 1184
? 연습문제 1195
Chapter 20 현금흐름표
1. 현금흐름표의 의의 및 필요성 1202
2. 현금흐름표의 형식 1202
3.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요소 1205
4. 현금흐름 유형의 구분 1206
4.1 영업활동 현금흐름 / 1206
4.2 투자활동 현금흐름 / 1207
4.3 재무활동 현금흐름 / 1209
4.4 현금흐름의 활동구분에서 주의해야 할
항목 / 1210
4.5 비현금거래 / 1212
5. 현금흐름표의 작성 1213
5.1 영업활동 현금흐름 / 1213
5.2 투자활동 현금흐름 / 1230
5.3 재무활동 현금흐름 / 1233
5.4 외화현금흐름 / 1239
6. 간접법 작성시 가감항목에 대한 고려사항 1245
7.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및 한계점 1257
7.1 현금흐름표의 유용성 / 1257
7.2 현금흐름표의 한계점 / 1258
7.3 연도별 현금흐름의 구성변동과
당기순손익과의 비교 / 1258
연습문제 1267
Chapter 21 기타의 재무보고
1. 정부보조금 1276
1.1 정부보조금의 의의 / 1276
1.2 정부보조금의 인식 및 측정 / 1277
1.3 정부보조금의 회계처리 / 1277
1.4 정부지원 / 1283
2.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 1284
2.1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1284
2.2 중단영업 / 1290
3. 탐사평가자산 1293
3.1 탐사평가자산의 의의 / 1293
3.2 탐사평가자산의 회계처리 / 1295
4. 보고기간후사건 1299
4.1 보고기간후사건의 의의 / 1299
4.2 보고기간후사건의 유형 및 회계처리 / 1230
4.3 기타의 고려사항 / 1301
5. 중간재무보고 1302
5.1 중간재무보고의 필요성 / 1302
5.2 중간재무보고서의 내용 / 1303
5.3 인식과 측정 / 1305
5.4 이전에 보고된 중간기간에 대한 재작성 / 1306
6. 영업부문 1307
6.1 영업부문 공시의 필요성 / 1307
6.2 영업부문과 보고부문 / 1307
6.3 측정과 공시 / 1309
7. 특수관계자 공시 1310
7.1 특수관계자 공시의 목적 / 1310
7.2 특수관계자의 범위 / 1311
7.3 공시 / 1312
연습문제 1314
★ 부록-현가표 1325
★ 찾아보기 133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