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급 일러스트레이터 앗쭈’는 페이스북 담벼락에 [1일 1그림] 사진첩을 만들었다. 2018년 1월 3일이었다. ‘친구만 공개’로 설정한 이 사진첩엔 정말로 그날 그린 그림 한 장씩이 매일 업로드되었다. 그림의 퀄리티는 들쭉날쭉이었지만, 어쨌든 매일매일 그림이 올라왔다. 앗쭈는 해상도까지 별로인 아이패드 미니로 대충 찍은 그림 사진을 올렸고 여기에 페친들이 댓글을 달기 시작했다. 그 댓글에 댓글이 이어지며, 다음 날의 그림을 위한 양식이 되었다. 그렇게 1년이 다 되어가니 삼백 장이 넘는 그림 사진과 댓글들이 주렁 달린 페이스북 사진첩이 생겼다. 그렇지만 그건 여전히 페친, ‘친구만 공개’이다. 페친 한둘이 그림책 발간하라는 댓글을 달기 시작했고, 한 페친은 모 미술관 큐레이터께 기별하여 ‘이웃집 예술가’라는 전시기획에 참여하라고 선을 댔다. 그저 그림을 그렸고 페이스북에 올렸을 뿐인데, 전시가 되고 책이 되었다. 2018년 매일매일 했던 일이 만들어준 근육이 놀라왔다. 사소한 것들이라도 차곡차곡 겹쳐지면 어떤 대단한 것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고맙다. 다른 시간(매일매일)과 공간(sns)이 준 선물을 냉큼 받았다. 이영희 그리고 페친들이 함께 쓴 책이다.
‘쉘위~ 그림’
매일 밥 먹듯 하는 일이 우리를 살게 한다. 그렇게 생기는 근육이 삶을 지탱해줄 테니까 말이다. 아이들이 스스럼없이 그림을 그리면서 자기를 표현하고 일상의 시간을 충만하게 채워가듯, 어른이 된 아이인 우리들도 잃어버린 그 능력, 아니 아직 몸속 어딘가에 숨겨져 잊힌 채로 있는 그 감각을 되찾아 다시 그림 그리는 삶을 살자고 한다.
마음만 바꾼다면 그린다는 일이 내게 올 수 있다. 나를 위로하고 나를 기쁘게 하는 그림은 잘 그린 그림과는 다르다. 평가받는 그림이 아니라, 내가 좋은 그림을 그리자. 마음담긴 손으로 ‘나’의 그림을 그리는 매일의 시간으로 이끌어주는 아주 사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