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문학사 들여다보기 1
1.1. 문학사 역사 철학사 1
1.2. 문학사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 4
1.3. 시대구분 13
2. 원시문학 23
2.1. 원시문학 1기: 구석기시대 23
2.2. 원시문학 2기: 신석기시대 26
3. 고대문학 31
3.1. 고대문학 1기: 고조선시대 31
3.2. 고대문학 2기: 고조선 이후~삼국시대 전기 34
3.3.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45
4. 중세전기문학 51
4.1. 중세전기문학 1기: 삼국시대 후기 및 남북국시대 52
4.1.1. 한문학 53
4.1.2. 삼국의 노래와 향가 61
4.1.3. 설화 78
4.1.4. 연극 및 공연예술 82
4.2. 중세전기문학 2기: 고려시대 전기 87
4.2.1. 한문학 87
4.2.2. 향가와 항가계 가요 97
4.2.3. 설화 106
4.2.4. 연극 및 공연예술 114
5. 중세후기문학 116
5.1. 중세후기문학 1기: 고려시대 후기 116
5.1.1. 한문학 116
5.1.1.1. 한시 117
5.1.1.2. 한문 산문 133
5.1.2. 교술 138
5.1.2.1. 경기체가 138
5.1.2.2. 가사 147
5.1.2.3. 가전체 151
5.1.2.4. 비평 156
5.1.3. 서정 160
5.1.3.1. 속악가사 160
5.1.3.2. 소악부(小樂府) 172
5.1.3.3. 시조 176
5.1.4. 서사 182
5.1.5. 연극 및 공연예술 187
5.2. 중세후기문학 2기: 조선시대 전기 191
5.2.1. 한문학 192
5.2.1.1. 한시 192
5.2.1.2. 한문 산문 210
5.2.2. 교술 216
5.2.2.1. 악장 216
5.2.2.2. 경기체가 226
5.2.2.3. 가사 232
5.2.2.4. 가전체와 몽유록 237
5.2.2.5. 비평 244
5.2.2.6. 편지, 제문, 기타 255
5.2.3. 시조 260
5.2.4. 서사 270
5.2.5. 연극 및 공연예술 275
6.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282
6.1.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1기: 조선시대 후기1(1592~ ) 282
6.1.1. 한문학 283
6.1.1.1. 한시 283
6.1.1.2. 한문 산문 307
6.1.2. 교술 319
6.1.2.1. 가사와 잡가 320
6.1.2.2. 가전체와 몽유록 340
6.1.2.3. 비평 348
6.1.2.4. 편지, 제문, 일기, 기타 362
6.1.3. 시조와 사설시조 373
6.1.4. 서사 389
6.1.5. 판소리와 탈춤 425
6.2.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2기: 조선시대 후기2(1860~ ) 432
6.2.1. 한문학 432
6.2.1.1. 한시 432
6.2.1.2. 한문 산문 440
6.2.2. 교술 444
6.2.2.1. 가사와 창가 445
6.2.2.2. 가전체와 몽유록 455
6.2.2.3. 비평 459
6.2.2.4. 편지, 제문, 기타 467
6.2.3. 시조와 신시(新詩) 470
6.2.4. 서사 475
6.2.5. 판소리와 신파극 484
7. 근 현대문학 490
7.1. 근·현대문학 1기: 1919~1945년 491
7.1.1. 한문학 491
7.1.2. 교술 496
7.1.2.1. 가사 496
7.1.2.2. 가전체와 몽유록 497
7.1.1.3. 비평 499
7.1.3. 시조와 자유시 503
7.1.4. 소설 516
7.1.5. 희곡 535
7.2. 근·현대문학 2기: 1945년 광복 이후 540
7.2.1. 비평과 수필 542
7.2.2. 시조와 자유시 550
7.2.3. 소설 568
7.2.4. 희곡 587
참고문헌 594
부록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학 작품별 출제 현황 601
찾아보기 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