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2012년《경남문학》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조경석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첫 시집 『이면의 이면』을 통해 “한국적인 것이라고 부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이 가득하다”라는 평가를 받은 조경석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은 ‘생의 솟구침’을 새롭게 표현하며, ‘몸과 마음’이라는 영원히 기우뚱대는 시소에 올라탄다.
해설을 쓴 백인덕 시인은 “조경석 시인은 활달함과 진지함 사이에서, 아니 그 틈을 비집고 변함없이 ‘생의’를 빚어 ‘간헐천’인 양 쏘아 올릴 것”이라고 표현한다. 다시 말해, 이 ‘달콤한 시련’을 기꺼이 즐기며 살아가겠다는 시인의 완연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이 의기양양한 언어의 향연보다는, 시인이 새롭게 발명한 자세처럼 읽히는 것은 이 시집이 가진 진중함과 그 안에서 다시금 새롭게 빛나는 ‘시인의 별’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