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설문은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는 글이지만 시험 형식의 논술은 그 전에 주제의 기본 정보 파악과 함께 기초 개념과 지식의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학 개념의 이해와 암기를 위해 기본 내용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에 대해서는 본문 양옆에 각주 형식의 해설을 달아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각 영역은 전문가들의 집필을 근간으로 대학교재들의 내용을 비교·분석하면서 정리하였으며, 사범대학의 교육과정과 동일하게 편재하였다.
- 2013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 중등교원임용시험 교육학 논술형 문항에 어떤 문제가 나왔는지 파악하기 위해 앞쪽에 ‘한눈에 살펴보는 교육학논술 출제경향’을 싣고, 본문에서도 해당 부분에 언급하였다.
- 아직 교육학 논술에 대한 기출문제가 많지 않은 이유로 본문 중간 <탐구문제>란에 ‘5급 행정고등고시 교육학’ 문제를 소개하였으며, 아울러 ‘2013~2019학년도 중등교원임용시험 교육학’ 문제를 부록에 수록하였다.
중등교원임용시험의 교육학 논술 시험 대비에 부합하는 교재를 만들기 위한 수많은 고민 끝에, 논술의 핵심은 논설문을 쓰는 기술보다 논설문에 담길 내용, 즉 자신의 주장을 얼마나 논리적이며 합리적으로 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 생각했다. 무엇보다 기본 개념에 충실하게 다가갈 필요가 있음을 직시하고 이를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기본 개념이나 이론이 학교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일지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