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적폐 청산과 신뢰 회복을 위해 미디어는 지금 그리고 앞으로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전환기를 맞이한 지금 우리 사회에서 요구되는 기준과 원리는 무엇인가?
∙언론 자유는 고립적 가치가 아니며 모든 사회 모든 시대를 관통하여 동일한 의미일 수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들이 분명히 실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실천이 무시된 결과 언론 자유가 위협받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와 사회의 도덕적 관계에 대한 진지하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_ HutchinsReport, 1947
이 책은 미디어의 새로운 책임과 역할은 무엇이며 그 기준과 원리는 무엇인지에 천착한 정책(policy) 연구다. 규범론이자 제도론이기도 하다. 논의의 핵심 매개항은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과 어카운터빌리티(accountability)다. 두 개념의 본질과 속성,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지 살펴 보고, 미디어 규범의 수정보완 및 재생산을 시도했다.
허친스 보고서(1947), 로스 보고서(1949), 애넌 보고서(1977)가 공표된 당시 미디어를 둘러싸고 제기되었던 사회적 우려와 각종 문제제기들, 위기 극복과 신뢰 회복을 위해 제시된 처방과 해법들 속에서 현대적 시사점과 통찰을 발견할 수 있다. 그 핵심은 언론 자유의 패러다임을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특권’으로 인식하는 소극적 자유에서 ‘자유롭고 책임있는 언론’, ‘자유롭고 어카운터블한 언론’을 지향하는 적극적 자유로 전환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