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작가들의 길

작가들의 길

  • 인천작가회의(엮음)
  • |
  • 삶창
  • |
  • 2018-10-05 출간
  • |
  • 692페이지
  • |
  • 158 X 222 X 46 mm /1045g
  • |
  • ISBN 9788966551019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서사의 여행자들

『작가들의 길』의 산문을 읽으면서 절실한 글쓰기,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 진지한 작가들을 만났다. 그들은 삶에 탐조등을 비추며, 서사의 여행을 떠나고 있었다. 결이 다른 작품들이 모여, 문학이 존재하는 이유를 서사적 여행으로 증명해냈다. 인천작가회의와 20여 년 동안 인연을 만들어온 작가들이 ‘쓰는 자’로서의 자기 위치를 확인하는 작품들이 여기에 실려 있다. 『작가들의 길』을 통해 우리 시대 작가들은 문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독자와 소통하려 하는가를 가늠할 수 있었다. 작가들은 문학을 향한 질문들뿐만 아니라, 세상을 향한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 그 질문은 ‘우리는 어디로 향해 가는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그리고 우리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있는가’이다.

_오창은의 해설, 「삶의 길을 걷는 서사의 여행자들―인천작가회의 창립 20주년 기념 문집에 부쳐」 중에서

1998년 12월 11일 인천작가회의가 창립되었다. 이후, 날이 오갔다. 흐리고 어두웠다. 민중은 촛불을 들었다. 횃불이 되었다. 위장폐업 후 정리해고를 한 사용자, 4대강 비리와 그 폐해, 세월호
참살, 예술인 블랙리스트, 국정농단, 국정원과 기무사의 정권 호위와 연장 기도, 법·정 유착과 재판 거래의 사법농단, 이전투구의 정치권, 부역한 언론. 그 그늘, 그 어둠.
권력과 물질을 탐한 세력과 부역자들은 본질을 호도하거나 교묘한 술책으로 민중을 현혹하기도 했다. 사악했고, 부패했고, 비열했다. 한겨울의 혹한이었다. 생명을 멸한 폭염이었다. 적폐였다. 그들에게 민중은 존엄하지 않았다. 회유와 강압과 착취와 멸시의 대상이었고 조류독감에 걸린 가금류에 지나지 않았다. 준법과 질서는 민중에게만 적용될 뿐이었다. 민중은 우울했고 허무했다.
고통으로 점철된 세월의 무게 앞에 작가도 민중이었다. 아팠다. 분노했다. 체념하지 않았다. 회피하지 않았다. 도피하지 않았다. 희망버스를 탔다. 부끄럽지 않은 나라가 되기를 소망하며 촛불을 들었다. 단식으로 투쟁했다. 온몸으로 저항했다. 혹한에도 폭염에도.
펜을 들었다. 작품집도 냈다. 진실 인양을 위해, 희망의 끈을 놓지 않으려고.
인천작가회의 창립 이후 나온 앤솔러지는 총 15권이었다. 그 중에서 시선집은 2006년에 출간된 『자연바다』(작가들)를 필두로 하여 『꽃이 핀다 푸른 줄기에』(작가들), 『세이한 고비』(작가들), 『새들이 숨을 만큼만』(열린작가), 『순간의 평화』(메이드), 『소사나무 숲』(메이드), 『빨강의 정점』(작가들), 『증폭』(인천작가회의 출판부), 『오지 않는 편지』(인천작가회의 출판부), 2017년 『불완전한 착지』(삶창)에 이르기까지 10권이었다.
분단과 이념, 자연과 인간, 절망과 희망, 노동 현장, 시위 현장, 평등, 평화, 갑과 을, 죽음에 대한 형상화에 이르기까지 수록 작품들이 다채로웠다. ‘깨어 있는 삶, 깨어 있는 문학’을 추구하는 시인들의 고뇌와 외침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소설선집은 2007년에 『오, 해피 데이』(작가들)가 출간되었고, 이후 『로맨스 빠빠』(열린작가), 『그릴 수 없는 자화상』(인천작가회의 출판부), 『나와 관계하는 관계』(인천작가회의 출판부), 2017년에 나온 『그날 이후로』(삶창)까지 5권이었다. 소설에서 서술자들은 역사와 시대의 아픔을 간과하지 않고 희망을 말한다. 거창한 희망이나 밝은 미래가 아니라 ‘비 오는 골목에서 우산을 받은 것’ 같은 위안이다. 시대와 세대의 조망, 자연물과 인간, 사용자와 노동자, 인간의 욕망, 영원을 위한 과거와 현재 등을 제재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
2018년은 인천작가회의가 창립 2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그동안 시와 소설에 머물렀던 작품을, 동화와 작품에 대한 해설까지 범위를 넓혀 인천작가회의 창립 20주
년 기념 문집 『작가들의 길』에 담았다.
‘인천작가회의 회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작품 배열은 작가의 ‘등단 연도 순’으로 하였다. 시(詩)는 44명(작고 시인 3인 포함)의 시인이 참여한 가운데 각자 3편씩 132편을 실었고, 소설(小說)은 12명의 단편 12편, 동화(童話)는 1명의 단편 1편, 작품 해설은 2명의 2편을 실었다.
『작가들의 길』에 수록된 작품들은 ‘내가 뽑은 나의 작품’이거나 신작이다. 작품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제시하지 않았다. 열린 제재였고 주제였고 분량이었다. 다양성을 중시했다. 작가들의 개성이 다른 만큼 시적 자아의 목소리, 시선이나 전개 방식, 서술자의 목소리, 서사구조 또한 다채롭다. 작품마다 창작자의 고투 또한 어려 있다.
앞으로도 시대가 배설한 모순을 바로잡고 시대의 병폐를 치유하기 위해, 실천적인 활동과 문학적 완성도를 제고하여 독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목차


■ 인천작가회의 창립 20주년 기념 문집을 펴내며 4



강태열 : 後의 말/ 콩의 사상/ 우주 15
이가림 : 빙하기氷河期/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투병통신投甁通信 19
박영근 : 솔아 푸른 솔아?百濟 6/ 해창에서/ 이사 26
호인수 : 영성체/ 아우슈비츠/ 관악산에 올라 33
신현수 : 너에게 말한다/ 착한 사람, 승희/ 난 인천에 앉아 만날 걱정만 한다 36
이경림 : 수목장 숲에서?푸른 호랑이 3/ 서쪽/ 회음부에서?에버덩 문학관에서 40
정세훈 : 몸의 중심/ 강물아/ 개밥바라기 46
김영언 : 살구꽃 핀 세월/ 어머니의 세월?한리포 전설 3/ 대보름 나물밥 53
천금순 : 겨울 광장에 서서/ 팔당대교를 건너며/ 백일홍 꽃노래 57
고광식 : 연어 귀향/ 마시란 해변/ 사자에게 던져 줘 62
임선기 : 나무를 지나서/ 너에게/ 눈雪 68
문계봉 : 너무 늦은 연서戀書/ 상처/ 당신과 조용히 늙어가고 싶습니다?운유당暈遊堂서신書信 73
박일환 : 패스워드 시대의 사랑/ 언저리문학상/ 씨방 77
이명희 : 4월의 조조할인/ 구름 클라우드/ 말 껍질을 벗기며 80
조정인 : 함박눈이 내리기 때문입니다/ 조선인?진흙장미 서른 송이/ 나무가 오고 있다 84
정민나 : 선천성 면역에 관한 보고/ 길이 된 섬/ 제비 노정기?춤추는 풍선 인형 93
이세기 : 홍예문/ 선단여/ 어머니, 저는 바다에서 태어났어요 98
박완섭 : 고무줄놀이/ 눈 내리는 밤/ 세계 평화의 수도, 평창으로 오라 104
박인자 : 절반의 꿈/ 이야기?고흐/ 사진 속·3 115
류명 : 마테오라/ 두더지/ 응급실 122
이기인 : 표고/ 여러 번 걸어가는/ 지금 나하고 바다 갈래 128
박성한 : 낡은 책/ 용서/ 그린미용실 131
김명남 : 취향의 성분/ 브라보 마이 라이프/ 아파하지 마라 135
최기순 : 떨림에 대하여/ 버드나무와 청동거울/ 저녁의 행보 140
조혜영 : 언덕 위의 그 방/ 하늘 감옥/ 사원증 146
유정임 : 불안과 엮이다/ 첫사랑/ 낯선 저녁 153
손제섭 : 멀어질수록 푸르른 당신에게/ 시월의 밤/ 축문祝文 161
이종복 : 파각단오破却端午/ 신포동 길모퉁이/ 자유공원 어린이 헌장비 165
지창영 : 해바라기/ 산소 앞에서/ 쫓겨가는 트럼프에게 170
손병걸 : 나는 열 개의 눈동자를 가졌다/ 눈길/ 점핀 178
김경철 : 고스톱/ 귀면와/ 드라마 세트장 184
강성남 : 새의 화법畵法?모자 쓴 신사/ 봄날, 그들은 낚시를 다녔다/ 피아노 191
이성혜 : 안개에 부치는 에피소드 셋/ 신을 잃어버렸어요/ 무얼 보았나? 200
심명수 : 소리의 감옥/ 새싹/ 부재 204
김금희 : 오늘처럼 불현듯 그리우면/ 엄마의 달력/ 다 못 쓴 아몬드나무 편지 210
이설야 : 웅덩이, 여자/ 생각들/ 빚 216
김송포 : 비자나무/ 겨우살이 아내/ 너덜너덜 박힌 큐빅이 빛난다 222

김시언 : 인턴/ 내겐 닻나무가 있다/ 쿠쿠 228
이병국 : 강화/ 토렴/ 고르디우스의 매듭 233
이권 : 돌부처/ 비주류/ 甲질하다 250
김림 : 이소/ 심장 근처/ 반지하半地下 255
정우림 : 유일한 목격자/ 탄천으로 달려가 보니/ 헤링본 스타일 260
옥효정 : 상처꽃/ 외줄/ 꼬리 266
금희 : 미안하다, 산세비에리아?레게 풍으로/ 가끔, 물고기/ 새 271

소설

이상락 : 숨은 말 찾기 279
유영갑 : 세상의 그늘 307
이해선 : 수세미꽃 366
최경주 : 김삿갓의 유세 비결 390
홍인기 : 2025 435
조혁신 : 뒤집기 한판 457
박정윤 : 기차가 지나간다 486
안종수 : 어허 딸랑 514
이상실 : 버킷리스트 1?팔문적 541
김경은 : 검지 565
홍명진 : 마순희 571
황경란 : 사람들 598

동화

오시은 문을 나서야 할 시간 625

해설

류신 걸어가는 시 641
오창은 삶의 길을 걷는 서사의 여행자들 661


■ 필자 소개 68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