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월송리 김 교수의 고향 만들기

월송리 김 교수의 고향 만들기

  • 김재환
  • |
  • 녹색평론사
  • |
  • 2015-04-10 출간
  • |
  • 264페이지
  • |
  • ISBN 978899027477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1,000원

즉시할인가

9,9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9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프롤로그 고향 만들기

제1부 지내리 시절
제1장 주경야독 꿈꾸며 땅 덥석 사고 보니
제2장 300평 밭농사가 얼마나 무모한 짓인지
제3장 원두막 그늘에서 먹는 고등어조림 상추쌈
제4장 개 때문에 농사 포기할 마음까지
제5장 “그 개 잡아서 보신탕을…”
제6장 무밭에 자동차 헤드라이트 켜놓고
제7장 농사 2년차에 부딪힌 문제들
제8장 맹지에 집을 짓는다?
제9장 그 맹지가 ‘알박이’인 줄도 모르고
제10장 전원생활 꿈꾸는 교수들

제2부 팔미리 시절
제1장 ‘제대로 된 땅’의 조건
제2장 땅 보러 다니는 재미
제3장 다리도 없는 ‘개울 건너 땅’을
제4장 “또 마음에 없는 땅을 사요?”
제5장 ‘농사교본’대로 파종했으나
제6장 너무 일찍 심어 망친 농사
제7장 개울물에 발을 담그고
제8장 삼겹살 파티와 빈 페트병
제9장 진땀 흘린 고추 말리기
제10장 개울에 다리 놓기

제3부 월송리 시절
제1장 팔미리 땅 포기하고 다시 땅 보러
제2장 아늑하고 소쇄한 느낌이 드는 땅
제3장 땅도 인연이 있어야
제4장 아파트 팔아 땅값은 마련했으나
제5장 대출 받아 목조주택 짓기로
제6장 “죽을 운수에 집 짓는다”
제7장 “측량부터 하고 나서 공사하슈”
제8장 다락방의 ‘가중평균높이’
제9장 ‘농촌 경관주택’으로 뽑히다
제10장 ‘돌아온 백구’의 증손자 ‘길동이’
제11장 길동이의 호화주택
제12장 시골에선 창고 없이 못살아
제13장 마당에 잔디 심고, 꽃밭도 만들고
제14장 환갑 나이에 묘목 심어 어느 세월에
제15장 소나무 위에 뜬 달
제16장 화학비료의 폐해
제17장 3주 걸려 만든 비닐하우스
제18장 정자는 집 가까이에 지어야
제19장 드디어 상수도가 들어오다
제20장 “밭맬래? 애 볼래?”
제21장 월송3리의 고양이 많은 집
제22장 서울서 온 고양이 ‘마오’
제23장 고양이 동종교배의 폐해
제24장 월송3리의 동갑 친구
제25장 중복날의 개서리
제26장 농산물 훔쳐가는 도둑들
제27장 마을사람들과 어울리기
제28장 “우리 교수님이 최고라고…”
제29장 월송3리 노인회의 결성
제30장 “교수님이 노인회장직을…”
제31장 분란으로 치달은 마을노인회
제32장 “교수님, 어서 일어나서 춤춰유”
제33장 꽃도 보고 나물도 캐고
제34장 동태찌개 끓여주는 카페
제35장 “에헤 허이 다알고호”
제36장 10년 지어도 여전히 서툰 농사
제37장 ‘기계치’는 서러워
제38장 “제초제 칠 바에야…”
제39장 고추 100그루 심어 100근 수확
제40장 농사는 과학이고 문화인 것을

에필로그 ‘풍경’의 세계에서 ‘지도’의 세계로

도서소개

『고향 만들기』는 중년에 이른 한 대학 교수가 자신의 직장이 있는 강원도 춘천 인근 시골에 땅을 사고, 농사를 짓고, 집을 짓고, 이웃과 어울려 살아가는 이야기이다. 이 책은, 다른 무엇보다도, 근대화로 인하여 풍요로운 소비생활을 누리게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내면은 더할 나위 없이 황폐해진 현대의 도시인이, ‘지도’상의 어떤 지점이 아니라 ‘풍경’이 있는 장소를 찾아서 뿌리를 내리고, 마침내 ‘고향’을 구성해 낸다.
이 책은 중년에 이른 한 대학 교수가 자신의 직장이 있는 강원도 춘천 인근 시골에 땅을 사고, 농사를 짓고, 집을 짓고, 이웃과 어울려 살아가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귀농 체험담을 담은 또하나의 에세이집인가 보다, 하고 간단히 짐작하면 그것은 오해이다. 왜냐하면 이 책은, 다른 무엇보다도, 근대화로 인하여 풍요로운 소비생활을 누리게 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내면은 더할 나위 없이 황폐해진 현대의 도시인이, ‘지도’상의 어떤 지점이 아니라 ‘풍경’이 있는 장소를 찾아서 뿌리를 내리고, 마침내 ‘고향’을 구성해내는 여정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지도의 세계에서 풍경의 세계로
근년에 들어 우리나라 귀농·귀촌 인구가 상당하게 증가하고 있다. 2013년에는 3만 가구를 훨씬 상회하면서 전년에 비해 50% 이상 급격히 늘었다고 한다. 그 기세는 한풀 꺾인 듯하지만 증가추세는 뚜렷하다. 국내외의 경기침체로 도시의 살림살이가 간핍해지고 생활이 옥죄이는 영향도 물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는 사람의 천박한 소비욕망만을 부추길 뿐인 도시의 삶에 염증을 느끼는 인구가 늘고 있는 탓이라고 봐야 한다. 요컨대 사람 사이의 관계나, 집과 나무와 개울과 땅, 즉 장소와의 관계를 상실한 삶, ‘뿌리 없는 삶’을 사람들이 더이상 견디지 못하고, 이른바 근대화에 역주행하기 시작한 것이 아닐까.
고향은 어떤 장소이기보다, 오히려 어떤 “공간과 시간이라는 요소들이 자신의 근원과 불가분의 관계로 맺어진 심성의 기억”에 가깝다. 그래서 농촌이 물리적·정서적으로 파괴된 오늘의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다수에게, 그것은 실체가 없는 상상의 산물에 가깝게 되었다. 왜냐하면 전찻길과 아스팔트와 빌딩은 고향을 구성해주는 ‘풍경’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고향에 대한 기억이 풍성한 사람은 삶의 근원에 대한 정감이 풍성한 사람들이다. 삶의 풍랑 속에서 그들이 좌절하지 않고 꿋꿋이 버틸 수 있는 것은, 언젠가는 고향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세상살이가 아무리 힘겹고 고달플지라도, 고향의 존재는 그들에게 언제나 따뜻한 위안의 원천이 되어준다.” 요컨대 고향을 갈구하는 것은 인간 본연의 충동에 가깝다.

흙으로 돌아가기
특히 죽음에 대한 지은이의 생각의 변화는 사람에게 있어서 고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시사해주는바, 대단히 흥미롭다. 저자는 도시에서 살 때 사후에 자손들이 화장을 해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갖고 있었다. 왜냐하면 어차피 공원묘지 같은 곳에 매장될 것이고, 필경 손자 대까지나 자손들이 성묘를 올 것이라고 짐작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농촌에 터를 잡고 살게 되면서, 사람이 한평생 살아온 장소에서 일가, 이웃 친지들의 배웅을 받으며 땅으로 돌아가는 장례행사를 경험하면서, “참 괜찮은 일이로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은 땅에 뿌리박은 삶, ‘흙’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인간 본성에 부합하는 삶에 갈급한 현대 도시인 모두의 이야기이다.

“… 그토록 혼쭐이 났음에도 불구하고 농사를 그만두지 못하고 계속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파릇파릇 돋아나는 새싹의 생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땀 흘려 일하고 나서 맛보는 꿀맛 같은 상추쌈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볼품없고 빈약하긴 했지만, 뿌듯한 느낌을 주는 수확의 기쁨 때문이었을까? 그 모든 것이 다 작용했을 테지만, 나는 무엇보다도 흙을 만지는 촉감 때문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그러고는 손바닥으로 흙을 쓰다듬어서 평평하게 고른다. 그때 손바닥에 전해져 오는 흙의 촉감이 나를 황홀하게 한다. 보드라우면서도 까슬까슬하고, 메마른 듯하면서도 촉촉한 그 느낌! 그 촉감을 즐기면서 나는 킁킁 코를 벌름거려 흙의 냄새를 맡아보는 것이다.”

교수 노릇 잘하고 있던 50대 중반, 더이상 메마른 도시의 삶 속에서 허우적거릴 수 없다는, 돌파구를 찾아야겠다는 절박함에서 비롯된 ‘고향 만들기’의 본격적 여정이, 그러나 평생 서생으로 살아온 지은이에게 결코 수월한 과정일 수는 없었다. 땅을 구하고, 집을 짓고, 농사를 짓고, 이웃과 어울리고 하는 하나하나의 과정에서, 좌충우돌 우여곡절을 겪으며 몸으로 지식과 지혜를 배워나간다. 맹지와 관련된 제반 지식, 건축허가, 교량설치, 땅 경계 다툼, 주택시공업체 선정, 수도 들이기, 농사용 기계에 관한 일화들에서는 업체나 상품명을 밝혀주어서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도 하는데, 작물 파종, 정식 시기, 화학비료 또는 퇴비에 관한 경험, 정자나 창고의 배치, 야생동물 문제, 농산물 도둑 문제 그리고 무엇보다 이웃과 더불어 부대끼며 사는 이야기에는 생활의 지혜가 묻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피상적인 지식이 아니라 몸으로 체득한 삶의 지혜이기 때문에 읽는 사람에게 유용하기도 하고, 감동을 준다.

“‘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