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문화예술과 도시

문화예술과 도시

  • 박은실
  • |
  • 정한책방
  • |
  • 2018-10-26 출간
  • |
  • 296페이지
  • |
  • 153 X 214 X 22 mm /532g
  • |
  • ISBN 9791187685289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크게 네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앞의 세 장은 문화예술과 도시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함께 도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라 제기된 이론을 담고 있다. 현대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창조도시와 문화도시, 도시재생 개념 등에 관한 이론이 대표적이다. 마지막 장은 문화예술과 도시에 관한 실천적 담론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현대 도시문제에 있어서 문화예술과 연관되어 화두가 되는 정책의 주제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자 구체적인 지역사례를 주제와 함께 서술하였다.
1장은 문화와 도시의 역사적 전개와 문화예술과 도시의 관계를 시대별 특징에 맞게 해석한 내용이다. 도시정책에서 문화예술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도시의 출현 이후이다. 자본주의의 발달과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의 발전은 대중문화의 제도적 기반과 민주적 문화환경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대중문화를 토대로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문화전략은 도시성장의 수단으로써 사용되기 시작한 과정과 21세기 지속가능한 발전과 문화다양성 논의에 기초해서 문화도시, 창조도시 정책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살펴본다.
2장은 문화예술과 창의성이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부각되면서 창조인력과 창조산업, 창조도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 자세하게 기술한다. 창의성은 시대에 따라 개념이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관점의 변화는 창조환경과 창조도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창조환경과 창조도시 개념에 대해서 다양한 학문에서 접근한 내용을 다루고 창조도시 조성을 위한 전략과 요인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특히 2장에서는 국내외 창조도시 사례와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 가입도시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언급한다.
3장은 도시재생과 문화도시재생에 관한 전략과 사례를 담고 있다. 도시재생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쇠락한 산업사회의 도시와 낙후된 도심을 재생하기 위한 서구 도시들의 정책 추진 사례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이 장에서는 도시재생의 배경 및 개념, 문화도시재생을 위한 전략으로서 문화의 역할 및 기여, 문화도시 재생의 유형, 문화도시 마케팅 개념 등을 소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문화예술과 도시의 정책적 쟁점과 실천적 활동에 대해서 언급한다. 특히 1절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의 변화」 에서는 최근 경리단길에 확산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관찰하고 향후 젠트리피케이션에 대응하는 정책적 과제, 경리단길의 변화의 방향을 추적하면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한다. 그밖에 지역문화자원의 활용과 박물관의 기능 다변화에 대한 제안을 비롯해. 박물관이 지역문화와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사례로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지역문화활성화 방안에 관해 서술도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중요한 문화자산으로써 기능하는 근대문화유산의 활용방안을 권진규아틀리에 사례를 통해 고찰한다.


목차


1장 문화와 도시의 역사
1. 문화예술과 도시
1) 문화예술과 도시의 관계 17
2) 도시계획에서 문화전략의 등장 19
3) 문화와 도시계획 역사적 전개 25

2. 문화예술과 도시, 패러다임 변화와 시대별 특징
1) 예술로서의 도시 35
2) 도시미화운동 40
3) 도시계획 마스터플랜의 탄생: 문화조닝의 출현 44
4) 선도적 문화시설 건립 49
5) 커뮤니티 문화 53
6) 문화적 도시재생과 장소마케팅 57
7) 문화계획의 등장 및 접근방법 61
8) 창조도시의 등장과 지속가능한 개발 64

2장 창조도시
1. 창의성의 시대: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1) 창의성의 시대 71
2) 문화예술을 둘러싼 사회ㆍ문화 환경변화 73
3) 문화예술의 중요성과 사회적 가치 78
4) 예술로 변하는 사회 89
2. 창의성의 개념
1) 창의성 및 창의성 이론 93
2) 창의성 개념의 확장 104
3) 창의성의 체제적 접근 108
4) 인적자본과 창조계층 118
3. 창조경제의 기반 창조도시
1) 창조도시 이론 및 개념 123
2) 창조도시 특징 및 조성요인 137
3) 창조도시 조성을 위한 시사점 147
4.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1)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153
2) 공예와 민속예술 창의도시 사례 155

3장 문화도시재생
1. 문화도시재생
1) 도시재생과 문화예술 169
2) 문화예술의 패러다임 변화와 도시문화정책 172
3) 문화도시재생 유형 178
4) 문화도시재생방향: 창조적 커뮤니티 조성 182
5) 도시재생 문화기여 증거 186
6) 나가며 188
2. 문화도시재생/도시마케팅 사례
1) 취리히 산업유산 재생 190
2) 포르투 문화유산 재생 194
3) 함부르크 엘베필하모니 도시마케팅 197
4) 도시마케팅/ 글로벌 리브랜딩 사례 199
3. 유럽문화수도 사례
1) 유럽문화수도프로그램 배경 207
2) 루르공업지대 에센 도시연합 213
3) 마르세유215

4장 문화예술과 도시-정책적 쟁점과 실천적 사례
1.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의 변화: 경리단길
1) 들어가며 221
2) 용산 미군기지와 남산을 잇는 사이길 223
3) 새로운 탈영토성의 공간 이태원 226
4) 서울의 핫플레이스 경리단길 230
5) 경리단길의 상권과 젠트리피케이션 233

2. 지역문화자원의 활용: 박물관과 도시마케팅
1) 박물관 기능의 변화와 공공성 241
2) 지역문화자원으로써 박물관 244
3) 문화와 도시발전, 창조도시로의 변화 247

3. 근대문화유산의 활용: 권진규 아틀리에
1) 들어가며 225
2) 근대문화유산의 활용 및 공공적 자산으로써 가치 257
3) 아틀리에 의미 264
4) 권진규 아틀리에의 의미와 사회ㆍ문화적 가치 269
5) 공공자산으로 활용방안 27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