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9 어떻게 치매를 진단할 수 있는가? 145
치매 선별 검사 • 146
1) 간이 정신상태 검사 • 146
2) 뇌 혈류 검사 • 147
진단 검사 • 149
1) 서울신경심리검사 • 149
2) 세라드 • 152
3) CDR • 155
4) GDS • 157
5) MOCA • 158
6) BNT • 158
감별검사 • 159
1) 뇌 영상 촬영 • 159
2) 진단 의학검사 • 164
3) 뇌척수액 검사 • 178
새롭게 개발되어 사용하게 될 중요한 인지기능 평가 검사들 • 179
1) Neural exosomes • 179
2) 망막영상검사 • 180
생활습관 • 180
CHAPTER 10 치매 vs 치료?? 183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 • 185
NMDA 수용체 길항체 • 186
수술로 치료할 수 있다는 치매 • 189
운동치료 • 190
현실인식 훈련 • 190
인지훈련 및 자극치료 • 191
회상치료 • 191
CHAPTER 11 새로운 유형의 치료 방법 193
유형에 따른 치료 + ReCODE (인지기능환원 프로그램) • 193
유전자에 기반을 둔 알츠하이머의 치료 • 235
동양의학과 치매의 조우 • 235
1) 한의학에서의 치매 • 236
2) 한의학에서의 치매 치료 • 236
Phytochemicals의 작용 • 251
1) Colorful한 과일과 야채 섭취 • 253
2) 뇌의 슈퍼스타 플라보노이드 • 256
차세대 치매 치료와 줄기세포 치료에 관한 소견 • 257
자침 요법 • 260
새로운 치료 • 263
1) 초음파 뇌수술 • 263
2) 젊은 피의 수혈 • 263
CHAPTER 12 기억력 장애가 발생될 때의 대처요법 265
CHAPTER 13 ReCODE 활용 시 유의할 점 269
CHAPTER 14 이렇게 예방하자 치매! 273
연령대별 치매예방 실천법 • 276
브뤼노 벨라스 교수가 추천하는 치매에 좋은 음식 • 280
치매 예방에 좋은 습관 키우기 • 281
치매 예방에 나쁜 습관 버리기 • 281
CHAPTER 15 치매에 관한 다양한 정책 283
오진에 대한 문제 • 283
재산권에 관한 문제 • 284
1) 치매 환자의 유언 능력 및 효력 • 284
2) 성년 후견 제도 • 285
치매특별등급 의의 및 의사소견서 작성 • 287
노인장기요양 보험 적용 • 288
교육 및 봉사로 치매 극복 • 292
치매 국가 책임제 • 294
1) 치매 환자와 가족에 대한 정보제공, 1:1 맞춤형 관리 유도 • 294
2) 경증 치매 환자도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 (장기요양 서비스 확대) • 294
3) 치매 환자 의료지원 강화 • 296
4) 치매의료비 및 요양비 부담 완화 • 297
5) 치매예방 및 치매 친화적 환경조성 • 298
6) 치매연구개발(R&;D) • 299
7) 치매정책 행정체계 정비 • 299
부록 301
찾아보기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