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모든 생명의 근간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은 물론 동물이나 식물 그리고 어떠한 작은 미생물이라도 물이 없이는 생명을 유지할 수가 없다. 인체에서 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체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70~90%라고 한다. 만약 우리 몸속에 물이 1~3%가 부족하면 심한 갈증이 나고, 5%가 부족하면 혼수상태, 12%가 부족하면 사망에까지 이른다. 이렇듯 물은 모든 생명의 근간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활동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식수, 농업, 산업활동을 위한 중요한 자원 중 하나로서 많은 국가가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또한 기후변화 현상과 함께 물 자원의 확보와 보존이라는 중요성이 점점 강화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 1인당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은 1,553m3로 PAI(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 기준에 따라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물 부족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수자원 개발과 함께 사용된 물 자원을 다시 재사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사용된 물을 다시 재사용할 수 있게 하여 생명의 근간으로 다시 돌려 놓을 수 있는 분들 중에 중요한 한 분이 환경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여러분이 아닌가 생각한다.
위와 같은 환경 업무 중 물 관련 업무에 종사하였던 기술자들은 자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를 원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수질관리 기술사에 도전하는 분들도 많다. 기술사의 검정기준은 해당 기술 분야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에 입각한 계획·연구·설계·분석·시험·운영·시공·평가 또는 이에 관한 지도·감독 등의 기술업무를 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에 있다. 자격시험과 관련하여 수질관리 기술사는 시험범위가 방대하고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수월하지 않다. 수질관리 기술사에 도전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그동안 학원에서 강의하던 내용과 30년간 실무에서 쌓던 지식을 정리하였다. 또한 약 7년간의 기출 문제를 분야별로 분류하여 보다 쉽게 전체 출제 경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참고로 최근 5년간의 문제풀이를 첨부하였다. 이 수험서가 수질관리 기술사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수험자 분들께 좋은 지침서가 되기를 바라며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으로 기술자 최고의 전당인 기술사 합격이라는 정상에 도달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