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최근의 한국사 과목의 경우 기존의 출제경향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수험생에게 기존의 공부방식과는 다른 대응방식을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사진, 지도, 도표를 이용한 문항이 대폭 증가할 것이고, 단답식 문항을 지양하고 사료해석형 문항이 주류를 이룰 것이다. 이는 단순 역사사실 암기와 병행하여 사료의 전후맥락을 이해하는 능력도 갖추어야 함을 뜻한다. 또한 하나의 사건이나 주제 보다는 역사적 맥락과 흐름을 묻는 경향이 증가할 것이다. 때문에 각 시대별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학습방법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이 책을 잘 활용하는 방법은 유형별로 선별한 문제들을 수험생이 풀고서 틀린 경우에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다. 특히 틀린 문제를 통해 자신의 부족한 개념을 다시 한 번 정리,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출제 경향을 반영하여 수험생에게 필요한 최적의 문제를 출제하였고, 한국사의 전체적인 이해와 지엽적인 부분을 묻는 문제도 배치하여 수험생이 전체적인 역사상을 이해하고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얼마만큼 적중을 하는가도 중요하겠지만 이 문제를 풀면서 많은 수험생들이 한국사에 대한 자신감을 갖기 바라며 문제를 풀면서 본인이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지 파악하고 그것을 보완해 나간다면 고득점에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문제를 많이 푸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확실한 개념을 잡는 것이 중요하고, 반드시 복습을 실시하여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통해 수험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드릴 수 있으리라 자신하며 합격의 문에 가까워지길 진심으로 기원한다.
구성
1. 기출문제를 시대사, 분류사별로 재구성함으로써, 문제풀이 과정만으로도 전체 한국사의 시대별 흐름정리와 기본내용에 대한 계통적 정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2. 해마다 반복해서 출제되는 기본적인 내용들은 물론 지엽적인 문제들까지 수록해놓음으로써 한국사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3. 같은 주제를 가지고 여러 유형의 문제를 반복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즉, 같은 내용이라도 유형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4. 지금까지 치러진 모든 기본 및 고난이도 문제를 최대한 수록함으로써 기출문제의 대표서적이 되도록 하였고, 이 책을 통하여 많은 수험생들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