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블록체인 기술, 시장 전망과 블록체인 기반 주요 프로젝트 실태와 전략

블록체인 기술, 시장 전망과 블록체인 기반 주요 프로젝트 실태와 전략

  • 데이코산업연구소
  • |
  • 데이코산업연구소
  • |
  • 2018-09-27 출간
  • |
  • 493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96108786
판매가

380,000원

즉시할인가

34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블록체인 3.0 시대 핵심 기술 및 주요 동향

1. 블록체인 3.0 주요 기술 및 관련 이슈
1-1. 블록체인 기술 개요
1) 블록체인의 개념과 의의
(1) 블록체인 등장과 산업적 가치
(2) 정의와 구분
(2) 블록체인 3.0과 DApp 생태계
2) 블록체인의 핵심기술
(1) 블록체인 기반기술
(2) 블록체인 응용기술
(3)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 동향
1-2.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 이슈 및 과제
1)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
(1) 공개형 블록체인의 특성과 활용
(2) 비공개형 블록체인의 특성과 활용
(3) 보안성 및 안전성
(4) 거래상의 특성
(5) 기타 특성
2) 블록체인 주요 이슈
(1) 허가형·비허가형 블록체인 주요 이슈
(2) 블록체인 국제표준화 동향
(3) 블록체인 특허 동향
(4) 양자컴퓨터와 블록체인
(5)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3) 블록체인 기술의 개선점
(1) 검열저항성
(2) 익명성
(3) 대체가능성
(4) 확장성
(5) 개연적 결제의 완결성
(6) 거버넌스
(7) 튜링 불완정성
(8) 튜링 완전성
(9) 블록체인의 중앙화
(10) 양자컴퓨터 해킹
4) 기술적 과제와 전망
(1) 기술적 선결 과제
(2) 기술의 발전 전망
1-3. 블록체인과 보안
1) 블록체인의 보안성
(1) 블록체인의 구조적 안정성
(2) 암호화폐 저장매체 콜드월렛
(3) 블록체인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
2) 보안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1) 블록체인 기반 IoT 기기 보안
(2) 기밀성 및 데이터 무결성 향상
(3) 동형암호를 통한 개인정보 보호
(4) 보안이 강화된 개인 메시징
(5) PKI 강화 또는 대체
(6) 더 안전한 DNS
(7) DDoS 공격 감소
(8) Automotive 보안
1-4.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1) 암호화폐 정의와 구분
(1) 암호화폐의 정의
(2) 암호화폐와 현금 없는(Cashless) 사회
(3)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2) 암호화폐공개(ICO) 동향
(1) ICO의 정의와 특징
(2) ICO의 절차
(3) ICO의 규모 및 현황
(4) ICO 관련 주요 이슈
3) 주요 암호화폐
(1) 비트코인(Bitcoin)
(2)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
(3) 이더리움(Ethereum)
(4)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
(5) 이오스(EOS)
(6) 리플(Ripple)
(7) 라이트코인(Litecoin)
(8) 대쉬(Dash)
(9) 모네로(Monero)
(10) 네오(NEO)
(11) 스텔라 루멘(Stellar Lumen)
(12) 오미세고(Omisego)
(13) 지캐시(Zcash)
(14) 에이다(ADA)
(15) 아이오타(IOTA)

2. 블록체인 시장 및 주요 적용 분야 동향
2-1. 블록체인과 크립토 이코노미
1) 대체화폐로서의 암호화폐
(1)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관계
(2) 통상화폐로써의 암호화폐
(3) 암호화폐의 가치 변동
2) 새로운 자산으로 주목받는 크립토 에셋
(1)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과 소비패턴의 변화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디지털 경제의 확장
3) 자산으로써 암호화폐의 가치와 버블
(1) 디지털 골드, 비트코인
(2) 튤립버블, 닷컴버블 그리고 암호화폐버블
2-2. 블록체인 시장 현황 및 동향
1) 블록체인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1) 플랫폼화 되는 블록체인 기술
(2)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과 전망
2) 블록체인 시장과 파급효과
(1) 블록체인의 시장규모
(2) 블록체인의 경제적 효과
3) 블록체인 분야 R&D; 투자 동향
(1) 글로벌 R&D; 투자동향
(2) 국내 R&D; 투자동향
2-3. 적용 분야별 블록체인 시장 동향
1) 금융
(1) 국내외 주요 금융기관 동향
(2) 금융 분야 블록체인 적용 사례
2) 의료
(1) 의료 산업과 데이터
(2) 의료 산업과 블록체인
(3) 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 활용 효과
(4) 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 활용에서의 문제점
(5) 국내외 의료기관 블록체인 활용 동향
3) 공공서비스
(1) 국내외 주요 공공기관 동향
(2)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 시장 동향
(3) 공공서비스 분야 블록체인 적용 사례
4) 에너지
(1) 에너지 블록체인 개념
(2) 에너지 블록체인 유형
(3) 에너지 블록체인 확산을 위한 과제
5) 콘텐츠
(1)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
(2)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의 특징
(3)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플랫폼의 기대 효과
(4) 볼록체인의 콘텐츠 분야 활용방안
6) 물류·유통
(1) 블록체인 기반 물류·유통 분야 플랫폼의 특징
(2) 블록체인 기반 물류·유통 분야 플랫폼의 기대 효과

3. 블록체인 국내외 주요 정책
3-1. 글로벌 주요국 정책 현황
1) 미국
(1) 주요 부처 및 정책 동향
(2) 실리콘밸리 중심의 스타트업 지원
2) EU 집행위원회
(1) EU Blockchain Observatory and Forum 개요
(2) EU Blockchain Observatory and Forum 역할
3) 네덜란드
(1) 네덜란드 사회와 블록체인
(2) 네덜란드 블록체인연합(DBC)
(3) 네덜란드 주요 파일럿 프로젝트
4) 에스토니아
(1) 에스토니아 공공 블록체인 개요
(2) 공공 블록체인 활용 분야
5) 몰타
6) 핀란드
(1) 블록체인 기반 주요 서비스 및 운영체제(OS)
(2) 블록체인 부흥 과제 ‘본드(Bond)’
7) 스위스
8) 영국
9) 중국
(1) 주요 부처 및 정책 동향
(2) 공공 블록체인 활용 분야
(3) 중국의 블록체인 시장규모 및 육성전략
10) 일본
11) 호주
12) 우즈베키스탄
13) 조지아 공화국
14) 두바이
15) 기타
(1) 싱가포르
(2) 스웨덴
(3) 스페인
(4) 덴마크
(5) 온두라스
(6) 시에라리온
(7) 튀니지
(8) 베네수엘라
3-2. 국내 주요 정책 및 사업 현황
1) 연도별 블록체인 시범사업
(1) 2018년 6대 시범사업 주요 내용
(2) 2017년 블록체인 4대 시범사업
2)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1) 비전 및 추진전략
(2) 주요 추진과제
(3) 기대효과
(4) 추진일정
3) 서울시 공공 블록체인
4) 제주 블록체인 특구 추진
(1) 제주 블록체인 특구 추진 계획
(2) 암호화폐공개(ICO) 허용 및 암호화폐거래소 유치
(3) 제주도 암호화폐 ‘제주코인’ 발행
5) 블록체인 3대 전략투자 분야
6) 공공기관 블록체인 적용 확대
7) 블록체인산업진흥기본법
8) 암호화폐 거래소 벤처기업 제외업종 지정

Ⅱ. 분야별 글로벌 블록체인 동향

1. 금융 분야
1-1. 금융 분야 주요 사례
1) R3CEV
(1) 컨소시엄 설립목적 및 특징
(2) 블록체인 응용 현황
(3) 플랫폼 Corda
2) 위트레이드(WE.TRADE)
3) 베잔트(Bezant)
(1) 베잔트 개요
(2) 관련 사업 동향
1-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증권거래
(1) 나스닥
(2) 시카고상품거래소
(3) 런던거래소
(4) 호주 증권거래소(ASX)
(5) 일본 증권거래소(JPX)
(6) 골드만삭스
(7) EMX
(8) 기타
2) 금융기관
(1) 비자
(2) 씨티은행
(3) SBI 홀딩스
(4) 도쿄 미쓰비시(Mitsubishi UFJ) 은행
(5) 커먼웰스 은행(Commonwealth Bank of Australia)
(6) 후쿠오카은행
3) 보험, 금융 및 핀테크
(1) 화웨이
(2) 소프트뱅크
(3) Everex
(4) 빔(VEEM)
(5) Weifund
(6) Bitgive Foundation
(7) Car eWallet
4) 암호화폐 거래소
(1) 암호화폐 거래소 개요
(2) 탈중앙화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s, DEX)

2. 의료 분야
2-1. 의료 분야 주요 사례
1) 미국 의료산업과 블록체인
(1) 의료정보의 상호 운용성 증대
(2) 정밀의료·맞춤형 의료 연구
(3) 미국 공적 의료보험 보상체계 개선
(4) 책임추적성의 향상
2) 의료 분야 블록체인 활용 방안
(1) 개인주도형 건강관리 지원
(2) 보험청구·심사 프로세스 적용
(3) 의료기기·의약품 유통 채널 적용
(4) 임상시험 안전성 향상과 데이터 공유
(5) 개인 의료정보 및 건강정보의 보호
2-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의료데이터 관리 및 공유
(1) 미국 보건복지부
(2) IBM Watson Health-FDA
(3) Google Deepmind Health
(4) Gem Health
(5) 림포(LYMPO)
(6) MedRec
(7) MyHealthMyData
(8) Bitmark
(9) 네뷸라 지노믹스(Nebula Genomics)
(10) Mygenomebox
2) 헬스케어 및 의료서비스
(1) HealthCoin
(2) Robomed Network
(3) BlockMedX
(4) Shivom
3) 제약 산업 약품관리 등등
(1) 화이자(Pfizer)
(2) Mediledger Project

3. 공공 분야
3-1. 공공 분야 주요 사례
1) 미국 우정청(USPS)
(1) 미국 우정청 블록체인 도입 배경
(2) 블록체인 활용 분야
2) 에스토니아
(1) 블록체인 도입배경 및 ‘e-Estonia’ 프로젝트 개요
(2)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
(3) 에스토니아 전자정부의 특징
3) 블록체인 기반 투표
(1)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 사례
(2)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표 시스템의 모델
3-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공공 및 공익서비스
(1) 미국 국방부
(2) 네덜란드
(3) 일본 지역 암호화폐
(4) 두바이 ‘블록체인 법원’
(5) D-Cent
(6) DECODE
(7) 구더(Goodr)
(8) 시드(SEED)
2) 신분 및 재산 등의 증명서비스
(1) 유엔 ‘ID 2020 프로젝트’
(2) 중국 기업 및 정부
(3) 네덜란드 ‘디지털 아이디’
(4) SGE(Sony Global Education) Blockchain
(5) Blockcert
(6) BitDegree
(7) PROPY
(8) Ubitquity
(9) 센트럴리티(Centrality NZ) ‘플라그(PL^G)’
(10) Lantmateriet

4. 에너지 분야
4-1. 에너지 분야 주요 사례
1) 에너지마인
(1) 에너지마인 개요
(2) 관련 사업 동향
2) 일렉트리파이(Electrify)
(1) 일렉트리파이(Electrify) 개요
(2) 일렉트리파이(Electrify) 특징
4-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전력 거래 플랫폼
(1) LO3 Energy
(2) SolarCoin
(3) Energo
(4) 소프트뱅크
(5) Power Ledger
(6) Slock.it & RWE
(7) Grid Singularity
2) 발전시설 및 전력 공유
(1) Bankymoon
(2) M-PAYG

5. 컨텐츠 분야
5-1. 컨텐츠 분야 주요 사례
1) 스팀잇(Steemit)
(1) 스팀잇(Steemit) 개요
(2) 스팀잇(Steemit) 보상 체계
(3) 스팀잇(Steemit) 특징
(4) 관련 사업 동향
2) 기프토(GIFTO)
(1) 기프토(GIFTO) 개요
(2) 관련 사업 동향
3) 플레이투라이브(Play2Live)
(1) 플레이투라이브(Play2Live) 개요
(2) 플레이투라이브(Play2Live) 플랫폼의 특징
(3) 레벨업 체인(Level Up Chain, LUC)
5-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컨텐츠 공유 플랫폼
(1) Akasha
(2) Streamium
(3) 디튜브(Dtube)
(4) 얀도코인
(5) 우조 뮤직(Ujo Music)
(6) 뮤직코인(Musicoin)
(7) VOISE
(8) 쿨커즌
(9) Civil
2) 저작권 보호
(1) 스페인 작가·출판사 협회(The Spanish Society of Authors and Publishers)
(2) 인텔
(3) 코닥 ‘코닥원(KODAKOne)’
(4) 바이두 ‘토템(totem)’
(5) 바인디드(Binded)
(6) Mediachain
3) 기타 컨텐츠 분야
(1) 베라시티(Verasity)
(2) Jetcoin Institute
(3) 오리온볼트(OrionVault)
(4) 디센트럴랜드
(5) 로봇 캐시(ROBOT CACHE)

6. 물류 및 유통 분야
6-1. 물류 및 유통 분야 주요 사례
1) 머스크(Maersk)
(1) 머스크(Maersk)-IBM 국제 무역 합작법인
(2) 해상보험 플랫폼
2) IBM
(1) 프로젝트 개요
(2) 응용 현황
6-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유통 관리 및 추적
(1) 알리바바그룹
(2) 세존정보시스템즈
(3) ISID 이노랩
(4) 코발트블록체인
(5) Provenance
(6) Everledger
2) 상거래 플랫폼 및 자산
(1) 오픈바자(Open Bazaar)
(2) 후지쯔 블록체인 에셋

7. 보안 및 데이터 보호 분야
7-1. 보안 및 데이터 보호 분야 주요 사례
1) MOBI 컨소시엄
2) Vehicle Lifecycle Blockchain(VLB)
(1) 프로젝트 개요
(2) 응용 현황
7-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차량 및 IoT 보안
(1) VINChain
(2) Machine eXchange Coin(MXC)
(3) 다임러 ‘모비코인(MobiCoin)’
(4) Xage Security
2) 데이터 보안
(1) Obisidian
(2) REMME

Ⅲ. 분야별 국내 블록체인 동향

1. 금융 분야
1-1. 금융 분야 주요 사례
1) 은행연합회 ‘뱅크사인(BankSign)’
2) 직토 ‘인슈어리움’
1-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증권거래
(1) 한국거래소(KRX)
(2) 한국예탁결제원(KSD)
2) 금융기관
(1) 신한은행
(2) 하나은행
(3) 우리은행
3) 인증
(1) 체인ID
(2) 이니텍 공인인증
(3) 코리아크레딧뷰로
4) 보험, 금융 및 핀테크
(1) 교보생명
(2) 인코디움 ‘인코디움 코인(INCO)’
(3) 지퍼(ZPER)
(4) 모인(MOIN)
(5) 센트비
(6) 블루팬넷

2. 의료 분야
2-1. 의료 분야 주요 사례
1) 메디블록
(1) 메디블록 배경 및 특징
(2) 메디블록 기술적 세부 사항
(3) 토큰 모델
(4) 메디블록 서비스
2) 엑스블록시스템즈
(1) 엑스블록시스템즈 개요
(2) 관련 사업 동향
2-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의료데이터 관리 및 공유
(1) 마이23헬스케어
(2) 직토
2) 헬스케어 및 의료서비스
(1) CLC 파운데이션 ‘칼로리코인’
(2) 프라즘(PRASM)
(3) 휴먼스케이프

3. 공공 분야
3-1. 공공 분야 주요 사례
1) 2018 블록체인 6대 시범사업
(1) 중앙선관위 전자투표 시스템
(2) 외교부 전자문서 발급 시스템
(3) 농식품부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4) 국토부 간편 부동산 거래
(5) 관세청 지능형 개인통관 서비스
(6) 해수부 스마트 해운물류
2) KT 5G 네크워크 블록체인
3-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지자체 블록체인
(1) 서울시 공공블록체인
(2) 노원구 가상화폐 ‘노원(NW)’
(3) 부산시 스마트시티 서비스
2) 공공기관 블록체인
(1) 조폐공사 ‘콤스코(KOMSCO) 신뢰 플랫폼’
(2) 행정안전부 ‘공감e가득’ 사업
(3) 고용노동부 ‘채용 정보제공시스템’
(4) 한국정보화진흥원 블록체인 공공사업 추진전략 연구

4. 에너지 분야
4-1. 에너지 분야 주요 사례
1)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블록체인 시범사업
4-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KT 전력중개사업 시스템
2) 이젠파트너스 수요관리 블록체인 사업
3) 차지인 ‘망고코인’

5. 컨텐츠 분야
5-1. 컨텐츠 분야 주요 사례
1) 포레스팅
(1) 포레스팅 개요
(2) 포레스팅 토큰 ‘PTON’
(3) 포레스팅 네트워크
(4) 관련 사업 동향
2) 코드박스 ‘고크립토봇’
(1) 고크립토봇 배경 및 특징
(2) 고크립토봇 게임 시스템
(3) 아이템 거래 플랫폼
5-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컨텐츠 플랫폼
(1) 메이벅스
(2) 스타그램글로벌 ‘스타그램코인(SGC)’
(3) 땡글 웹툰 서비스
(4) 애드포스인사이트 ‘위블락(webloc)’
2) 게임
(1) 성남커넥트세미나
(2) 플레로게임즈 ‘유나의 옷장’
(3) 프랙탈
(4) 블록체인벤처스

6. 물류 및 유통 분야
6-1. 물류 및 유통 분야 주요 사례
1) 해운물류 컨소시엄
2) SK텔레콤
6-2. 세부 분야별 도입 사례
1) 거래·상품 데이터 등록 및 관리
(1) 캐리 프로토콜
(2) 골드맥스
2) 상거래 플랫폼
(1) 블록비클 ‘블록비클 네트워크’
(2) 크로스체인테크놀로지 ‘델리오’
(3) 엑스블록시스템즈 미술품 거래 플랫폼

도서소개

새로운 비지니스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동향과 시장전망, 주요 프로젝트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하여 본서를 출간하게 되었다. 특히 분야별로 국내외 주요 프로젝트를 살펴봄으로써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