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애담 연구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애담 연구

  • 이복규
  • |
  • 지식과교양
  • |
  • 2012-04-12 출간
  • |
  • 542페이지
  • |
  • 153 X 224 X 35 mm
  • |
  • ISBN 9788994955773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을 해마다 방문하여 조사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애담 자료 및 이에 대해 연구한 논문을 한데 묶은 것입니다. 애초에는 고려인의 구전설화를 조사하기 위해 갔던 것인데, 제보자의 대부분이 강제이주 경험자라는 것을 알아, 이분들의 생애담에까지 관심이 뻗치게 되었습니다. 생애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레닌기치> 및 그 후신이라 할 수 있는 <고려일보>에도 강제이주 관련 회상기들이 다수 실렸다는 사실을 알았기에 입수하여 보탰습니다.
이 책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애담에 대한 연구로는 처음입니다. 그간 고려인의 강제이주담을 중심으로 몇몇 논저에서 언급한 일이 있지만, 아주 개별적인 사례 제시에 그쳐 여전히 궁금한 게 많았는데, 그 총체적인 모습에 한걸음 다가갔다 하겠습니다. 그 결과, 그간의 쟁점으로 떠올랐던 문제들, 예컨대 이주 첫 겨울에 고려인들이 땅굴집에 살았다는 게 사실이냐 전설 또는 과장이냐에 대해, 폭넓은 자료를 근거로 사실임을 밝히는 성과를 얻기도 했습니다. 현장 연구와 총체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보람을 확인하는 기회였다 하겠습니다.
이 책은 표제에서 ‘고려인의 생애담’이라 하였지만, 강제이주 관련 자료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강제이주담이야말로 고려인 생애담을 다른 지역 교포들의 생애담과 구분짓는 독자적이고 특징적인 대목이면서, 우리가 고려인을 이해하는 데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만한 의의와 가치를 담고 있다 판단한 결과 그리 되었습니다. 이런 관점을 가지다 보니, 연구 논문도 강제이주담을 중심으로 고려인의 생애담을 분석했다는 점을 미리 말해둡니다.
나는 이 정도로 연구를 마무리하지만 다른 학자가 더욱 다각적으로 심도 있는 연구를 펼쳐가길 희망합니다. 그렇게 하는 데 이 책이 디딤돌 구실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제1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애담에 대하여
I. 여는말
II. 고려인 생애담의 화제들
1. 강제이주 이전 원동에서의 삶
2. 강제이주 사실의 인지 시기
3. 강제이주의 이유
4. 강제이주시의 휴대품
5. 이주열차의 구조
6. 이주열차에서의 생활
7. 첫 도착지에서의 겨울나기
8. 첫 도착지 현지인의 반응
9. 강제이주 이후의 삶
Ⅲ. 강제이주에 대한 고려인의 인식
1. 죄 없는 고난
2. 배신감과 분노
3. 모멸스러운 일
Ⅳ. 맺음말

제2부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애담 자료
I. 중앙아시아 고려인 생애담의 구술(口述)자료
1. 한철주(여, 1921년생)
2. 이쏘냐(여, 1919년생)
3. 신뾰뜨르(남, 1924년생)
4. 박쏘냐(여, 1918년생)
5. 이따냐(여, 1919년생)
6. 주나쟈(여, 1918년생)
7. 김마리아(여, 1918년생)
8. 김로자(1931년생)
9. 김안똔(남, 1928년생)
10. 임로자(1926년생)
11. 김레오니드 꼰스탄찐노비치(남, 1929년생)
Ⅱ. 중앙아시아 고려인 생애담의 기술(記述)자료
1. 레닌기치 1989년 5월 3일 : <강제이주>(엠. 우쎄르바예와)
2. 레닌기치 1989년 6월 14일 : <1937년도 이주사건에 대하여>(리니꼴라이)
3. 레닌기치 1989년 8월 18~19일, 22일 : <력사에서 외곡이 있을 수 없다>(회상기)(박성훈)
4. 레닌기치 1989년 7월 20일 : <가슴저린 회상>(박뾰뜨르)
5. 레닌기치 1889년 8월 16일 : <력사의 토막사실 : 무엇 때문에 애국자들이 희생되였는가?>(렴홍철)
6. 레닌기치 1989년 8월 17일 : <이것은 변명할 수 없다>(송희현)
7. 레닌기치 1989년 9월 22일 : <쓰라린 나날을 회상하면서>(렴홍철)
8. 레닌기치 1989년 9월 26일 : <교살자>(강상호)
9. 레닌기치 1989년 11월 25일 : 오 수남촌(장편서사시) (연성용)
10. 레닌기치 1989년 12월 23일 : <그를 자랑하고 싶다>(벗에 대한 생각)(김기성)
11. 레닌기치 1990년 1월 11일 : <37년 이주에 대한 기사들을 읽고서>(독자의 의견)(주영윤)
12. 레닌기치 1990년 1월 19일 : <싸락눈이 내리던 1937년도>(정따찌야나)
13. 레닌기치 1990년 3월 16일 : <재쏘 조선사람들>(철학-력사에쎄)(유게라씸)
14. 레닌기치 1990년 3월 30일 : <시대와 민족어에 대한 생각>(박넬리 교수에 대한 남해연 기자의 탐방 기사)
15. 레닌기치 1990년 6월 13일 : <사실을 그대로 말해야 한다>(안득춘에 대한 남해연의 탐방기사)
16. 고려일보 1991년 1월 24일 : <추억>(리길수)
17. 고려일보 1991년 1월 29일 : <우리는 누구인가>란 기사를 읽고 (역사를 외곡하지 말자)(성점모)
18. 고려일보 1991년 4월 23일 : <평범한 고려인의 평범한 생활경력> (황정만에 대한 김브루트의 탐방기사)
19. 고려일보 1991년 6월 4일, 6월 26일 : <운명>(렴홍철에 대한 남경자의 탐방기사)
20. 고려일보 1991년 8월 2일 : 신한촌(회상기)(리길수)
21. 고려일보 1991년 10월 15일 : <모든 체험을 영예롭게 이겨냈다> (력사의 공백)(김주봉에 대한 떼. 씸비르쩨와의 탐방기사)
22. 고려일보 1992년 7월 22일 : <조선극장창건 60주년을 맞이하여><잊지 못할 향단이들>(리함덕)
23. 고려일보 1993년 4월 3일 : <운명>(김미하일 와씰리예위츠에 대한 이꼬레쓰끼의 탐방기사)
24. 고려일보 1993년 6월 5일 : <고향땅의 흙 한줌>(엔. 와따뇨르)
25. 고려일보 1995년 3월 4일 : <피로 물든 강제이주>(연성용)
26. 고려일보 1996년 4월 20일, 4월 27일 : <잊을 수 없는 그 날을 더듬어 보며>(리왜체쏠라브)
27. 고려일보 1996년 8월 3일 : <고려인들의 강제추방 60주년을 앞두고 : 우리도 되돌아 보면서>(강태수)
28. 고려일보 1996년 8월 30일 : <고려인들의 강제추방 60주년을 앞두고 : “인간이란 일생 활동해야 하죠….”>(엘. 로쑤꼬와)
29. 고려일보 1996년 12월 7일 : <강제이주 60주년을 앞두고 : 까라깔빡스의 고려인들>(주아나똘리)
30. 고려일보 1997. 5. 7·9·17·24·31일, 6월 6·14·21·28일, 7월 19일 :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이종수 / 양원식 역)
31. 고려일보 2002년 3월 29일자 : <잠블 지역의 고려인들>(김보리스)
32. 고려일보 2005년 6월 3일자 및 고려일보 2005년 6월 10일자 : <흩어진 한민족 ②카자흐스탄 편> <1937년 이 땅에서 겨울을 처음 맞다>(윤세르게이에 대한 원낙연의 탐방기사)
33. 고려일보 2006년 12월 15일자 : (카자흐스탄에서의 고려인 거주70주년에 즈음하여) <잊을 수 없는 쓰라린 과거>(김블라지미르 제스까스간)
34. 고려일보 2007년 4월 6일 : <아홉 번째 원>(김클라라에 대한 신보리쓰의 탐방기사)
35. 고려일보 2007년 8월 24일자 : <내가 직접 겪은 강제이주> (정상진)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