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리산진경

지리산진경

  • 이호신
  • |
  • 다빈치
  • |
  • 2012-12-01 출간
  • |
  • 288페이지
  • |
  • 225 X 290 X 20 mm
  • |
  • ISBN 9788990985941
판매가

70,000원

즉시할인가

67,9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7,9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1세기 진경산수화로 다시 빛나는 아름다운 자연과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이 땅의 아름다움에 감복하여 깊이 고개 숙이는 화가가 있다. 이 땅에 뿌리내리고 오랜 세월 서로를 보듬으며 살아온 모든 것들에 두 손 모으는 화가가 있다. 하찮은 풀벌레부터 수령 삼사백 년은 거뜬한 신목(神木)에 이르기까지, 졸졸 흐르는 작은 실개천부터 굽이쳐 흐르며 땅의 허기를 달래는 큰 강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이들에 기대어 대대손손 삶을 일구어나간 다양한 사람들에게까지, 화가의 눈길과 발길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화가는 그들 앞에서 무릎을 꿇고 먹을 간다.

한국화가 이호신은 진경산수(眞景山水) 기법을 계승한다. 실재(實在)하는 경관을 사생(寫生)하는 진경산수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이 우리나라 산천(山川)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담으면서 발전시킨 기법이다. 마주한 자연경관이나 대상에서 느낀 인상을 빠른 필치로 그려내는 것이 아니고, 또 그러한 것들을 관념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 아니기에, 진경산수는 산세, 지세, 물의 흐름은 물론 풀 한 포기, 나뭇잎 하나까지 샅샅이 살피는 관찰의 시간과 노력을 요한다. 제 발로 찾아다니고 제 눈으로 확인하는 부지런함과 성실함을 기본으로 갖추어야 하는 일이며, 이를 오랜 시간 지속해오기 위해서는 끈기와 집념이 함께해야 하는 일이다. 피상적 관찰에 머무르지 않고, 그 본질에 가닿도록 자신을 낮추어 온몸으로 받아들이는 동안 화가는 이 땅 위의 것들과 교감하고 감응한다. 그들에 감탄하며 머리 조아리는 마음이 붓끝으로 모여 하얀 종이에 번지고 한 폭의 그림이 되어간다.

이호신이 이십여 년의 세월 동안 한결같이 지난한 작업에 매진한 결과가 두 권의 책으로 정리되었다. 그 하나는 이 땅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으로 옛 현인(賢人)들의 지혜와 안목이 집약된 사찰들을 그린 『가람진경』이고, 다른 하나는 이 땅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역사와 문화, 삶의 터전이 되어준 어머니 산을 그린 『지리산진경』이다. 이 ‘진경산수’ 시리즈는 특정 전시를 위해 그림들을 모아놓은 전시 도록이나 화보집이 아니다. 이야기를 갖추고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완결된 단행본이다. 이 시리즈는 화가의 품속에 늘 함께하며 밑그림과 습작을 담아낸 수천 권의 화첩에서 배양되었으며, 책에 수록된 290여 점의 그림은 사찰과 지리산으로 대표되는 우리나라의 아름답고 장엄한 자연과 문화의 정수(精髓)요, 오늘날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역사와 삶의 현장이다. 또 시대 변화와 발전의 기치를 앞세우기 이전에 살피고 지켜나가야 할 가치들의 기록이다.

더불어 특별히 정성을 기울인 책의 장정은 가장 한국적인 것을 가장 한국적인 기법과 정서로 그려낸 한 점 한 점 작품들의 의미와 가치, 분위기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오랜 시간을 들여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된 책의 장정은 불필요한 장식 서체나 이미지를 배제한 단정한 표지에 제목을 세로쓰기하고, 책등을 덮어 가리는 부분을 없애 실로 맨 부분을 드러나게 함으로써 전통 서책의 느낌을 자아낸다. 나아가 이러한 형태의 제본은 기존의 양장제본 방식과 달리 책등이 완전히 꺾이며 책의 양쪽 면이 180도로 활짝 펼쳐질 수 있어 그 폭이 최대 4미터에 이르는 장대한 작품들까지 온전히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다.

‘대관소찰 소중현대(大觀小察 小中顯大)’, 즉 크게 보되 작게 살피고, 작은 것 속에 큰 의미가 담겨 있음을 늘 되새기며 작업하는 화가 이호신의 진경산수 그림들은 천년 고찰(古刹)의 안마당으로, 우뚝한 지리산의 봉우리들로 보는 이들을 인도한다. 우리는 화가와 더불어 매의 눈을 달고 창공을 날아오르는가 하면 다소곳이 합장하며 가람들을 둘러볼 수 있다. 그러면 적막한 가운데 어딘가에서 풍경과 목탁의 청음이 들려오리라. 또 우리는 배낭을 메고 타박타박 둘레길을 걷고 숨이 턱까지 차오를 즈음 천왕봉에 올라 발밑으로 펼쳐지는 산맥의 물결과 조우할 수 있다. 그러면 산 기운 가득한 맑은 바람이 머리칼을 흩트리리라. 봄, 여름, 가을, 겨울, 저마다의 특색을 뚜렷이 드러내는 이 땅의 아름다움이 펼쳐지는 중에, 우리는 천년을 거스르는 시간 여행을, 지리산 구석구석으로의 공간 여행을 떠날 수 있다. 그것은 현재의 여행인 동시에 아스라한 기억을 더듬는 여행이기도 하다. 더불어 우리는 곁에 있기 때문에 더 소홀히 했던 것들을, 당연한 듯 누리기만 하고 감사의 마음은 잊은 것들을 돌아볼 수 있을 것이다. 화가 자신의 성찰과 구도의 과정이 담긴 화폭은 보는 이에게도 깨달음과 반성의 시간을 열어준다. 나 자신과 나를 둘러싼 것들에 대해서.

『지리산진경』 - 지리산 하늘 아래에서

한반도의 등뼈를 이루는 중심 산줄기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놓인 지리산은 그 둘레가 320킬로미터에 이르며 세 개 도(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의 한 개 시(남원)와 네 개 군(하동, 구례, 함양, 산청)을 거느린, 넉넉한 산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백두산은 아버지 산으로, 가장 너른 품을 지닌 지리산은 어머니 산으로 불려왔다. 한없이 깊고 넓은 지리산은 해발고도 1천5백 미터 이상인 봉우리 20여 개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긴 능선 사이 큰 계곡들이 웅장하면서도 유현(幽玄)하게 흘러내린다. 이 아늑하며 풍요로운 산세는 지역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 되어 그들의 영고성쇠(榮枯盛衰)를 함께했고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담는 그릇이 되었다. 천연기념물, 희귀동물을 비롯한 5천여 종에 달하는 동식물들의 보금자리이자 살아 있는 생태박물관인 지리산은 1967년 한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에는 세계 자연 보존 연맹으로부터 국제적으로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는 국립공원으로 선정되었다.

지리산(智異山)이라는 이름을 글자 그대로 풀면 ‘지혜로운 이인(異人)의 산’이라 할 수 있는데, 그 이름에 걸맞게 어머니 지리산의 젖줄을 타고 난 훌륭한 학자, 문인, 예술가들이 많으며 또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지리산으로 모여드는 이들이 많다. 한국화가 이호신 역시 어머니 산의 부르심을 받은 듯 지리산 자락을 두루 다녔다. 동해 바닷가 출신의 화가가 지리산의 우뚝한 봉우리와 심원한 계곡을 샅샅이 밟으며 산의 속살을 파고든지 이십여 년이 될 무렵, 화가는 아예 본거지를 옮겨와 어머니 산의 품에 자리를 잡았다. 한국 수묵화의 진경산수 기법을 계승하고 현대적인 필치와 색감을 거침없이 응용하는 그의 붓은 산자락을 오르내리는 두 발과 더불어 쉴 새 없이 움직여 수십 권의 화첩을 채우고 이를 바탕으로 수백 점의 작품을 그려나갔다.

이호신의 지리산 화폭에는 지리하고 유장하게 출렁이는 산맥, 영기(靈氣)로 충만한 봉우리들, 기운차게 쏟아지는 폭포, 너른 옥토를 적시며 흘러가는 강이 있다. 수행과 경배의 도량 천년 고찰과 역사의 무대가 되어 피와 눈물을 쏟은 가슴 아린 현장, 위대한 문학 작품과 구성진 전통 가락을 뽑아낸 터가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수령 삼사백 년은 거뜬한 신목(神木)이 보호하는 크고 작은 마을들이 있다. 금방이라도 밥 짓는 고소한 연기가 피어오를 것만 같은 살가운 마을들이 산골 구석구석에 살아 있다. 넉넉한 산에 안겨 웃고 울며 살아가는 사람들, 말씨마저 서로 다르게 이질적이고 다양한 삶을 일구어가는 이들이 있는 지리산은 생동의 빛과 숨결로 가득하다. 화업(畵業)을 시작한 이래 이 땅의 자연경관과 생태, 문화유산은 물론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현장 답사한 그림과 글을 꾸준히 발표해온 화가의 지리산에 대한 깊은 애정과 오랜 사모의 마음이 화폭에서 진동한다. 이제 그의 그림은 옛날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에서 더 나아간 오늘날의 진경산수요,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하는 사람들의 삶을 그린 이 시대의 풍속화요, 작가의 표현대로 ‘생활산수’이다.

이호신의 그림은 지리산의 하루이다. 동이 터오는 맑은 첫새벽의 기운부터 하얀 달이 떠오른 밤의 정취까지 모두 담겨 있다. 이호신의 그림은 지리산의 사계이다. 노란 산수유와 눈부신 벚꽃이 만발한 봄부터 흰 눈에 덮이고 꽁꽁 얼어붙은 겨울까지 모두 담겨 있다. 즉 단 한순간도 그 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같은 모습을 보이지 않는 지리산 그 자체이다. 그러한 그림들 중 이 책에는 지리산 자락에서 피어난 다섯 개 시, 군의 다채롭고 독특한 빛깔과 이야기를 전하는 그림 160여 점을 선별하여 수록했다. 물론 화가는 여기서 선보이는 작품들에 그치지 않고 시시각각 다른 모습을 보이는 지리산을 향해 오늘도, 내일도 붓길을 이어간다.

두루두루 살필 것이 많아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하는가. 이호신의 그림에는 지리산이 품고 있는 역사와 문화가, 옛것과 새것이, 자연과 인공이, 시골과 도시가, 풍류와 낭만이 한데 어우러진다. 화가의 발자취를 따라 지리산 하늘 아래를 둘러보는 것이 바로 지리산 순례요, 둘레길 여정이다.


목차


추천의 글_ 자연, 삶, 문화가 어우러지는 상생의 미美 발견
(이석우 Ph.D, 겸재정선기념관장, 경희대 명예교수)

들어가는 글_ 지리산 하늘 아래에서

하동河東 야생차밭과 십리벚꽃의 섬진강 숨결

구례求禮 산수유 마을에서 그윽한 산사로의 여정

남원南原 판소리와 솔바람이 아우러진 국악의 본향

함양咸陽 화림계곡의 풍류와 상림의 얼굴들

산청山淸 약초와 매향, 선비정신과 천왕봉

감사의 글
작가 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