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안재홍과 신간회의 민족운동

안재홍과 신간회의 민족운동

  •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 |
  • 선인
  • |
  • 2012-12-20 출간
  • |
  • 240페이지
  • |
  • 153 X 224 X 20 mm
  • |
  • ISBN 9788959335862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8,81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8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927년 2월 15일은 신간회(新幹會)가 창립된 날이다. 제국주의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점한 이후 우리 민족은 야만적인 폭력을 앞세운 무단통치하에서 절망과 회한의 날을 보내야만 했다. 그러나 그렇게 서러운 “10여년의 머슴살이” 끝에 우리는 마침내 다시 일어나 1919년 3ㆍ1독립만세운동을 일으켰다. 1911년 신해혁명(辛亥革命)에 의해 민주공화주의의 복음이 아시아대륙에 처음으로 전해졌고, 이에 우리 선열들은 크게 고무되어 비록 왕조는 망했지만 백성들이 나서면 새로이 나라를 세울 수 있다는 생각에 민족자존과 독립에의 의지를 되살려 마침내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을 성사시킨 것이었다. 이후 선열들은 비록 나라의 형체(形體)는 없어도 나라를 되찾겠다는 혼(魂)을 다시 일깨우고 실낟같은 희망이라도 끝까지 잡고 돋우면서 온갖 회유와 ‘합법적’ 강압을 앞세운 일제의 ‘문화정치’에 맞서야 했다. 어쩌면 무단통치보다 더 견디기 힘들고 괴로웠던 민족위기였다. 이런 참담한 지경에서 그래도 “고목에서 새싹이 움튼다”(古木新幹)는 소망으로 민족지도자들은 이데올로기를 넘어 “민족유일당”으로 힘을 합쳐 다시 일어나 일제의 민족말살 획책에 맞섰으니, 그것이 바로 신간회운동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한동안 신간회를 잊고 지냈다. 한국현대사는 해방, 전쟁, 가난, 그리고 끊임없는 안보불안으로 무엇보다 생존이 급했던 시대였고, 그러면서도 우리는 근대화와 민주화라는 시대적 과제에 매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온고지신(溫故知新)하며 나와 나의 역사, 우리와 우리의 역사를 찬찬히 되돌아보며 그 속에서 다시 힘과 소망을 얻어 나와 나라를 “뿌리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로 자라게 할 말한 여유와 성찰이 부족했다.

윤대식 박사는 “안재홍과 신간회”에서 안재홍이라는 특정 행위주체와 신간회라는 활동 공간 및 맥락의 교차를 통해 안재홍의 정치적 사유와 삶의 일관성을 추적, 신간회가 안재홍이라는 지사적 투사가 자신의 정치적 사유와 삶의 일관성을 정합한 대상이었고, 이를 위해 전력했던 흔적을 입증하고자 했다. 김인식 교수는 “신간회의 창립과 민족단일당의 이론”에서 좌익민족주의자들은, 타협주의 노선과 사회주의운동의 계급주의 노선을 모두 비판하며 자신들을 ‘의식적 중간세력’으로 자임하였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좌익민족주의자들이 먼저 결집한 신간회가 민족협동전선으로 발전하였다는 사실을 논증했다. 성주현 박사는 “신간회운동과 민족주의좌파 세력”에서 민족주의좌파 세력은 3ㆍ1운동 이후 사회주의의 급속한 보급과 도전 그리고 1920년대 중반에 대두된 자치론에 대한 인식 및 대응방식의 차이로 형성되었고, 여기에 신간회 기관지를 자임한 조선일보가 민족협동전선을 제기하며 신간회 창립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고 천도교 구파도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현주 박사는 “ML당계 사회주의자들의 민족통일전선론과 신간회”에서 ML당계의 신간회 전술은 운동정세의 변화에 대응하여 대체로 4단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전술이 변화되어가는 과정은 조직내에서 노동자ㆍ농민의 헤게모니 강화라는 원칙이 일관되게 추구되고 있었는바, 그것은 종국적으로 해소를 통한 아래로부터의 통일전선을 지향하는 과정이기도 했다고 평가했다. 이문원 교수는 “신간회의 사회민족주의적 성격에 대한 검토”에서 신간회운동은 전국각지의 많은 지회들을 중심으로 당시 사회의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가운데 거의 모든 생활영역에 걸친 활동들을 벌였으며, 그것은 각종 계몽활동에서부터 생존권 투쟁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의 민족운동들을 선도하고 지원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신간회가 펼친 다양한 활동들은 자유, 정의, 연대라는 사회민주주의 이념의 맥락에서 시작되고 전개되었음을 자세하게 논증했다. 정윤재 교수는 “신간회와 21세기 한국”에서 신간회운동은 3ㆍ1독립만세운동 이후 일제의 혹독한 탄압과 기만적인 문화정치에 의해 한민족의 존속 자체가 크게 위협받던 상황에서 민족지도자들과 전국각지의 뜻있는 국민들이 단결하여 정치적 독립을 추구했던 민족운동으로, 그것은 비타협적이고 비폭력적인 저항운동이었고, 전술적으로는 민족진영이 주도했던 “민공협동”운동이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정 교수는 신간회운동이 21세기 대한민국의 내적 통합과 남북통일에의 길에 유용한 역사적 교훈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신간회 창립 80주년 기념행사 이후 몇 차례의 행사가 있었지만, 지금은 다시 중단되었다. 무엇보다도 이 책을 이렇게 늦게 발간하는 것부터 스스로 자성하며 앞으로 신간회운동을 비롯한 국내항일운동과 이에 참여했던 선열들에 대한 재조명작업이 보다 밀도 있게 그리고 중단 없이 추진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목차


서문 │ 5
<신간회 창립 80주년 기념사> 21세기 한국민족주의 그리고 신(新)신간회 │ 9
<신간회 창립 80주년 축사> 화해와 협력의 신간회 정신 │ 17

안재홍과 신간회ㆍ윤대식
Ⅰ. 머리말 │ 25
Ⅱ. 노마연잔두(駑馬戀棧豆)의 경고-타협과 비타협의 경계 │ 28
Ⅲ. 백열(白熱)의 삶-신간회 참여 │ 39
Ⅳ. 노마(駑馬)도 십가(十駕)할 수 있을까?-신협동의 호소 │ 52
Ⅴ. 맺음말 │ 66
참고문헌 │ 69

신간회의 창립과 민족단일당의 이론ㆍ김인식
Ⅰ. 머리말 │ 75
Ⅱ. 민족주의 좌익전선론과 신간회의 창립 │ 77
Ⅲ. 민족단일당론과 신간회의 민족협동전선화 │ 92
Ⅳ. 맺는말 │ 103

신간회운동과 민족주의좌파 세력ㆍ성주현
Ⅰ. 머리말 │ 109
Ⅱ. 1920년대 민족운동 세력의 분화와 민족주의좌파의 형성 │ 111
Ⅲ. 민족주의좌파의 형성 │ 116
Ⅳ. 신간회 창립과 민족주의좌파의 동향 │ 125
Ⅴ. 민족주의좌파의 신간회 활동 │ 136
Ⅵ. 맺음말 │ 142

ML당계 사회주의자들의 민족통일전선론과 신간회ㆍ이현주
Ⅰ. 머리말 │ 149
Ⅱ. 신간회 초창기의 운동론 │ 150
Ⅲ. 당의 붕괴와 운동론의 변화 │ 157
Ⅳ. 반제협동전선론과 신간회 해소 │ 167
Ⅴ. 맺음말 │ 174

신간회의 사회민족주의적 성격에 대한 검토ㆍ이문원
Ⅰ. 머리말 │ 179
Ⅱ. 신간회 성립의 배경 │ 182
Ⅲ. 사회민주주의의 발전과 개념 │ 189
Ⅳ. 신간회의 성격 │ 200
Ⅴ. 맺음말 │ 213

신간회와 21세기 대한민국ㆍ정윤재
Ⅰ. 머리말 │ 221
Ⅱ. 민족암흑기의 “내셔날 이니셔티브” │ 222
Ⅲ. “비타협, 비폭력적” 저항운동 │ 226
Ⅳ. 좌파국제주의에 의해 좌절된 “민족유일당”에의 꿈 │ 229
Ⅴ. 맺음말: 몇 가지 현대적 함의들 │ 232
참고문헌 │ 23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